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견&문의 이용 안내
검색어를 입력하세요.
전체메뉴
일심삼관 (一心三觀)
글자 크기
의견 제시
URL 복사페이스북 공유트위터 공유
불교 개념
천태종에서 일심에 모든 것이 갖추어져 있다는 것을 공가중의 세 가지 측면에서 관하는 불교교리. 관법.
접기/펼치기
목차
정의
내용
참고문헌
접기/펼치기
정의
천태종에서 일심에 모든 것이 갖추어져 있다는 것을 공가중의 세 가지 측면에서 관하는 불교교리. 관법.
접기/펼치기
내용
공관(空觀) · 가관(假觀) · 중관(中觀)이라고도 약칭하며, 공가중(空假中) 삼관이라고도 한다. 이때의 삼관은 『보살영락본업경(菩薩瓔珞本業經)』의 종가입공이제관(從假入空二諦觀) · 종공입가평등관(從空入假平等觀) · 중도제일의제관(中道第一義諦觀)을 바탕으로 하여 정립한 것이다.
공관은 삼라만상주1이 모두 공무(空無)하므로 한 물건도 실재하는 것이 없다고 관하는 것으로, 견사(見思)의 혹(惑)을 끊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견사의 혹이란 과거 · 현재 · 미래 삼세(三世)의 도리에 미혹되어 있는 견혹(見惑)과 사상(事象)에 미혹되어 있는 사혹(思惑)을 합한 것으로서, 이 두 가지가 중생 세계의 생사(生死)를 일으키는 것이라고 한다.
가관은 삼라만상의 어느 한 물건도 실재하는 것은 아니지만 현상적으로는 분명하게 있는 것을 관하는 것으로, 진사의 혹이란 티끌과 같이 많은 무지(無知)를 뜻하는 것으로, 공관에 의하여 공(空)의 이치에 집착한 채 삼라만상이 가지고 있는 차별적인 모습을 꿰뚫어보지 못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공관을 통하여 현상의 세계에 존재하고 있는 양상을 관찰하고 보살의 자비를 키워가는 것이다.
중관은 모든 법이 공도 아니고 유(有)도 아니며, 공이면서 유요, 유이면서 공임을 관하는 중도적 입장의 관법으로서, 이 관법에 의하여 무명(無明)의 혹을 끊게 된다. 무명의 혹은 모든 것이 일법계(一法界)임을 알지 못하는 미세한 번뇌이며, 이 번뇌를 끊게 되면 해탈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삼관을 닦는 방법으로는 이 세 가지 관법을 별개의 것으로 나누고, 그 다음에 세월을 두고 관하는 별교(別敎)의 삼관과 일념(一念) 가운데 공가중(空假中)이 융화된 진리를 관하는 원교(圓敎)의 삼관으로 나누어진다. 특히, 원교의 삼관은 일념의 마음이 대상이 되는 것으로, 일심이 공하면 일체가 공하고 일심이 가이면 일체가 가이며, 일심이 중이면 일체가 중이라고 하였다. 즉 일심을 관조하여 대상에 사로잡히는 마음을 파하고 모든 현상을 살필 뿐만 아니라 절대의 세계까지를 체달하는 것이다.
이 일심삼관의 사상은 회삼귀일(會三歸一)주2의 사상과 함께 고려의 후삼국통일에 밑거름이 되었다. 고려 태조는 “삼관이 일심에 있다는 깊은 묘법(妙法)이 삼국을 통합하는 것과 계합한다.”고 한 도선(道詵, 827-898)의 주장을 매우 중요시하였다. 그리고 의천(義天)이 일심삼관을 닦으면 미혹을 깨쳐서 무애자재(無碍自在)할 수 있음을 강조하게 됨에 따라 그 뒤 우리나라의 천태종에서는 이 관법을 매우 중요시하게 되었다.
접기/펼치기
참고문헌
『마하지관(摩訶止觀)』
『천태사교의(天台四敎義)』
『호산록(湖山錄)』
『대각국사문집(大覺國師文集)』
접기/펼치기
주석
주1
우주에 있는 온갖 사물과 현상. 우리말샘
주2
세 가지가 하나로 돌아감. 법화경에서 성자를 상징하는 성문, 연각, 보살의 삼승이 법화를 상징하는 일승을 지향하라는 가르침을 이른다. 우리말샘
접기/펼치기
관련 항목
무명 불교 개념 인간의 괴로움 또는 근본 번뇌를 의미하는 불교교리.
고려 고려시대사 지명 918년 개성 출신 왕건이 건국하여 936년 후삼국을 통합한 뒤 1392년 멸망 때까지 34명의 왕씨 출신 국왕이 474년 동안 통치한 왕조.
후삼국 통일 고대사 사건 10세기 초에 후삼국 가운데 하나인 고려가 신라와 후백제를 차례로 흡수하여 통일한 사건.
태조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의 제1대(재위: 918년~943년) 왕. 고려 태조.
도선 불교 인물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도선비기』, 『송악명당기』, 『도선답산가』 등을 저술한 승려.
의천 불교 인물 고려전기 국사, 승통, 국청사 제1대 주지 등을 역임한 승려.
천태종 불교 단체 고려시대에서 조선 초기에 걸쳐 있었던 불교의 한 종파.
접기/펼치기
집필자
이지수
불교 인물
경식
개항기 때, 해인사 완허의 제자로 평신에게 선교를 배운 승려.
불교 인물
뇌학
조선후기 명주사 자흠의 제자로 설송의 법맥을 계승한 승려.
불교 유적
대련사
충청남도 예산군 광시면 봉수산(鳳首山)에 있는 삼국시대 백제의 승려 의각과 도침이 창건한 사찰.
불교 유적
대산사
경상북도 청도군 각남면 월은산(月隱山)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의 승려 원효가 창건한 사찰.
불교 인물
덕기
일제강점기 범어사 주지, 임시정부 고문 등을 역임한 승려.
불교 유적
도솔암
경기도 파주시 광탄면 고령산(高嶺山)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승려 도선이 창건한 암자. 보광사.
불교 유적
만경사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북한산(北漢山)에 있는 조선후기 문신 홍이상이 창건한 사찰.
불교 유적
만월암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산(道峰山) 만장봉(萬丈峰)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의 승려 의상이 창건한 암자.
불교 유적
망경사
강원도 태백시 태백산(太白山)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의 승려 자장이 창건한 사찰.
불교 문헌
목련경
석가모니의 제자 목건련의 지극한 효성을 수록한 불교경전.
불교 유적
묘봉암
경상북도 영천시 청통면 팔공산(八公山)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심지가 창건한 암자. 은해사.
불교 인물
묘잠
조선후기 영혈사 성률의 제자로 설우의 법맥을 계승한 승려.
불교 인물
무외
조선후기 『대원집』을 저술한 승려.
불교 유적
미륵암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五臺山)에 있는 삼국시대 에 창건된 암자. 월정사.
불교 유적
미륵암
경기도 의정부시 부용산(芙蓉山)에 있는 조선전기 혜암이 창건한 암자.
불교 문헌
반야경
대승불교 초기에 반야부 경전을 집대성한 불교경전.
불교 유적
반월암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삼성산(三聖山)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의 승려 원효가 창건한 암자.
불교 유적
백운사
경기도 의왕시 백운산(白雲山) 동남쪽에 있는 조선후기 청풍김씨가 중건한 사찰.
불교 유적
백화암
경기도 양주시 불곡산(佛谷山)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승려 도선이 창건한 암자.
불교 유적
법련사
경기도 시흥시에 있는 조선후기 에 창건된 사찰.
불교 인물
법함
조선후기 석왕사(釋王寺) 성지수호선교양종도총섭, 오대금강계단도원장 등을 역임한 승려.
불교 개념
법화삼매
『법화경』에 근거해 여섯 때를 정해 참회 · 권청 · 수희 · 회향 · 발원 등 5문의 차례에 따라 죄업을 참회하는 불교수행법. 육시오회.
불교 의례·행사
법화회
매년 11월 16일에서 정월 15일까지 당나라 적산의 신라 법화원(法花院)에서 『법화경』을 강의한 종교의례. 불교의식 · 강경의식.
불교 유적
보덕사
경기도 포천시 관인면 왕방산(王訪山)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승려 도선이 창건한 사찰.
불교 유적
보문사
강원도 원주시 치악산(雉岳山)에 있는 고려시대 에 창건된 것으로 추정되는 사찰.
불교 개념
보임
보호임지의 준말로 돈오점수설에 따라 깨달은 뒤에 더욱 갈고 닦아야 한다는 불교수행법. 보림.
불교 문헌
보현행원품
보현보살의 행원(行願)을 기록한 불교서.
불교 유적
복흥사
북한 황해북도 개풍군 영북면에 있었던 고려전기 에 창건되어 승려 원융국사 · 혜덕왕사 등을 배출한 사찰.
불교 유적
봉녕사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광교산(廣敎山)에 있는 고려후기 승려 원각국사가 창건한 사찰.
불교 유적
봉복사
강원도 횡성군 청일면 덕고산(德高山)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의 승려 자장이 창건한 사찰.
불교 유적
봉성암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북한산(北漢山)에 있는 조선후기 총섭승 성능이 창건한 암자.
불교 유적
봉암사
경기도 파주시 적성면 감악산(紺岳山)에 있는 조선후기 승려 창헌이 중건한 사찰.
불교 문헌
부모은중경
부모의 은혜가 크고 깊음을 설명하는 불교경전.
불교 제도
부역승
조선시대 국가에서 필요한 노동력이 부족할 때 동원하였던 승려.
불교 유적
부황사
경기도 고양시 신도읍 북한산(北漢山)에 있었던 조선후기 승려 심운이 창건한 사찰.
불교 문헌
사미율의
사미가 지켜야 할 십계와 예법에 대하여 서술한 계율서. 불교서.
불교 문헌
사분율
출가한 승려가 불법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계율에 대하여 서술한 계율서. 불교서.
불교 의례·행사
사참
스스로의 행동을 뉘우치는 대표적인 불교 의식을 지칭하는 용어. 참회법.
불교 개념
삼매
하나의 대상에만 마음을 집중시켜 일심불란한 경지를 가리키는 불교교리.
불교 유적
상무주암
경상남도 함양군 마천면 지리산(智異山)에 있는 고려후기 승려 보조국사가 수행승들과 함께 창건한 암자.
다음 슬라이드이전 슬라이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하오개로 323 한국학중앙연구원 [13455]
문의전화 : 031-709-8111
Copyright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All Rights Reserved.
FAMILY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