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ower Output |
RMS 30W x 2 (@ fo=1kHz, 10% THD, ) |
THD+N (Amplifier) |
0.2% (@fo=1kHz, PO=9W ) |
Signal-to-Noise Ratio (Amplifier) |
90dB(A Weighted) |
Input Sensitivity |
450mV |
Input Impedance |
20K Ohms |
Input Port |
Dual stereo RCA Line-in |
Treble upgrade of |
4.5dB (@ 10kHz) |
Controller |
Volume, Super Bass |
Speaker Impedance |
4 Ohms |
Bass driver unit |
4 inch (106mm), Kevlar cone, magnetically shielded |
Treble driver unit |
1 inch, Silk dome, magnetically shielded |
Size of Single Cabinet |
160mm(W) x 280mm(H) x 190mm(D) |
Gross Weight |
about 9.5Kg |
Power Requirment |
220V, 60Hz |
MAX Power |
60W |
For Use With |
HTPC, AVPC(high quality sound card),MiDi 장비 |
◇ 제품 특징
Hi-Fi Groovy Sound
: 소스의 정보를 바닥까지 긁어 내는 듯한 해상력과 현장감을 뜻하는 용어로 해상력을 극대화시켜 청취자로 하여금 실제 연주와 공연의 모든 sound 소스와 질감을 느끼게 하고, 초 대역의 섬세한 표현력과 매우 깨끗한(명확한) 음상을 맺게 하여 정확하고 풍부한 음장감을 재생하는 sound technology입니다.
Silk Dome Tweeter 사용
: Britz 고유의 rein-forcism 기술의 배합으로 1200Hz부터 20kHz까지 평탄한 주파수 재생을 이뤄냈으며, 왜곡 되지 않은 맑고 선명한 고역을 재생해 줍니다.
Kevlar Cone Woofer Drive Unit
: 고급 HI-FI 스피커에서 사용되는 케브라콘 우퍼 드라이브를 통하여 새로운 수준의 세련됨과 고해상력, 역동적인 힘의 표현과 완벽한 음악적 흥분을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만일 당신이 정확하고 민첩한 속도와 뛰어난 해상력을 원한다면 이 BR-1800 Classic을 적극 추천합니다.
Dual Input
: 멀티 입력 즉 듀얼 입력을 지원합니다.
1. 2가지 이상의 음원 장치 (PC, MP3 또는 PC, TV 등) 와 동시에 연결 되어 다른 장치에 연결하기 위해 라인을 빼고 다른 장치에 끼는 등의 불편한 라인 이동 없이 두 가지 이상의 음원을 동시에 연결해 두었다가 원하는 플레이어 장치의 재생만 시키시면 바로 청취할 수 있도록 한 편리한 장치 입니다.
2. 또한 LINE IN A 단자에는 고음부 증폭 회로를 내장하여 맑은 고음을 좋아 하시는 분들에고 보다 좋은 고음 출력을 선사해 드립니다.
참고: 4채널 사운드 카드를 동시에 연결하시면 동시에 음악이 나오게도 할 수 있으므로 가상 4CH 출력도 가능합니다.
90dB의 고 해상력
: 해상력이 높은 스피커 일수록 노이즈가 높아지는 요인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BR-1800 Classic 제품은 이러한 문제를 말끔히 해결, S/D Ratio 90dB을 자랑합니다. 이로써 고출력에도 높은 해상력을 출력해 냅니다.
인클루져 두께 12mm MDF
: 외부 진동에 강하고 내부 최적의 내구성과 용적률을 확보하는데 성공하였고, 음악의
실재적 깊이감을 표현, 인상적인 것은 깊고 낮은 저음을 재창조해 냅니다.
Aluminium Heatsink for cool operation
: 고 출력의 앰프를 사용하는 만큼 발열률이 매우 중요합니다.
때문에 발열 효율이 매우 탁월한 알루미늄 방열판을 사용하여 최상의
청취환경을 제공합니다.
Design
: 어떠한 곳에서도 어울리는 디자인과 색상 그리고 수준 높은 외부 마감은 한층 세련되고 고급화된 디스플레이를 선사합니다.
BR-1800 Classic
BR-1000A (출처 : 케이벤치)
- 예전 BR-1000A에서는 기존의 브리츠 제품들 보다 더욱 박스패키지에 신경을 많이써서 그런지 박스에서 고급스러운 제품의 이미지를 보이면 제품을 잘표현하고 있었다.
이번 BR-1800 Classic (이하 BR1800)에서도 클래식이라는 이름에 어울리게 고급스러운 스타일로 박스가 인쇄되어 있다. 그냥 무지 박스에 들어있어도 스피커만 좋다면 문제가 되지 않지만 이왕이면 다홍치마라고 박스 역시 깔끔하면 더욱 좋지 않나 쉽다.
클래식 풍의 박스 디자인
BR-1800 Classic만의 특징
- BR1800은 기존의 PC스피커와 차별화을 선택하고 있는데 그렇기에 일반 미니컨퍼넌트 같은 느낌을 주고 있다. 유화 이미지를 바탕으로한 클래식 풍의 고급스러운 박스 이미지가 기존의 PC스피커와 어느정도 차이를 두고 있으며 측면에 제품의 특징이 깔끔하게 표현되어 있다. 확실히 기존의 브리츠 제품들과는 다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위에서 얘기했지만 패키지와 스피커의 성능은 아무런 상관이 없다. ^^;;)
- 2채널 스피커이기에 내부엔 보호용 스트로폴로 간단하게 포장이 되어 있다.
- 제품을 개봉하였다. 역시 9.5Kg의 무게는 상당히 묵직하게 느껴지며, BR1800은 그냥 봐도 BR-1000A와 상당히 많이 닮은 것을 알수 있다. (원목 디자인과 노란색 유닛~~)
지금부터 BR-1800 Classic에 대해서 하나씩 자세히 알아보자.
|
|
- 그릴의 크기만 따지만 기존의 1000A와 동일한 사이즈를 가지고 있는데 후면에 있던 덕트가 전면으로 옮겨지면서 커진 것 같지만 그로 인해 울림통(인클로져) 공간이 더욱 넓어져 유닛에 더욱 효과적이다. BR1800을 보면 PC스피커라고 하기 보다는 컴퍼넌트에서 꼭 스피커만 때온 것 같은 느낌을 준다. 일반적으로 제품의 브랜드명은 그릴이나 보이는 곳에 표기되어 있지만 이제품은 브랜드명이 그릴에 가려져 그릴장착후에는 아무런 로고도 없는데 이런 점이 더욱 컴포넌트의 느낌을준다. 2 Way 스피커로써 트위터와 우퍼유닛을 되어 있는데 트위터가 유닛에 반쯤 걸쳐져 있다. 이전의 5.1ch제품인 BR-5100S의 유닛 고정방식과 동일하다.
1인치 실크돔 트위터
- 이번에 BR1800에서는 유닛이 모두 변경되었는데 먼저 고역대를 담당하고 있는 트위터를 보자.
1인치의 실크 돔을 사용하고 있는수 Rein-forcism기술의 배합으로 1200Hz부터 20kHz까지 평탄한 주파수 재생을 이뤄냈으며, 왜곡 되지 않은 맑고 선명한 고역을 재생해준다고 한다. 실제 재생해보지 않으면 확인할 수는 없지만 저가형에서 많이 사용하는 플라스틱 재질의 소프트 돔 보다는 좋은 성능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존의 BR-5100S에서 사용된 트위터와 표면상으로 차이는 없는거 같다.
트위터! 소프트 돔과 하드 돔 |
트위터의 경우 돔형이 대다수를 이루고 있는데, 이는 생긴 모양대로 주위에 넓게 모든 방향으로 공기를 움직일 수가 있으며 직진성이 강해 중고음을 내기에 적합하다. 트위터의 재질에는 크게 천 종류의 재질을 사용하는 소프트 돔 트위터와 금속재질을 사용하는 하드 돔 트위터로 나뉘어진다. 소프트 돔의 재질에는 실크, 플래스틱, 폴리에스테르 등 유연한 재질을 사용하는데, 하드 돔보다 초고역 재생에 있어서 정확한 동작이 이루이지 않는다고 하여 7, 80년대 개발된 이후 사용된 것이 90년대 초에 이르러 많이 쇠퇴하였다. 출처 : woneumaudio.co.kr |
4인치 케블라콘 우퍼 유닛
- 이번 BR1800에서 가장 큰변화가 바로 중저역대를 담당하는 우퍼 유닛의 변경일 것이다. 이 제품에 사용된 유닛의 콘 재질은 Kevlar Cone으로 합성섬유를 기본재료로 사용하고 있다. 이 유닛은 고급제품들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 기존의 펄프재질의 콘과 비교하여 음의 왜곡을 줄이고 더욱 명료한 음질로 재생해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10만원 이하의 PC스피커에서 볼수 없는 유닛이다.
Kevlar Cone
- 독특한 형태를 띄고 있는 케블라 콘이다. 케블라는 합성섬유의 일종으로 주로 사용되는 곳은 방탄복과 헬멧이다. 일반 섬유에 비해 상당히 높은 강도와 고무와 같은 탄성을 가지고 있어 콘지로 쓰기엔 딱 좋은 제품이다. (누가 이것을 스피커에 사용할 생각을 했을지~~~??)
더스트캡은 기존과 동일한 프로필렌 수지을 사용하고 있다.
부드러운 엣지
- BR1800에 사용된 고무 엣지는 상당히 부드러운 것을 사용하고 있는데 질만 잘들이면 부드러운 소리를 들려줄것으로 예상된다.
전면 덕트
- 1000A에서 후면에 있던 덕트가 전면에 장착되었다. 덕트가 깔끔하게 처리되어 있으며 위쪽에는 유일하게 브리츠제품임을 알리는 로고가 새겨져 있다. 하지만 그릴을 덥으면 볼수 없다. ^^;;
- 처음 1000A를 구입했을 때 원목을 그대로 사용하는 알았는데 원목 무늬의 시트지를 사용했던 것이다. BR1800 역시 원목 무늬 시트지로 잘 마무리 되어 있다. 속은 같은 MDF 재질이다.
|
|
- 2채널 스피커로써 오른쪽 스피커 후면에 엠프가 내장되어 있으며 콘트롤부 역시 후면에 장착되어 있다.
|
|
- 원 제품명이 BR-1800 EPISODE III 이다. (어떠한 뜻이 있는지? ^^; ) 엠프와 왼쪽 스피커 연결은 클립식 단자를 사용하고 있어 추가 케이블 연결이 용이 하다. BR1800에 사용된 클립식 단자는 단자홈이 작아 필자가 사용하는 OFC 케이블 꽉끼여 잘 들어가지 않았는데 이점이 조금 아쉽다.
(번들로 제공하는 케이블은 문제 없이 사용이 가능하다.)
- BR1800는 볼륨과 베이스 콘트롤이 가능하여 Treble는 조절 할 수 없다. 입력단은 RCA 단자를 사용하고 있으며 2개의 단자을 지원하고 있다. 여기서 입력단의 A는 B와 조금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A 입력단에 연결시 내장되어 있는 고음증폭회로로 인해 더욱 맑고 선명한 높은 고음을 출력할 수 있다. Treble 조절단자 대신이라고 생각해도 맞을 것이다.
확실히 B단자의 연결보다 A단자에서 선명한 고음을 들려주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필자의 경우 저음보다는 고음을 좋아하는 성향을 가지고 있어 A 단자에 연결해 사용하고 있다.
저음부를 좋아하는 유저라면 디폴트 타입의 입력단인 B단자 연결을 권하고 싶다.
그리고 2개의 단자을 제공하고 있어 컴퓨터 뿐만 아니라 MP3P, CDP, DVDP등을 같이 연결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운드카드에서 4ch을 지원 한다면 동시 출력이 가능하다.
- 이전 BR-1000A 사용시절부터 아쉬움 점이었던 콘트롤 단자의 위치가 BR1800에서도 똑같이 뒤에 장착되어 있다. 지금은 디코더 사용으로 건드릴 이유가 없다. 하지만 BR-1000A의 경우야 전면에 그릴로 장착할 곳이 없었지만 BR1800에서는 덕트 주변에 공간이 많은데 이곳에 콘트롤 부를 장착했으면 더욱 좋지 않았을까 생각한다.
PS. 또 다르게 생각하면 전면에 콘트롤부를 장착할 경우 BR-1800 Classic의 전체적인 디자인에 맞지 않을수 있다. 회사의 로고 까지 그릴속에 새겨둔 것을 보더라도 PC스피커보다는 미니컴포넌트 같은 느낌을 주고 싶어하는 것 같은데 여기에 콘트롤부를 장착한다면... ^^;;
역시 편의성이냐 디지인이냐?가 쟁점인 것 같은데 브리츠에서는 디자인을 선택한 것으로 생각된다. 만약 나라면 어떤 것을 선택했을까 생각해보면 아직까지 답이 나오지 않고 있다. ^^;;
출력이 올라가면 방열판은 필수!
|
|
- 출력이 60W로 올라가면서 발열이 심해졌다. 후면에 커다란 방열판이 장착되어 있어 발열을 해결하고 있으며 바로 밑에 전원 on/off 단자와 왼쪽 스피커 출력용 단자가 장착되어 있다.
사용하지 않아도 전원을 켜두면 엠프가 작동하고 있어 방열판이 뜨끈뜨끈하므로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전원을 off 시키는 것이 좋다.
- 2개의 RCA 입력단을 지원하고 있어 케이블도 2개를 제공하고 있으며 길이는 1.5m가량 된다.
스피커간의 연결 케이블은 2m 정도의 길이를 가지고 있어 책상위의 설치에는 부족하지 않다.
이렇게 인데요 가격대가 지금 6만원대 초반이거든요
컴퓨터에다 연결안하고 바로 pc1x 에 연결해서 쓰려고합니다 저 스피커 구매하면
추가 연결선 없이 pc1x에 사용 가능한지요
혹시 써보셨거나 아시는분 있으시면 답변좀 부탁드립니다
오늘 낙원상가 갔는데 너무 비싼것만 추천해가지고요 ㅜ.ㅜ
첫댓글 모니터스피커는 대부분 어느정도 이상 가격이 있죠. ^^;; pc1x를 사시면 그에따른 추가장비들이 상당할꺼에요. 오디오카드에 연결하셔서 컴퓨터 킬때만 소리나도록 하시던지 아니면 믹서를 사셔야할꺼같은데요.. 저거 스피커하나 사면 컴퓨터에 연결하고 pc1x도 컴퓨터에 연결한다고 pc1x소리가 스피커로 나지는 않아요... 그리고... 다음부터 질문은 질문란에 올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네 답변 감사드립니다 질문란에 올릴게요 ^^;;;
1000a 의 경우 돈 없을때 대충 쓰는 녀석입니다만 진짜 모니터 스피커하고는 확연히 다릅니다. 예전에 같이 살던 후배가 1000a 사용했었고, 당시 같이 살던 형은 모니터 스피커 치고는 이름도 없는 4인치짜리 크리에이티브 제품을 사용했었습니다만(14만원짜리) 동시 비교를 해봐도 1000a는 소리가 명료하지 않고 저음이 너무 벙벙거리는 느낌이 들구요. 단 일반 PC 스피커와 비교하자면 그 가격에 그 정도. 라는 평으로 사용하는 제품입니다. 저걸 "모니터 스피커" 라고 생각하시면 절대 안 됩니다. 물론 지금 올려주신건 1800이고 소리를 직접 들어봐야 알겠습니다만, 일단 가격면만 봐도 그다지 신용하고 싶지는 않아지는군요-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