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9꿈사★공무원을꿈꾸는사람들
 
 
 
 
 
카페 게시글
⑤ 행정학 심화 학습 전통적 정치행정 2원론은.... 알려주세요 ㅠㅠ
파란돌1981 추천 0 조회 200 10.06.22 13:06 댓글 5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10.06.25 06:38

    첫댓글 쉬운 질문 아니구요 굉장히 어려운 지문중의 하나에요 일단 님이 말씀하신 문장 맞는 문장이구요.
    정치행정이원론의 등장은 미국에서 엽관주의 폐해를 극복하고자 등장한것이고..이는 행정이 정치에 과다하게 개입해서는 안된다는 뜻.. 즉 정치행정이원론은 현실적 실증적이기 보다는 이상적 규범적이다라는 말은
    정치와 행정이 실제의 현실에서 구별될수 있다기 보다는 정당정치로부터 행정을 분리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규범적이고 당위론적인 관점에서의 주장임. '이상적 규범적이다= 바람직하다' 님이 쓰신 말과 '정치행정이원론은 과학성과 기술성중 과학성이 더 강하다'이것도 상대적으로 맞는 지문입니다 참고하세요

  • 10.06.25 09:31

    윌슨의 정치행정이원론이라고 해야 정확한 문장이 됩니다, 윌슨의 행정의 연구에서의 정치행정이원론은 실제 정치밑에 행정이 있는 상황에서 행정의 입지가 서야 한다는 행정의 독자성의 필요성,즉 당위적 입장에서 윌슨은 그러니까 현실적으로 그렇지않지만 행정의 독립이 되야 마땅하다 ~> 당연하다~> 규범적이다 ~>~해야한다,,의뜻으로 주장을 내세웟습니다

  • 10.06.25 09:29

    제가 알기론 윌슨의 정치행정이원론은 규범적이다,, 이렇게 외우고 있어요

  • 10.06.25 10:27

    전통적 정치행정 이원론은 윌슨에서 시작되고 윌슨은 막스베버의 관료제에서 착안하여 정치행정이원론을 주장합니다.막스베버의 관료제는 이상적/관념론적 제도이지 실증적인 제도가 아닙니다. 이러한 배경을 이해한다면 위의 지문을 연결하여 생각할 수 있습니다.

  • 작성자 10.06.25 12:46

    아~~~ 그렇군요.... 아주 쉽게 이해했습니다.....
    전 계속 전통적 정치행정2원론이라는 특수함을 모르고 단순히 정치행정2원론이라고만 생각을해서 자꾸 저 지문이 이해가 안됐던거네요... 감사합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세 분의 설명 듣고 보니 엽관주의의 폐해에 반대해서 올라왔던게 윌슨의 정행2인데... 이것을 전통적정행2라고 부르는지 몰랐어요.... 이렇게 들으니 정말 쉽게 이해되네요 ^^ 정말 감사해요 &&^^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