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강해(講解) - 괘사(卦辭) - 2
彖曰解는 險以動이니 動而免乎險이 解라.
(단왈해) (험이동) (동이면호험) (해)
解利西南은 往得衆也오 其來復吉은 乃得中也오
(해리서남) (왕득중야) (기래복길) (내득중야)
有攸往夙吉은 往有功也라. 天地 解而雷雨 作하고
(유유왕숙길) (왕유공야) (천지 해이뇌우 작)
雷雨 作而百果草木이 皆甲坼하나니 解之時 大矣哉라.
(뇌우 작이백과초목) (개갑탁) (해지시 대의재)
●단에 가로되 解는 험하고 움직임이니 움직여 험한데서(험함을) 면함이
해라.
'해이서남' 은 가서 무리를 얻음이요, '기래복길' 은 이에 중을 얻음이요,
'유유왕숙길' 은 가서 공이 있음이라.
천지가 풀림에 우뢰와 비가 일어나고, 우뢰와 비가 일어남에 백과 초목이
모두 열려서 터지나니 해의 때가 크도다.
(免 - 면할 면. 벗어날 면. 乎 - 어조사 호. 乃 - 이에 내. 夙 - 일찍 숙.
皆 - 다 개. 坼 - 터질 탁.(甲坼 : 씨의 껍질이 터져 싹이 남) )
★뜻풀이
解는 하괘 坎으로 험하고 상괘 震으로 움직이니, 움직여서 험한 곳으로 부터
나오는 것이 해괘이다.
괘사에 '해이서남' 이라고 한 것은 坤(광대하고 평이한 곳)으로 가듯이 관유
하고 포용력있게 정치를 하면 많은 백성을 얻음을 말함이요,
'기래복길' 이라고 한 것은, 어렵고 험한 때에는 그 풀리는 때를 기다려 선왕의
정치를 회복하는 것이 옳으니, 이것은 구이가 中德을 얻었기 때문이요,
'유유왕숙길' 이라고 한 것은 때가 되어 움직임에 있어서는 豫卦의 육이처럼
기미를 보고 빨리 알아서 행하면 공이 있다는 것이다.
천지의 기운이 풀려서 화합하면 우뢰와 비가 생기고, 이 기운을 만물이 받아
다 깨어나는 것이니, 解의 때가 큰 것이다.
①往得衆也
구사는 육이, 육오 상육의 陰사이에 있고, 초육과 정응이다.
구사가 둔괘 초효처험 坤 백성의 밑에 들어가 민심을 얻은 것이다.
②往有功也
이를 문왕과 무왕의 일로 비유하자면,
문왕이 기산으로 가서 덕을 베풀음으로써 인심을 얻은 것은 '해이서남왕득중야'
이고, 아직 은 나라의 국운이 남아 있어 혁명을 일으킬 때가 못된다는 것을 알고,
신하의 위치인 구이로 돌아와 中道를 지킨 것이 '기래복길 내득중야' 이다.
문왕이 죽은 후 무왕이 구사의 위치에서 때가 무르익은 것을 알고, 그 천명에 빨리
응해 혁명을 하여 周나라를 세우고 백성의 어려움을 풀어준 것은 '유유왕숙길 왕
유공야' 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첫댓글 주역 뇌수해를 봅니다~^^
주역을 봅니다.^^
주역하경34괘 뇌수해 잘읽었습니다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