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그룹과 LG그룹간의 경쟁이 CES 2025에서 더욱 심화되고있습니다.
LG전자가 선점하고있는 가전제품구독사업에 삼성전자도 진입할 것을 선언했습니다.
AI프로세서에 사용되는 FC-BGA기판 시장에서는 선발 삼성전기에 LG이노텍이 추격하고있습니다.
우리 기업간의 공정한 경쟁을 통해 글로벌시장에서 한국 제품의 점유율이 상승하기를 기대합니다.
Rivalry deepens between Samsung, LG at CES 2025
CES 2025에서 삼성과 LG 간의 라이벌 관계 심화
By Nam Hyun-woo 남현우기자
Posted : 2025-01-12 10:30 Updated : 2025-01-12 11:15
Korea Times
Hardware giants vie for lead in appliance subscriptions, robots, chip materials
하드웨어 대기업들이 가전제품 구독, 로봇, 칩 소재 분야에서 선두를 놓고 경쟁
LAS VEGAS — The rivalry between Samsung Group and LG Group intensified at CES 2025, as affiliates from both conglomerates signaled their ambitions to enter overlapping business sectors in pursuit of new growth opportunities.
라스베이거스 — 삼성 그룹과 LG 그룹 간의 경쟁이 CES 2025에서 더욱 치열해졌고, 두 대기업의 계열사들은 새로운 성장기회를 추구하기 위해 중복사업 부문에 진출하겠다는 포부를 표명했다.
Samsung Electronics CEO and Vice Chairman Han Jong-hee said the company will expand its home appliance subscription business to cover smartphones and other upcoming products.
삼성전자의 한종희 대표이사 부회장은 스마트폰 및 기타 출시 예정제품을 대상으로 가전제품 구독사업을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다.
“As we have belatedly started our product subscription business, the focal point will be about expanding the range of choice for customers,” Han said during a press conference on Wednesday (local time).
한 대표는 수요일(현지 시간) 기자회견에서 " 뒤늦게 상품 구독사업을 시작한 만큼 고객 선택의 폭을 넓히는 데 초점을 맞출 것"이라고 말했다.
“Though we are a latecomer, our subscription business is showing enormous growth, and several new models will be coming into the subscription program, so you can expect our subscription business to hit its stride.”
"우리는 후발주자이지만 구독 비즈니스가 엄청난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구독 프로그램에 몇 가지 새로운 모델이 도입될 예정이므로 구독 비즈니스가 도약할 것으로 기대해도 좋다."
Samsung Electronics began its subscription service last month, offering its latest TVs, refrigerators, washers and vacuums embedded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AI). Han confirmed that the company will also offer subscription programs for its Galaxy smartphones and Ballie, an AI-embedded home robot.
삼성전자는 지난달부터 최신 TV, 냉장고, 세탁기, 인공지능(AI)이 내장된 진공청소기 등을 서비스하는 구독서비스를 시작했다. 한 대표는 갤럭시 스마트폰과 AI가 내장된 홈 로봇인 발리의 구독 프로그램도 제공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This comes as a challenge to LG Electronics, which has been enjoying handsome earnings through its home appliance subscription business around the world. Last year, LG Electronics' subscription business posted 2 trillion won ($1.37 billion), up 75 percent from a year earlier.
이는 전 세계 가전제품 구독 사업을 통해 호실적을 거두고 있는 LG전자에 대한 도전과제이다. 지난해 LG전자의 구독 사업은 전년 대비 75% 증가한 2조 원(13억 7천만 달러)을 기록했다.
LG Electronics CEO Cho Joo-wan said in a press conference on Thursday that “there will be competition,” but he is “viewing it in an optimistic way because the market will expand.”
LG전자 조주완 대표는 목요일 기자회견에서 "경쟁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지만, "시장이 확대될 것이기 때문에 낙관적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Our clear strength is that we have over 5,000 care managers, each of whom is an expert in caring for subscribed appliances,” Cho said. “Subscription isn’t simply an installment plan — it is about care. Our strength comes from the expertise, network and experience of our care managers.”
조 대표는 "우리의 분명한 강점은 5,000명 이상의 케어 매니저가 가입한 가전제품을 관리하는 전문가라는 점이다."라고 말했다. "구독은 단순히 할부가 아니라 케어에 관한 것이다. 우리의 강점은 케어 매니저의 전문성, 네트워크, 경험에서 비롯된다."
Robotics is also a new sector for their competition, as the two companies confirmed their AI home robots — Samsung’s Ballie and LG’s Q9 — will be released in the market within this year.
두 회사가 올해 안에 AI 가정용 로봇인 삼성의 발리와 LG의 Q9이 시장에 출시될 것이라고 발표하면서 로봇 공학도 경쟁의 새로운 분야이다.
During the press conference, the two CEOs said robots will be a core focus in the future and predicted that humanoid robots will take the center stage in the robot industry.
기자회견에서 두 CEO는 로봇이 미래의 핵심 초점이 될 것이며 휴머노이드 로봇이 로봇 산업의 중심을 잡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Citing Samsung Electronics’ recent investment in a robotics subsidiary, Han said the global industry’s “plans for humanoids is picking up speed” and “Samsung also should accelerate its humanoid plans.”
한 대표는 최근 삼성전자가 로봇 자회사에 투자한 것을 언급하며 "휴머노이드에 대한 글로벌 업계의 계획이 속도를 내고 있다"며 "삼성도 휴머노이드 계획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고 말했다.
LG Electronics CEO Cho also picked humanoid robots as the company’s future goal, noting that the company considers increasing its stake in a robotics firm it invested in last year.
LG전자 조 대표는 또한 회사가 작년에 투자한 로봇 회사의 지분을 늘리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고 언급하며 휴머노이드 로봇을 회사의 미래 목표로 선택했다.
Electronic parts maker LG Innotek is also heralding a competition with its rival Samsung Electro-Mechanics over parts for semiconductor substrates including flip chip-ball grid array (FC-BGA) substrates and glass substrates.
전자 부품 제조업체인 LG이노텍도 경쟁사인 삼성전기와 플립칩볼 그리드 어레이(FC-BGA) 기판과 유리 기판 등 반도체 기판 부품을 놓고 경쟁을 벌이고 있다.
During an interview on the sidelines of CES 2025, LG Innotek CEO Moon Hyuk-soo said the company began mass-producing its FC-BGA substrates toward a major North American tech company.
문혁수 LG이노텍 CEO는 CES 2025와 관련된 인터뷰에서 북미 주요 기술기업을 대상으로 FC-BGA 기판을 대량 생산하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Since we are a late starter, our FC-BGA production capacity accounts for a small portion in the global production capacity,” Moon said.
문대표는 "우리는 후발주자이기 때문에 FC-BGA 생산 능력이 글로벌 생산 능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작다."라고 말했다.
“Based on our knowhow and expertise in camera modules, however, we have achieved a very high level of automation in plants, which will improve our efficiency and yield in FC-BGA production in several years. When we reach that level, we will have greater cost competitiveness as well as higher yield (than Samsung Electro-Mechanics).”
"하지만 카메라 모듈에 대한 노하우와 전문성을 바탕으로 공장에서 매우 높은 수준의 자동화를 달성하여 몇 년 안에 FC-BGA 생산의 효율성과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 수준에 도달하면 비용 경쟁력은 물론 (삼성전기보다) 더 높아질 것이다."
FC-BGA is a package substrate used for high-performance microprocessors, graphics processing units and chipsets, thus seeing increasing demand due to the global boom for AI processors. With Japanese and Taiwanese component makers leading the global market, Samsung Electro-Mechanics has been closely trailing them, while LG Innotek commenced its FC-BGA business in 2022.
FC-BGA는 고성능 마이크로프로세서, 그래픽 처리 장치, 칩셋에 사용되는 패키지 기판으로, 글로벌 AI 프로세서 붐으로 인해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삼성전기는 일본과 대만 부품업체들이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는 가운데, LG이노텍은 2022년부터 FC-BGA 사업을 시작했다.
While LG Innotek is heralding a pursuit, Samsung Electro-Mechanics CEO Chang Duck-hyun expressed his confidence in the company’s FC-BGA business. He told Yonhap News Agency Friday that the company is “in negotiation with global big tech firms on FC-BGA,” hinting that “they are AI server and cloud businesses.”
LG이노텍이 추격을 예고하는 가운데, 장덕현 삼성전기 대표이사가 자사의 FC-BGA 사업에 대한 자신감을 드러냈다. 그는 금요일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과 FC-BGA 관련 협상을 진행 중"이라며 "AI 서버 및 클라우드 사업"이라고 암시했다
In a press conference a day earlier, Chang said Samsung Electro-Mechanics will begin mass-producing glass substrates in 2027, saying “we will supply samples to two to three clients.”
하루 전 기자회견에서 장대표는 삼성전기가 2027년부터 유리기판 대량생산을 시작할 것이라며 "2~3개 고객사에 샘플을 공급할 것"이라고 말했다.
Glass substrate is a next-generation chip substrate, which will likely be a breakthrough in the current situation that the miniaturization of semiconductor manufacturing is nearing its limits.
유리 기판은 차세대 칩 기판으로, 반도체 제조의 소형화가 한계에 가까워지고 있는 현재 상황에서 돌파구가 될 가능성이 높다.
Compared to conventional substrates, glass substrates offer a smoother surface, allowing ultra-fine circuit patterns to be transferred on the surface. This results in semiconductor speeds increasing by up to 40 percent, while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by half.
유리기판은 기존 기판에 비해 표면이 더 매끄러워 초미세 회로패턴을 표면에 전사할 수 있다. 그 결과 반도체 속도는 최대 40%까지 증가하는 반면 전력 소비는 절반으로 줄일 수 있다.
LG Innotek CEO Moon also noted that glass substrates will be the mainstream for server chips, and the company will begin producing samples in the latter half of this year.
문 LG이노텍 CEO는 또한 유리 기판이 서버 칩의 주류가 될 것이며, 올해 하반기부터 샘플생산을 시작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Other than Samsung and LG, SK Group’s materials unit SKC appears to be taking an early lead in the glass substrate market.
삼성과 LG 외에도 SK그룹의 소재 사업부인 SKC가 유리기판 시장에서 초반 선두를 달리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On Wednesday, SK Group Chairman Chey Tae-won visited the group’s booth at CES 2025 and stated that he “just sold” SKC’s glass substrates, implying that the company has already secured a client despite being in the pre-mass production phase. It is speculated that Chey had a meeting with Nvidia CEO Jensen Huang just before visiting the booth.
수요일,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CES 2025에서 그룹부스를 방문해 SKC의 유리기판을 "방금 판매했다"고 밝히며 양산 전 단계임에도 불구하고 이미 고객사를 확보했음을 시사했다. 최회장은 부스 방문 직전에 엔비디아의 젠슨 황 CEO와 면담을 가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Rivalry경쟁 #Subscriptionbusiness구독사업 #Artificialintelligencerobots인공지능로봇 #FC-BGAsubstratesFC-BGA기판 #Glasssubstrates유리기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