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최인엽 입니다.
" FF금리 0.25%, 재할인률 0.75% 인하 예상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file.moneta.co.kr%2Fweb_file%2Fimages3%2Fstocks_normal%2FN00301%2F4%2FSaveImg0%5B20070918095748%5D.jpg)
예상대로 조용한 월요일이 마무리 되고 금리결정일을 하루 앞에 두고 있습니다. 이제 FOMC
금리결정문 발표전 마지막 시장 점검이 될듯 합니다. 부디 예상문제 범위내에서 결정이 내려
지길 바랄 뿐입니다. 금리인하의 방향을 제시할 선도지표로 정하고 모니터링 해온 채권시장의
10년물 재무성 채권수익률 일봉 챠트 확인해 보겠습니다.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file.moneta.co.kr%2Fweb_file%2Fimages3%2Fstocks_normal%2FN00301%2F4%2FSaveImg1%5B20070918095748%5D.jpg)
연 5일째 양선을 그리고 있긴 하지만 지난번 최근 하락세의 고점과 저점들을 이어 도해해
보았던 하락채널을 벗어날 정도는 아니기 때문에 모든 시장 정보를 종합적으로 반영하고
있는 채권시장의 컨센서스는 내일 금리인하 결정을 할 것임을 의심치 않고 있습니다.
하지만 하루전인 오늘 까지도 얼마나 내릴 것인가에 대한 논의는 사그라 들줄을 모르고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이에대해 현지의 컨센서스를 정리한 CNBC의 보도를 정리해 드리면, FF
목표금리(Federal Fund Target Rate)는 지난 1년여간 유지되 오던 5.25%에서 5.00%로
0.25% 인하하고, 재할인율(Discount Rate)은 8월 17일 기존 6.25%에서 5.75%로 0.5%
인하한데 이어 이번엔 0.75% 추가인하해 5.00% 로 인하할 전망이 우세하다고 합니다.
FF 통제목표금리는 기존의 예측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선에서 전망되고 있지만, FF금리
대비 최고 1%의 스프레드를 유지하던 재할인률이 격차를 없애어 함께 5.0%로 인하된다면
그 의도는 은행권의 우회적 돈줄인 CP등의 융통 상황을 호전시켜 간접적 자금지원 효과를
보겠다는 계산일 것입니다.
만일, 금리를 인하하지 않는다면요? 엄청난 실망매물이 쏟아질 것이라는데 이견이 없죠..ㅠㅠ
이정도로만 정리하면 또 제 사견을 물으실 분이 계시죠? 제 사견은 현지의 컨센서스와 항상
함께 합니다^^ 교묘한 답변 회피가 아니라 실제 그렇구요, 다만 이번에 금격한 FF목표금리
인하(0.5% 이상인하)가 없을 것임을 기대하는 것은 신용경색 국면이 아직 진행형이며,
내년 봄까지 피크를 이룰 것이기 때문에 최악의 순간을 위한 추가적인 시장 통제장치를
확보해야 하는 상황에 있다는 것은 금리를 결정하는 금리결정에 참여하는 버냉키 의장을
포함한 7인의 위원, 4인의 주요지역 FRB의장들이 누구보다 잘 알고 있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아래는 FRB시스템이 어떻게 구성되고 FOMC금리결정위원으로는 누가 참여하는지, 또
각각의 기능으로 금융시장을 어떤 툴로 조정하는지를 도식으로 나타낸 그림입니다. 이해에
도움이 되실 것 같아 첨부합니다.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file.moneta.co.kr%2Fweb_file%2Fimages3%2Fstocks_normal%2FN00301%2F4%2FSaveImg3%5B20070918095748%5D.jpg)
시장은 이번 금리결정에 참여하는 위원들의 언급을 거의 한번씩 들어본 상태이기 때문에
별다른 이견을 제시하지 않고 있는 상태인 것이며, 작금의 주변 상황이 근원물가에 작용하는
상품(Commodity)의 시세나 환율등 어느것 하나 통제 수단으로 쓰기엔 호락하지 않은 상황
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이번엔 큰 폭의 하락 결정은 무리수라는 결론이 나옵니다.
상품시세 얘기가 나와서 말인데, 이 부분은 참 우려스러운 동시에 한편으론 에너지 헤게모니
를 잡고 있는 미국과 중동의 의도가 무엇인지 의아스럽게 만들고 있습니다. 올 초 까지만
하더라도 FRB의 버냉키가 금리결정에 인플레이션 지표의 등락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칠 것이고
인플레이션 통제에 총력을 기울일 것이란 의지를 밝히면 어김없이 꼬리를 내리던 상품지수가
오늘은 금리결정일 하루전날임에도 불구하고 고개를 빳빳이 쳐들고 있습니다. 상품시장
관계자들이 FRB의 내일 결정을 조롱하는 듯 합니다.ㅠㅠ
시장의 컨센서스가 금리인하로 귀결되다 보니 그렇게 되면 당연히 달러화가 추가적인 약세
를 보일 것이고, 그렇다면 화폐자산 대비 실물자산으로의 유동성 이동은 추세를 이룰 것으로
판단하고 있는 듯 합니다. 금리결정 하루전 까지 상승고삐를 늦추지 않고 있는 유가를 포함한
종합상품시세를 CRB지수를 통해 점검해 보겠습니다.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file.moneta.co.kr%2Fweb_file%2Fimages3%2Fstocks_normal%2FN00301%2F4%2FSaveImg2%5B20070918095748%5D.jpg)
쉬운 것이 하나도 없군요. 금리결정을 모두가 기다리고는 있지만 가장 찝찝한 부분이 이
상품가격의 상승세입니다. 특히, 유가는 오늘 종가상 다시 배럴당 $80를 넘어서고 있는데요,
골드만삭스의 보고에 따르면 연말까지 $85에 이르고 내년중엔 $90에 이를 것이란 전망을
내놓고 있습니다. 기존 올 연말 유가전망이 배럴당 $72 선이었는데 이렇게 올려잡은데
대한 사유는 세계석유수요 대비 공급이 너무 tight 하다는 것입니다. 지난 주 OPEC
(Organization of Petroleum Exporting Countries) 증산결정에 대해서도 한마디로
짤라 이렇게 말하고 있습니다.
"too little, too late." "너무 조금 느렸을 뿐만아니라, 너무 늦었다"
세계 석유 수요대비 OPEC의 증산 행보가 얼마나 짜게 이루어 지고 있는지 엿볼 수 있는
대목입니다. 이런 상황이 지속되다 보니 미래 한 국가의 경제성장이 에너지 확보에 달렸다고
보아도 과언이 아닐 것이며, 우리나라를 비롯한 중국, 인도 등 신흥경제대국들도 석유거식증
에 걸린듯 비축물량 확보에 혈안이 되고 있어 골드만삭스의 전망은 그리 억측이 아닌 듯 합니
다.
반면 달러화는 미국의 금리인하 결정을 예상한 해외자금의 미국채 가격 상승예상에 따른
자금 유입으로 소폭 반등을 보이곤 있습니다만 최근 하락추세를 거스를 정도는 못됩니다.
US Dollar 지수 일봉 챠트 첨부합니다.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file.moneta.co.kr%2Fweb_file%2Fimages3%2Fstocks_normal%2FN00301%2F4%2FSaveImg4%5B20070918095748%5D.jpg)
이밖에 비중있는 소식으로는 온라인증권사인 E*Trade Financial 이 투자사들의 모기지
매수에 나섰다가 돈을 날리는 바람에 기존 전망보다 30% 정도가 적은 주당 순이익을 보고
하여 현재시간 시간외 거래에서 8% 이상 급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더우기 E*Trade
Financial 은 투자손실을 커버하기 위해 $245 million 를 적립해야 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E*Trade Financial 이야 큰 영향을 주는 기업은 아니지만 내일 금리결정일 발표될
Lehman Bros.의 분기실적 발표와 수요일 Morgan Stanley , 목요일 Bear Stearns
와 Goldman Sachs 로 이어지는 실적발표에는 이들 기업이 부실 모기지와 관련하여
얼마나 큰 손실을 반영했을지가 관건이 될 것입니다.
기타 주요지표들의 변화동향 훑어 보시구요...
기타 부문별 주요지표들의 일일변화 동향 (현지동부시각 4 p.m. 기준) |
|
월요일 |
금요일 |
일변동 |
월변동 |
연변동 |
채권수익률 |
|
|
|
|
|
13-week Treasury bill |
3.990% |
3.880% |
0.110 |
0.00% |
-18.32% |
5-year Treasury note yield |
4.202% |
4.177% |
0.025 |
-1.15% |
-10.61% |
10-year Treasury note yield |
4.470% |
4.462% |
0.008 |
-1.48% |
-5.10% |
30-year Treasury bond yield |
4.714% |
4.724% |
-0.010 |
-2.42% |
-2.16% |
주요 환율 |
|
|
|
|
|
U.S. Dollar 지수 |
79.54 |
79.46 |
0.08 |
-1.59% |
-4.76% |
British pound in dollars |
$1.9964 |
$2.0076 |
-0.0112 |
-1.08% |
1.88% |
Dollar in British pounds |
£0.5009 |
£0.4981 |
0.0028 |
1.09% |
-1.84% |
Euro in dollars |
1.3873 |
1.3877 |
-0.0004 |
1.76% |
5.11% |
Dollar in euros |
유로0.7208 |
유로0.7206 |
0.0002 |
-1.73% |
-4.86% |
Dollar in yen |
¥115.15 |
¥115.25 |
-0.10 |
-0.52% |
-3.25% |
주요 상품 |
|
|
|
|
|
Gold |
$723.80 |
$717.80 |
$6.00 |
6.14% |
13.45% |
Copper |
$3.4200 |
$3.3925 |
$0.027 |
0.68% |
19.12% |
Silver |
$12.9000 |
$12.7050 |
$0.20 |
5.48% |
-1.78% |
Crude oil (NYMEX) |
$80.57 |
$79.10 |
$1.47 |
8.82% |
31.97% |
좋은 하루 되세요~
첫댓글 팍스넷의 최인엽님글입니다. 저작권 문제가 있으면 자진해서 삭제하겠습니다.
자료 잘보고 갑니다^*^
좋은정보![대박](https://t1.daumcdn.net/cafe_image/pie2/texticon/ttc/texticon6.gif)
![대박](https://t1.daumcdn.net/cafe_image/pie2/texticon/ttc/texticon6.gif)
![!](https://t1.daumcdn.net/cafe_image/pie2/texticon/ttc/texticon54.gif)
![!](https://t1.daumcdn.net/cafe_image/pie2/texticon/ttc/texticon54.gif)
![!](https://t1.daumcdn.net/cafe_image/pie2/texticon/ttc/texticon54.gif)
고맙습니다.![~](https://t1.daumcdn.net/cafe_image/pie2/texticon/ttc/texticon28.gif)
![~](https://t1.daumcdn.net/cafe_image/pie2/texticon/ttc/texticon28.gif)
![!](https://t1.daumcdn.net/cafe_image/pie2/texticon/ttc/texticon54.gi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