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유산 등재 합의 후속 조치
참석자 수준.추도사 내용 등
일본 정부 진정성 가늠자 될 듯
일본 사도광산에 강제동원된 한국인 노동자 등을 위한 추도식이 오는 24일 개최된다.
한,일 정부가 지난 7월 사도광산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에 합의한 데 따른 후속 조치다.
일본 정부의 참석자 수준과 추도사 내용 등이 일본 측의 진정성을 가늠할 수 있는 잣대가 될 것으로 보인다.
사도광산 추도식이 24일 일본 니카타현 사도시에 있는 아이카와 개발종합센터에서 열린다고 외교부가 20일 밝혔다.
추도식은 일제강점기 사도광산에 강제동원된 한국인 노동자와 일본인 노동자를 추모하는행사다.
일본 민간단체와 지방자치단체로 구성된 '추도식 실행위원회'가 주관한다.
일본 측에서는 민간단체와 지자체, 정부 관계자 등이 참석할 예정이다.
한국 측에서는 강제동원 파해자 유가족 11명과 정부 관계자가 자리한다.
한국 정부는 지난 7월 말 사도광산의 세계문화유산 등재에 반대하지 않기로 일본 정부와 합의했다.
일본 정부는 힌국인 노동자의 역사를 알리는 전시물을 설치하고 올해부터 매년 추도식을 개최키로 약속했다.
추도식 명칭은 '사도광산 추도식'으로 결정했다.
일본 정부가 행사명에 '감사'라는 단어를 포함할 것을 주장했고 한국 정부는 반대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일본 정부 참석자의 급은 아직 협의 중이다.
한국 정부는 일본 정무관(차관급) 이상이 참석할 것을 요구해왔다.
추도식의 의미를 살리기 위해서는 정부 고위급이 나와야 한다는 것이다.
추도사의 내용도 한.일 양측이 최종 조율하고 있다.
추도사에서 한국인 노동자를 별도로 언급하지 않거나 강제동원의 강제성을 희석하는 듯한 내용이 담긴다면 논란이 일 수 있다.
앞서 한국 정부는 일본이 한국인 노동자의 역사를 알리는 전시물에 '강제'라는 직접적인 표현을 뺴면서
'협상 실패'라는 비판을 받았다.
강제동원 한국인 피해자의 유가족 11명은 사도광산 관련 시설도 방문할 예정이다. 정희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