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강해(講解) - 효사(爻辭) - 6
上六은 往하면 蹇코 來하면 碩이라
(상육) (왕) (건) (래) (석)
吉하리니 利見大人하니라.
(길) (이견대인)
象曰往蹇來碩은 志在內也오 利見大人은
(상왈왕건래석) (지재내야) (이견대인)
以從貴也라.
(이종귀야)
●상육은 가면 어렵고 오면 큼이라. 길하리니, 대인을 봄이 이로우니라.
상에 가로되, '왕건래석' 은 뜻이 안에 있음이요, '이견대인' 은 귀함을
쫓음이라.
(碩 - 클 석. 從 - 쫓을 종. 시중들 종. )
★뜻풀이
수산건괘 아래로 부터 여섯번째 효에 대한 풀이이다.
상육은 음유한 재질로 蹇의 끝에 있으니, 험한 것을 무릅쓰고 나아가기
보다는 되돌아와 정응인 九三을 구하고,
인군인 九五을 좇아 蹇의 어려움을 건너면 큰 공을 얻어 길한 것이다.
①象辭에 '지재내야' 라고 한 것은 정응인 구삼을 돕는다는 것이고,
'이종귀야' 라고 한 것은 구오를 좇아 큰 공을 이루는 것이니 蹇卦에서
유일하게 吉한 것이다.
②상육이 동하면 巽(風 : 命 , 近利市三培)이니 구오의 명에 복종하여
큰 공을 이룬다.
③양은 큰 것이고, 음은 작은 것이니, 구삼과 구오는 '碩' 이요, 또 구삼
은 艮體의 위에 있는 양이니, '碩果不食' 의 '碩' 이 되는 것이다.
첫댓글 고맙습니다
주역을 봅니다.^^
주역 수산건을 봅니다~^^
수산건의 효사를 봅니다^^
주역하경34괘 수산건 잘읽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