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여름, 아버지와 함께 절 경내를 거닐고 있을 때 푸른 안개 속으로부터 피어 나오듯 하얀 여자가 이쪽으로 오고 있었다. 나른하고도 차분하게 천천히.
여자는 몸이 무거운 것 같았다. 아버지의 눈치를 의식하면서도 나는 여자의 배에서 눈을 떼지 않았다. 머리를 밑으로 향한 태아의 유연한 움직임을 배 언저리에서 연상하면서 그것이 이윽고 이 세상에 태어날 신비로움에 빠져 있었다.
여자는 지나갔다.
소년의 상상은 비약하기 쉽다. 그때 나는 '태어난다'는 것이 확실히 '수동'이라는 이유를 문득 이해했다. 나는 흥분하여 아버지에게 말을 걸었다.
- 역시 I was born 이군요.
아버지는 의아한 표정으로 나를 쳐다 보았다. 나는 되풀이했다.
- I was born 이야. 수동형이에요. 정확하게 말하면 사람은 태어나 지는 것이로군요. 자신의 의사와는 관계없이 말예요.
그때 아버지는 어떤 놀라움으로 아들의 말을 받아들였을까. 나의 표정이 그저 순진한 것으로만 아버지의 눈에 비쳤을까. 그것을 정확하게 살피기에는 나는 너무 어렸었다. 나에게 있어서 이 사실은 문법상의 단순한 발견에 지나지 않았기 때문에.
아버지는 아무 말 없이 걷고 있다가 불쑥 이렇게 말했다.
- 하루살이라는 벌레는 말이야, 태어나서 2-3일 만에 죽는다는데 그럴 바에야 도대체 무엇 때문에 이 세상에 태어나는 것인지 하고 그런 것을 심각하게 생각해 본 시절이 있었단다.
나는 아버지를 쳐다 보았다. 아버지는 계속했다.
- 친구에게 그 얘기를 했더니 어느 날 이것이 하루살이라며 확대경으로 보여 주었다. 설명에 의하면 입은 완전히 퇴화되어 먹이를 섭취하기에 적합하지 못하고 위 부분을 절개해 보아도 들어 있는 것은 공기뿐, 아무리 보아도 그렇다. 그런데 알만은 뱃속에 소복이 충만하여 홀쭉한 가슴 부위까지 꽉 차 있었다. 그것은 흡사 현기증 나도록 반복되는 삶과 죽음의 슬픔이 목덜미까지 치밀어 올라온 것 같았다. 차가운 빛의 알이었다. 내가 친구 쪽을 돌아보며 <알이다> 라고 하자 고개를 끄덕이며 대답했다. <애달픈 일이구나>. 그런 일이 있고 나서 얼마 후의 일이었단다. 네 어머니가 너를 낳자마자 그만 세상을 떠나간 것은...
아버지의 그 다음 말은 기억나지 않는다. 다만 하나의 아픔처럼 끊임없이 애달프게 내 뇌리에 꽂히는 것이 있었다.
- 홀쭉한 어머니의 가슴팍까지 숨막히게 가로 메우고 있던 하얀 나의 육체.
동사 '부딪치다'
요시노 히로시
어느 날 아침
텔레비전 화면에 나온 한 명의 여성
일본 최초의 맹인 전화교환원
그 눈은
바깥세상을 흡수하지 못하고
빛을 밝게 반사시키고 있었다
몇 해 전 실명했다는 그 눈은
사회자가 그녀의 출퇴근 모습을 소개했다
'출근 첫날만 어머니의 도움을 받았고
그 후로는 줄곧
혼자서 출퇴근하고 있다고 합니다'
'근무를 시작한 지 오늘로 한 달
편도로 거의 한 시간 동안 만원 전철을 타고……'
그리고 물었다
'아침저녁으로 출퇴근하기 힘드시죠?'
그녀는 대답했다
'네, 힘들긴 힘들지만
여기저기 부딪치면서 걷기 때문에
그럭저럭……'
'부딪치면서…… 말인가요?'라고 말하는 사회자
그녀는 미소 지었다
'부딪치는 것이 있으면
오히려 안심이 되는 걸요'
눈이 보이는 나는 부딪치지 않고 걷는다
사람이나 물체를
피해야만 하는 장애물로 여기며
눈이 보이지 않는 그녀는 부딪치며 걷는다
부딪치는 사람이나 사물을
세상이 내민 거친 호의로 여기며
길 위의 쓰레기통이나 볼트가 튀어나온 가드레일과
몸을 난폭하게 치고 지나가는 가방과
울퉁불퉁한 보도블록과 조바심 내는 자동차의 경적
그것들은 오히려
그녀를 생생하게 긴장시키는 것
친근한 장애물 존재의 촉감
부딪쳐 오는 모든 것들에 자신을 맞부딪쳐
부싯돌처럼 상쾌하게 불꽃을 일으키면서
걸어가는 그녀
사람과 사물들 사이를
눅눅한 성냥개비처럼 한 번의 불꽃도 일으킴 없이
그냥 빠져나가기만 해 온 나
세상을 피하는 것밖에 몰랐던 나의 눈앞에
갑자기 나타나세게 부딪쳐 온 그녀
피할 겨를도 없이 나가떨어져 엉덩방아를 찧은 나에게
그녀가 속삭여 주었다
부딪치는 법, 세상을 소유하는 기술을~
동사 '부딪치다'가 그곳에 있었다
한 여성의 모습으로 미소 지으며
그녀의 주위에는 모든 물체들이 북적거리고 있었다
그녀의 눈짓 한 번에 곧바로 노래를 부를 것처럼
다정한 성가대처럼
생명은
요시노 히로시
생명은
자기 자신만으로는 완성될 수 없도록
만들어져 있는 듯하다
꽃도
암술과 수술이 갖추어져 있는 것만으로는
불충분하며
곤충이나 바람이 찾아와
암술과 수술을 중매한다
생명은 그 안에 결핍을 지니고 있으며
그것을 다른 존재로부터 채워 받는다
세계는 아마도
다른 존재들과의 연결
그러나 서로가 결핍을 채운다고는
알지도 못하고
알려지지도 않고
그냥 흩어져 있는 것들끼리
무관심하게 있을 수 있는 관계
때로는 마음에 들지 않은 것들도 허용되는 사이
그렇듯 세계가
느슨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은 왜일까
꽃이 피어 있다
바로 가까이까지
곤충의 모습을 한 다른 존재가
빛을 두르고 날아와 있다
나도 어느 때
누군가를 위한 곤충이었겠지
당신도 어느 때
나를 위한 바람이었겠지
달팽이 요시노 히로시
자기안에 가만히 머물러 있는 것이 왜 이렇게 견디기 어려운 것일까?
어차피 사람은 자기 밖으로 나가야만 한다.
자신을 버려두고 가든지 자신을 끌고 가든지
결국 자기를 자기 밖으로 끌어내어 미지의 가능성을 시험해 보지 않으면 안된다.
저녁노을
요시노 히로시
항상 그렇듯이
전철은 만원이었다
그리고
항상 그렇듯이
젊은이와 아가씨가 앉아 있고
노인은 서 있다
고개를 숙이고 있던 아가씨가 일어나
노인에게 자리를 양보했다
허둥지둥 노인이 앉았다
고맙다는 말도 없이 노인은 다음 역에서 내렸다
아가씨는 앉았다
다른 노인이 아가씨 앞으로
옆쪽 틈새에서 밀려왔다
아가씨는 고개를 숙였다
그러나
다시 일어나
자리를
그 노인에게 양보했다
노인은 다음 역에서 고맙다는 말을 하고 내렸다
아가씨는 앉았다
두 번 일어난 일은 또 일어난다는 말 그대로
다른 노인이 아가씨 앞으로
또 밀려왔다
가엽게도
아가씨는 고개를 숙이고
그리고 이번에는 자리를 양보하지 않았다
다음 역도
그 다음 역도
아랫입술을 꾹 다물고
긴장된 몸은 굳어졌고...
나는 전철에서 내렸다
몸을 힘을 주고 고개를 숙이고
아가씨는 어디까지 갈 수 있을까
착한 마음을 가진 사람은
언제 어디서나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수난자가 된다
그건
착한 마음을 가진 사람은
타인의 괴로움을 자신의 괴로움처럼
느끼기 때문일 것이다
착한 마음에 압박을 견디면서
아가씨는 어디까지 앉아 갈 수 있을까
아랫입술을 씹으며
괴로운 심정으로
아름다운 저녁놀도 바라보지 못한 채
나나코에게
요시노 히로시
빨간 사과처럼 볼을 붉히고 잠들어 있는 나나코.
어머니를 닮아 나나코의 볼도 빨갛게 되었구나. 한때 윤기 넘치던 어머니의 볼은 이제 조금 헤쓱해졌지.
아버지한테도 쓰라린 기억이 조금씩 늘었어. 말하기 무엇하지만 나나코 아버지는 너한테 많은 것을 기대하지 않을 거야.
우리는 남의 기대를 따르려다 자신을 얼마나 망치는지 아버지는 확실히 알았거든.
아버지가 너한테 주고픈 것은 건강과 자신을 사랑하는 마음이야.
우리가 우리를 잃어버리게 되는 것은 자신을 사랑하는 일을 그만둘 때지. 나를 사랑하는 일을 그만둘 때 우리는 남을 사랑하는 일도 그만두게 되고 세상을 잃어버리고 마는 거야 내가 있을 때 우리가 있고 세상이 있어.
아버지한테도 어머니한테도 쓰라린 고생이 많단다. 이 고생을 지금은 너한테 줄 수 없다.
너한테 주고픈 것은 향기로운 건강과 얻기 힘들고 기르기 어려운 자신을 사랑하는 마음이야.
축혼가
요시노 히로시
두 사람이 화목하기 위해서는 어수룩한 편이 좋다 너무 훌륭하지 않은 편이 좋다 너무 훌륭하면 오래가지 못한다고 깨닫는 편이 좋다
완벽을 지향하지 않는 편이 좋다 완벽 따위는 부자연스럽다고 큰소리치는 편이 좋다
두 사람 중 어느 쪽인가 장난치는 편이 좋다 발랑 넘어지는 편이 좋다
서로 비난할 일이 있어도 비난할 자격이 자신에게 있었는지 후에 의심스러워지는 편이 좋다
바른말을 할 때 조심스레 하는 편이 좋다 바른말을 할 때 상대를 마음 상하게 하기 쉽다고 깨닫는 편이 좋다
훌륭해지고 싶거나 올바르고 싶다고 마음 쓰지 말고 천천히 느긋이 햇빛을 쬐고 있는 편이 좋다
건강하게 바람에 흔들리며 살아 있는 것의 그리움에 문득 가슴이 뜨거워지는 그런 날이 있어도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