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남아공 화장품시장을 주목하자 | ||||||||||||||||||||||||||||||||||||||||||||||||||||||||||||||||||||||||||||||||||||||||||||||||||||||||||||||||||||||||||||||||||||||||||||||||||
---|---|---|---|---|---|---|---|---|---|---|---|---|---|---|---|---|---|---|---|---|---|---|---|---|---|---|---|---|---|---|---|---|---|---|---|---|---|---|---|---|---|---|---|---|---|---|---|---|---|---|---|---|---|---|---|---|---|---|---|---|---|---|---|---|---|---|---|---|---|---|---|---|---|---|---|---|---|---|---|---|---|---|---|---|---|---|---|---|---|---|---|---|---|---|---|---|---|---|---|---|---|---|---|---|---|---|---|---|---|---|---|---|---|---|---|---|---|---|---|---|---|---|---|---|---|---|---|---|---|---|---|---|---|---|---|---|---|---|---|---|---|---|---|---|---|---|---|
작성일 | 2013-04-20 | 국가 | 남아프리카공화국 | 작성자 | 권의진(요하네스버그무역관) | ||||||||||||||||||||||||||||||||||||||||||||||||||||||||||||||||||||||||||||||||||||||||||||||||||||||||||||||||||||||||||||||||||||||||||||||
-->
-->
남아공 화장품시장을 주목하자 - 화장품시장 6.5% 성장세 보여 - - 판촉·유통 등 마케팅 강화하면 시장진출 가능성 있어 - □ 꾸준히 성장세 보이는 화장품 수입시장 ○ 남아공 화장품 수입시장 규모는 지난해 6.5% 성장세 보임. - 최근 세계적 금융위기의 여파로 내구재 수요에서 감소세 보였으나 화장품 수입시장은 최근 5년간 4910만 달러에서 1억7618만4000달러 규모로 증가해 약 258%의 폭발적인 성장세를 기록함. - 이는 신중산층 확대의 파급효과로 소비자의 소득수준 향상에 따라 피부관리에 관한 관심이 많아지고, 화장품 수요는 꾸준한 성장세를 보일 전망 □ 남아공 기초화장품시장 동향 ○ 남아공 기초화장품시장은 브랜드 위주의 시장임. - 남아공 현지에서 인기 있는 명품 브랜드는 Channel, LA MER, la prairie, ESTEE LAUDER, Clinique, Clarins, Elizabeth Arden. Lancome, Yves Saint Laurent, Dior 등이 있음. - 최근 LA MER, la prairie 등의 인기가 높아지는 것으로 집계 화장품 수입시장(HS Code 3304류) (단위: 백만 달러, %)
자료원: World Trade Atlas ○ 기초화장품 수입시장은 전체 수입시장의 19%를 차지하는 미국이 1위를 차지했고, 그 외에 15% 점유율의 프랑스, 11%의 폴란드, 9%를 점유한 독일 등이 있음. 대부분 미국, 유럽 제품이 50% 이상의 점유율을 보임. - 아시아에서는 중국이 전년 동기 대비 수입액 16.36% 증가한 7.65%로 6위, 태국이 114.36% 증가세를 보이며 화장품 수입시장 3.04% 점유로 9위를 차지 - 한국에서의 수입은 38만 달러 규모로 전년 동기 대비 65.77%의 증가세를 보였으나 점유율 0.22%로 26위를 차지하는 등 그 영향은 미미함. □ 한국 기업 진출방안 ○ 바이어 접촉 결과, 남아공시장은 양극화돼 있어 저가시장의 중국제품과 명품 브랜드의 미국·유럽 제품으로 나뉨. ○ 남아공 화장품시장은 최근 화장품 브랜드들의 판촉활동이 강화되면서 경쟁이 치열해지나, 굳이 브랜드 제품이 아니라도 판촉·유통 등 마케팅을 강화하면 충분히 시장 진출 가능성이 있음. - 또한, 여성층에 효과적인 마케팅을 위해 남아공 화장품 및 의약용품 전문 유통업체들을 통한 방안을 적극 고려할 필요가 있음. ○ 남아공에는 대형 의약품 및 건강보조식품과 화장품 판매를 전문으로 하는 유통업체 중 대표적으로는 클릭스(Clicks)와 디스켐(Dis-chem)이 있음. - 클릭스는 일종의 드럭스토어로 일반 생필품과 미용 관련 제품을 판매하며, 디스켐 또한 의약품 및 미용제품을 판매하나 의약품에 더 중점을 둠. - 이 곳에는 남아공 및 아프리카에서 자생하는 허브를 이용해 저렴한 가격의 미용제품도 여러 종류 판매되며, 수요도 높아 주목할 만함. 남아공 백화점 Edgars 화장품 코너 모습 자료원: 요하네스버그 무역관 촬영 □ 시사점 ○ 한국제품, 가격 대비 우수한 품질로 바이어들에게 효과적인 마케팅 필요함. - 남아공 화장품 및 미용용품 전문 유통업체를 통한 접근방안을 적극 고려해야 함. ○ 양극화된 화장품시장의 틈새시장으로서 트렌드와 가격에 민감하고 소비자 가치를 많이 따지는 흑인 중산층의 특성을 파악해 가격대를 낮추고 브랜드 로열티를 높여 공략해야 할 것임. ○ 남아공의 대표적인 미용용품 전문 유통업체
자료원: 코트라 요하네스버그 무역관 보유정보 및 관련 자료 종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