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아굴라와 브리스가 원문보기 글쓴이: 아굴라
'삶으로 가르치는 것만 남는다'는 책의 저자인 김장환 목사의 아들 김요셉 목사는 어머니가 미국인이어서 자랄 때, 자신의 피부색과 높은 코 때문에 놀림과 왕따를 당하며 고통 속에 자랐다.
그가 초등학교 4학년 때 여름, 어머니의 고향 미시간의 기독교학교에 입학했을 때였다. "처음 보는 미국인 학교 정문이 점점 가까워지자 가슴이 콩닥콩닥 뛰었다. 4학년 교실에 배정되었다. 첫 시간은 스펠링 수업 시간이었다. 걱정이 태산이었다. '난 들을 줄만 알지 스펠링은 모르는데, 어떡하지!'"
선생님의 질문에 내가 아는 단어는 하나도 없었다. 점점 내 차례가 다가오자 나는 그만 숨어 버리고 싶었다. '어떻게 하지? 하필이면 스펠링수업이 첫 시간일 게 뭐람! 앞으로 창피해서 학교를 어떻게 다니지?' 고개가 점점 수그러졌다.
'어쩌면 전학 왔다고 선생님이 봐주시지 않을까?' '김요셉! 앞으로 나와 봐!'
내 기대는 무참히 깨졌다. 봐주기는커녕 칠판 앞으로 불러내시다니! 주먹을 움켜쥐고 눈을 내리깐 채 칠판 앞에 섰다. 선생님은 단어카드를 들고 내 옆으로 다가오셨다. 바지에 오줌을 싸기 직전이었다.
"너희들, 이야기했지? 한국에서 온다는 선교사님 자녀 말이야. 얘가 바로 그 요셉이야. 요셉이는 한국에서 태어나 우리와 다른 말을 배우며 자라서 한국어를 아주 잘한단다. 요셉아, 선생님 이름을 한국말로 써줄래?"
"네?"
난 내 귀를 의심했다. 눈물이 왈칵 쏟아질 뻔했다. '한국어로 쓰라고? 영어가 아니고? 그것도 달랑 이름 하나를?'
"선생님 이름은 샤프야!"
나는 칠판에 선생님의 이름을 한글로 또박또박 적었다. '샤프' 까짓 식은 죽 먹기였다. 그러자 여기저기서 탄성과 환호가 터져 나왔다. "내 이름도 한국말로 써 줘! 내 이름은 탐이야!" "나는 메리야!"…
이름을 적을 때마다 아이들은 감탄하며 박수를 쳤다. 근심과 두려움이 순식간에 기쁨과 자신감으로 바뀌었다. 그 날 수업은 더 이상 진행되지 않았다."
못하는 것에 대한 비판이 아닌, 할 줄 아는 것에 대한 선생님의 격려가 한 소년의 삶을 완전히 바꾸어 놓았다. + 2002 월드컵 때, 히딩크 감독이 골을 넣지 못하고 지쳐 있는 설기현 선수를 붙들고 "너는 세계 최고의 축구선수가 될 수 있어. 힘을 내!" 라고 말했다고 합니다.
이태리 전에서 페널티 킥을 실축한 안정환을 붙들고 "다시 너를 믿을 거야. 너는 다시 골을 넣어서 모든 국민들에게 희망을 줄 수 있어!" 하고 하였습니다. 결국 그들은 해 냈습니다.
안정환 선수는 하나님께서 내 머리 위에 골을 얹어 놓는 것 같았다고 간증하였습니다. 이것이 바로 격려입니다. 칭찬과 격려는 힘을 불어 넣어주는 능력입니다.
칭찬과 격려는 다릅니다. 칭찬은 잘한 것을 인정해 주고 높이 평가하는 것이라면 격려는 부족해도, 잘 못했어도 용기나 의욕이 솟아나도록 북독우어 주는 것입니다. 그런데 칭찬과 격려는 상호간에 신뢰가 바탕이 되어야 합니다.
"서로 돌아보아 사랑과 선행을 격려하며"(히10:24)
카페 게시글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출처: 아굴라와 브리스가 원문보기 글쓴이: 아굴라
댓글
검색 옵션 선택상자
댓글내용선택됨
옵션 더 보기
댓글내용
댓글 작성자
연관검색어
환율
환자
환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