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전자·정보통신 조석팔
과학기술인과 시니어과학 기술인의 사회적 책임을 ISO 26000의 관점에서 기술하고자 한다.
1. 과학기술인의 사회적 책임
ISO 26000은 ‘사회적 책임’이 인류의 ‘지속 가능한 발전’에 필수적이라는 인식에서 출발하였다. ISO 26000은 기업, 정부, 시민단체 등 사회를 구성하는 모든 조직이 지배구조, 인권, 노동, 환경, 소비자, 공정 운영, 지역사회 참여와 발전 등 7개 핵심 주제에 대해 준수해야 할 사항을 정리해 놓은 지침서이다. ISO 26000은 OECD 다국적기업 가이드라인, 유엔 글로벌 협약, 국제노동기구(ILO) 협약, 세계인권선언 등의 국제지침을 총망라한 것으로 사회적 책임과 관련된 국제적 이행 지침들의 종합판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비추어 과학기술인의 사회적 책임은 과학자의 연구 결과는 사회적으로 국내외 경계를 넘어 지역과 관계없이 많은 사람에게 막대한 영향을 미치며 사회변동의 중요한 변수가 될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연구자로서의 사회적 책임은 연구의 중립성이나 연구자의 전문적 독점성, 학술 연구의 공공성 등에 관한 문제도 동시에 논의되어야 할 과제이다. 그리고 지식인으로서의 사회적 책임이 있다. 지식인은 전문적인 지식을 가지고 있기에 일반 시민에 대해 통상적으로 계몽적 역할, 설계적 역할, 비판적 역할을 수행해야 할 책임이 있다.
2. 시니어 과학기술인의 사회적 책임
시니어 과학기술인의 사회적 책임에 관해서 크게 3가지 정도로 구분할 수 있다.
(1) 기술의 절차 등 노하우를 후대에게 물려줄 책임
기술의 절차 등 노하우(know-how)를 맨토링과 리더십을 통하여 자립한 기술을 후대에 물려주어야 할 책임이 있다. 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개별 멘토링, 프로젝트 멘토링, 교육훈련, 문서 및 리소스 공유 등을 통하여 후배들이 빠르게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2) 윤리적 리더십에 관한 책임
ISO 26000의 사회적 책임의 프레임워크에 적용하는 부분을 고려할 수 있다. 윤리적 가치 및 원칙 제고, 모범적인 행동모델 제공, 윤리적인 의사결정 지원, 윤리적인 문제해결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3) 사회적 기여 및 공익 활동을 통한 사회적 문제 기여
시니어 과학기술인은 사회적 기여 및 공익 활동을 통하여 지역사회 및 사회적 문제에 이바지할 책임이 있다. 이를 통해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고 지속가능한발전을 촉구할 수 있다. ISO 26000 표준을 참고하여 시니어 과학 기술인들이 사회적 기여 및 공익 활동을 어떻게 수행할 수 있는지에 대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다음과 같은 활동이 가능하다.
① 지역사회 지원 및 봉사활동: 시니어 과학기술인들은 자신의 전문 지식과 자원을 활용하여 지역사회에 이바지하는 봉사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학교나 병원 방문, 환경정화 활동, 사회복지 프로그램 지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② 사회적 문제해결을 위한 프로젝트 참여: 사회적 문제해결을 위한 프로젝트에 참여 즉, 환경 보호, 사회적 불평등 해소, 교육 개선 등 다양한 분야에서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다.
③ 사회적 창업 및 기부활동: 시니어 과학기술들은 사회적 창업을 통해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고 자신의 자원을 기부하여 비영리 단체나 사회적 프로젝트를 지원할 수 있다.
④ 지식과 기술의 공유를 통한 사회적 기여: 보유하고 있는 지식과 기술을 활용하여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데 이바지할 수 있는. 이는 기술 개발이나 혁신적인 해법을 통해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이바지할 수 있다.
<필자소개>
경희대학교 공학박사(전자공학)
전 삼성전자/삼성반도체통신 연구실장
전 성결대학교 정보통신공학부 교수/부총장
현, IEEE Life Member/한국시니어 과학기술인협회 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