¶ 다 비우고 놓아라 / 대원스님
(주장자 세 번 내려치신 후 들어보이시고)
사부대중은 회마(會麽) 아시겠습니까?
이 산승은 학림사 오등선원에서
한걸음 나오기 전에 이미 모든 법문을 다했습니다.
오늘 이 자리에 참석하신 사부대중께서도
집에서 한걸음 내딛기 이전에 이미 법문을 다 들은 것입니다.
지금 제가 이렇게 말씀드린 이 자체도 크게 기특한 말이 못됩니다.
그런데 하물며 이 자리에서 대중들에게 뭐라고 말씀을 드린다면
그것은 바로 여러분의 인격에 먹칠을 하는 것입니다.
저 자신도 그 허물을 면치 못합니다.
제가 이 자리에 앉은 것은 조계사 주지 스님,
그리고 여기 계시는 사부대중의 요청 때문입니다.
앉기는 앉았지만 한 글귀도 여러분에게 드릴 말이 없습니다.
여러분도 한 글귀도 들어야 할 것이 없습니다.
이것을 바로 아신다면
오늘 참석하신 대중은 정말 보람이 있을 것입니다.
만약 제가 드려야 할 말이 있고
여러분이 들어야 할 말이 있다고 생각한다면,
그것은 진흙 바닥에서
뒹구는 꼴이 되고 오줌을 뒤집어쓰는 꼴이 됩니다.
여러분은 이것을 바로 봐야 합니다. 그러나 이 자리에 참석한
사부대중 가운데 바로 보지 못하는 분이 있습니다.
그 분을 위해서 이 산승이 부득불 동설수설(東說西說)이라,
동을 말하게 되고 서를 말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제가 이렇게 말씀드리는 것은 전부 거짓말입니다.
지금부터 제가 그 거짓말에 대해서 몇 말씀드리겠습니다.
저는 오늘 ‘선과 깨달음’을 주제로 법문하겠습니다.
그러면 ‘어떤 것이 선’이냐.
그것을 묻는다면 저는 이렇게 대답을 드립니다.
‘찬풍음로(餐風飮露)’라.
바람을 먹고 이슬을 마신다, 이렇게 대답을 드립니다.
그러면 ‘어떤 것이 깨달음이냐’라고 묻는다면,
‘석인정오타삼경 산고수심백화향
(石人正午打三更 山高水深百花香)’이라.
돌사람이 정각 열두시에 밤삼경의 종을 치니
산은 높고 물은 깊은데 백가지 꽃의 향기로다,
이렇게 저는 대답을 드립니다.
저는 아주 간단하게 말씀을 다 드렸습니다.
그렇다면 어떻게해야 다시 좀 더 깊은 말을 들을 수 있겠는가 하고
의심하는 분이 있을 겁니다.
[원각경]에서 부처님이 말씀하신 글귀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원각경]에서 부처님이 말씀하시기를
‘일체중생 종종환화(一切衆生 種種幻化)가
개생여래원각묘심(皆生如來圓覺妙心)’이라 했습니다.
일체 모든 중생이 다 환화다. 모두 꿈이라고 했습니다.
우리 중생은 꿈속에 살면서 꿈인 줄 알지 못합니다.
꿈을 진실로 착각하고 산다는 것입니다.
꿈을 꿈으로 바로 본다면 그 사람은 꿈을 여윈 사람입니다.
그래서 부작방편(不作方便)이라.
거기에는 방편이 필요없다고 했습니다.
이환즉각(離幻卽覺)이라. 꿈을 여읜즉 바로 깨달은 것이라.
역무점차(亦無漸次)라. 점차가 뭡니까.
깨달음의 오십오 점차를 논할 필요가 없다 이 말입니다.
삼세제불(三世諸佛)과 역대 조사와 팔만사천법문이
두두물물(頭頭物物) 모두 다 꿈이라 했습니다.
그러면 묘심(妙心)은 어떤 것입니까?
이렇게 묻자, 회당 선사가 답하기를 그랬습니다.
(주장자 한번 내려치시고)
비단 이불에다가 원앙수를 놓았습니다.
그런데 그 수놓은 것은 사람들에게 보여줄 수 있지만
수 놓은 바늘은 주지 말라고 했습니다.
제 일구(一句)에서 터득하면 부처님과 조사의 스승이라 했습니다.
제 이구(二句)에서 터득하면 인천(人天)의 스승이라,
하늘세계와 인간세계의 스승이라고 했습니다.
제 삼구(三句)에서 터득하면 자기도 구하기 어렵다 이랬습니다.
어떤 것이 제 일구냐.
이 산승이 학림사 방에서 한 걸음 내딛기 이전이 일구이고,
자리에서 일보이보를 걸어서
이 법상에 말없이 앉아있는 이것이 제 이구입니다.
어떤 것이 제 삼구냐. 이 산승이
법당에서 말을 하고 묻고 답하고 하는 것이 제 삼구입니다.
(주장자 한번 들어 보이고 내려치시고 이르시대)
이것은 어느 글귀에 해당합니까.
이것은 마음입니까 부처입니까.
아니면 물건입니까.
아니면 있는 것입니까 없는 것입니까.
있다고 해야 됩니까 없다고 해야 됩니까.
아니면 중도실상(中道實相)이라고 해야 합니까.
뭐라고 해야 합니까.
일구라고 해도, 이구라고 해도,
삼구라고 해도 맞지 않습니다.
있다 없다 해도 맞지 않습니다.
중도실상이라고 해도 맞지 않습니다.
중도실상이 무엇입니까. 말도 안 되는 소리입니다.
부처님은 그런 말 한 적 없습니다.
그런 표적을, 규정을 둔다고 하는 것은 큰 잘못입니다
여러분이 만약 이 세상이 이뤄지기 이전에 나는 일렀다.
또 부모님으로부터 태어나기 전에 나는 이미 일렀다.
또 부처님이 오시기 전에 일렀다.
또 달마스님이 인도에서 중국으로 오기 전에 일렀다
이렇게 한다면 그것이 옳을까요.
벌써 그것은 제 이구에 떨어진 것입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되겠습니까.
바로 넉넉히 너에게 10가지를 만족하게 다 일러줬다.
그렇다 해도 좌지우지를 면치 못함이라 도리어 알겠는가?
태평세상은 본래 장군이 이루었지만
그 장군은 태평세상을 보고만 있는 것을 허락하지 않는다.
그러면 어떤 것이 일구인고?
(스님이 조금 있다가 으~악 할하고)
게송을 이르시대
붉은 해가 하늘에 솟아오르니, 만국의 세계가 밝고 /
구름은 스스로 높이 날고, 물은 스스로 흐름이라.
바로 여기에서 깨달아 계합하면
찰나에 여래의 지위에 들어감이라.
혹 그렇지 못할진댄 귀신굴에 떨어짐을 면치 못함이라.
팔만사천 깊은 법문이 문마다 길이 있어서
하늘 땅을 뛰어 났는데, 저 어떻게 낱낱이 밟아서 착하지 못하는고.
요컨대 알라.
불조도 이르지 못한 곳에 문을 닫으니
꽃은 떨어지고 봄에 새는 운다.
오늘 법문은 간단하지만 이것으로 다했습니다.
그러나 오늘 선법회라고 하니
조금 더 차원을 낮게 해서 몇 말씀 덧붙이겠습니다.
부처님 밑으로 가섭존자, 아난존자, 우바국다 존자가 있습니다.
부처님과 우바국다 존자까지 100년 차이가 있습니다.
그러니 우바국다 존자는
항상 마음속에 그리워하는 것이 있었습니다.
내가 어떻게 하다가 백년 뒤에 태어나
부처님을 왜 만나 뵙지 못했나, 억울하다 이겁니다.
하루는 오늘처럼 우바국다 존자가 법회도량에서 법문을 하는데
갑자기 하늘에서 광명 한줄기를 타고
어떤 거룩한 사람이 큰 코끼리를 타고 내려왔습니다.
그런데 너무나 기가막힌 일이라서 사람들이
존자의 말을 들으려고 하지 않고 거기에 집중했습니다.
존자가 선정에 들어서 살펴보니 그것은 마왕이었습니다.
그래서 마왕의 신통술을 제압했습니다.
그후 존자가 “그대가 마왕이라면 신통술이 있으니
부처님 모양 그대로 내 앞에 나타내줄 수 있느냐”라고 물었습니다.
마왕은 “그것은 어렵지 않습니다. 그러나 존자께서
저에게 절은 하지 마십시오”라고 말하며
부처님 모양 그대로 나타냈습니다.
그러자 존자가 자기도 모르게 절을 했습니다.
마왕이 “존자여
절을 하지 않기로 약속하지 않았습니까”라고 말했습니다.
존자는 “제가 절을 한 것은 마왕을 보고 한 것이 아니라
부처님께 지심귀명례(至心歸命禮)를 한 것입니다”라고 말했습니다.
마왕은 “존자께서 이러하건데 이천년 삼천년 후
말세에 제가 부처님 몸으로 나타난다면
그 누가 속지 않겠습니까”라고 되묻습니다.
우바국다 존자가 말씀하시기를
“누구든지 속지 않으려면 회광반조(回光反照) 하라.
전면에 나타난 것을 보는 이놈이 무엇인지 돌이켜 살펴라.
무엇인고? 하고 깊이 의심 관(觀)을 하면
모든 마구니는 머리가 깨지고 흔적조차 없어진다”했습니다.
이~뭣고! 하는 곳에 속지 않는다.
그렇습니다. 그와 같은 공부는 정말 위험천만입니다.
속지 않으려면 올바른 선지식을 만나야 합니다.
남악회양 선사 회상에 마조 선사가 있었습니다.
마조 스님이 8년동안 앉아서
좌선을 하고 있는 중에 남악회양 선사가 앞에 다가가서
“뭘 하느냐”하고 물었습니다. 마조 선사가 답하기를
“깨달아 부처가 되기 위해 앉아있다”고 했습니다.
남악회양 선사가 기왓장을 갈고 있는데
마조스님이 다시 묻기를 “기왓장을 왜 갈고 있습니까?”
남악회향 스님이 답하기를
“기왓장을 갈아서 거울을 만드려고 한다네.”
마조 스님이 말하기를
“기왓장을 갈아서 거울 만든다는 말은 스님께 처음 듣습니다.”
“이 사람아 앉아서 부처가 된다는 말은 자네에게 처음 듣네.
앉아서 부처가 될 모양이면 산이고 바위고 다 부처가 됐겠다.
앉아서 부처가 되겠다고 하는 것은 너 밖에 못봤다”라고
다시 말했습니다.
그러자 마조 선사가“그러면 어떻게 해야 합니까”라고 물었습니다.
다시 남악회양 선사가
“소가 가지 앉을 때는 소를 때려야 되겠느냐,
수레를 때려야 되겠느냐”라고 물었습니다.
옛날 어느 절에 공부 많이 한 훌륭한 조실스님에게 물었습니다.
그러니까 “아 그거야 소를 때려야지” 이렇게 말씀 했습니다.
저는 웃었습니다.
“왜 웃느냐”고 조실스님이 물었습니다.
제가 “스님, 소를 때리는 것은 거리가 멉니다”라고 답했습니다.
만약 마조 스님이 회양 선사에게 소나 수레를 때려야 된다고 했으면
“너는 아직 안됐다”라고 했을 겁니다.
그러나 마조 선사는 그 한마디에 뒤집어 엎었습니다.
그 자리에서 깨달았습니다.
모든 게 선이어서 선 아닌 것이 없습니다.
그러나 비빔밥처럼 모두 선이라고 하는 것도 잘못된 것입니다.
선에도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선에는 범부선, 외도선, 소승선, 대승선, 최상승선 등이 있습니다.
범부, 외도선 등은 선이 아닙니다.
최상승선이 바로 여래선이고 조사선입니다.
여러분이 태어나서
지향하고 추구하는 것이 행복하게 살자이지요.
그러면 어떻게 해야 편안하느냐.
이게 바로 ‘안심입명처(安心立命處)’라.
안심입명처는 마음이 편안함을 말합니다.
부처님의 법문을 요약하면 바로 ‘안심입명처’입니다.
우리 중생이 가지고 있는
욕망과 욕심으로는 마음의 평화를 이룰 수 없습니다.
나 자신을 바로 알면,
영원한 안심입명처를 얻는 사람이 되는 것이고,
영원한 행복을 얻는 사람이 되는 것입니다.
이 공부는 절대적으로 믿음이 필요합니다.
믿음이 극치에 달하면 한 글귀 깨닫습니다.
옛날에는 법문을 한다면 백리 길도 걸어서 갔습니다.
'오늘은 무슨 법문을 할까' 하고
걸어서 가면 법문을 듣고 바로 깨닫습니다.
그러나 법문을 들으러 오라고 해서 할 수 없이 가서
죽치고 앉아있으면 들어봐야 소용이 없습니다.
법문은 철저한 믿음으로 다 비워버리고
산승의 말을 듣는 동시에 몰록 여러분의 사는 자리가
무너지고 부서지고 뒤집어져서 바로 깨달으라고 하는 것입니다
난새가 하늘을 높이 날으니 그 자취가 없고,
영양이 높은 나뭇가지에 뿔을 걸고 잠을 자니,
자취를 찾아 볼 길이 없네.
뿔과 손을 놓으니 의지할 곳이 없는 곳에 전체가 드러나고,
조각배를 탄 어부는 갈대 밭에서 잠을 잔다.
(주장자 세 번 내려치고)
어~억!
▒‘묻고 답하기’ ▒
▲ 스님께서 법문 도중에 게송을 읊으시면서
마지막에는 꼭 아미타불을 찾으시는데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 천년요괴가 몸을 벗어버리니 붉은 다리에
맨발에 머리에는 쓴 모자도 없고 한쪽 눈만 갖춘 사람이라.
▲ 깨치기 전과 후의 세계는 어떻게 다릅니까.
- 나귀 다리는 짧고 노새 다리는 길다.
▲ “수레가 움직이지 않을 때는 소를 때려야 한다”고 하지만
스님께서는 맞지 않다고 했습니다. 그럼 어떻게 해야 합니까.
- 구멍 없는 쇠뭉치요 활활 타는 불구덩이니라.
■ 대원 스님 ■
1942년 경북 상주에서 출생. 1957년 16세에 상주 남장사로 출가했다.
윤고암 스님을 은사로, 하동산 스님을 계사로 득도수계 했으며,
20세에 하동산 스님에게서 구족계를 수지했다. 그 뒤 오대산 상원사,
도봉산 망월사, 문경 봉암사, 김룡사, 범어사, 해인사, 송광사,
통도사 극락암등 제방선원에서 안거하면서 효봉, 동산, 고암, 경봉,
전강, 향곡, 성철, 구산, 월산 스님 등 당대의 선지식을 모시고
공부를 경책 받으며 오로지 禪 수행으로만 일관했다.
가장 행복한 공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