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서 갈등 방지 차원 ‘전남권’ 용어 사용 합의 했으나
김원이, 국회서 22일 ‘목포대 의대설립...추진 방향’ 토론회 개최
김미연 순천시의원이 지난 6월 12일 열린 순천시의회 제242회 제1차 정례회 제2차 본회의에서 전남권 의과대학 설립을 촉구하고 있다지난 6월 12일 순천시의회가 김미연 시의원의 대표발의로 ‘전남권 의과대학 설립 촉구 건의안’을 발의하였다.
전국 17개 광역시도(세종시 포함) 중에 유일하게 국립대학교 의과대학이 없는 전남에 의과대학을 설립해달라는 취지다.
그런데 용어가 생소하다. ‘전남권 의과대학’이다. 그동안 순천시나 순천시의회, 순천대학교와 순천시민들 모두
‘순천대학교 의과대학’ 설립과 유치를 위해 노력해왔는데, 갑자기 ‘전남권 의과대학’으로 용어가 바뀐 것이다.
하지만 이는 “마치 순천대학교나 순천시, 순천시의회가 전남에 설립될 의과대학이 순천을 중심으로 하는 동부권이
아니더라도 전남에만 설립되면 된다”는 “시그널을 줄 수 있는 우려가 있다”는 지적이다.
공교롭게도 오는 6월 22일 국회에선 김원이(민주당.목포) 국회의원 주최로 ‘목포대학교 의대설립 필요성과 추진방향’
이라는 주제로 토론회가 예정되어 있다.
때문에, “목포 김원이 국회의원은 대놓고 목포대학교 의과대학 설립을 목표로 공개 토론회까지 하는데,
순천은 동부권(순천대학교)이 아닌 전남으로 범위를 확대”하면, “정부나 국회에서 순천시와 시의회가 목포대
의대설립을 동의한 것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특히나 이번 순천시의회가 건의안을 발의하면서 직접 연관이 가장 큰 순천대학교와 사전에 아무런 상의나 설명도
없었던 것으로 확인되어 충분한 소통도 이루어지지 않았다.
고영진 순천대학교 총장은 15일 오전 기자와의 통화에서 “사전에 순천시의회로부터 아무런 설명을 듣지 못했다”면서
“힘을 모아야 하는데 당사자인 순천대와 상의하지 않고 힘이 분산될 수 있는 방향으로 가면 학교 입장에서 우려스러운
것 아니냐”고 답했다.
김원이 의원의 주최하는 국회 토론회에 대해선 “지난주 목포대학교 총장을 만나서 그와 관련한 이야기를 들었는데,
김원이 의원이 일방적으로 추진한 것이고, 목포대학교는 신사협정을 지키면서 하려는 입장으로 오해하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입장이었다”고 고 총장은 전했다.
이에 대해 촉구건의안을 대표발의 한 김미연 순천시의원은 “김원이 국회의원이 국회에서 목포대 의대설립을 주제로
토론회를 개최하는지는 몰랐다”면서 “동부권 의과대학으로 명칭을 사용하려 했으나, 전남도지사, 양 지역 국회의원,
기초의회가 신사협정을 맺은 터라 신사협정에 맞게 용어를 선택했을 뿐이다”고 설명했다.
앞서 지난달 29일 국회가 개원되기 전에 전남지역 국회의원들이 모두 모여서, ‘의과대학 설립’에 힘을 모으기로 한 바
있다. 당시 동부권 의원 중 의대설립을 주도하기로 한 서동용 의원(순천·광양·곡성·구례을)은 공공의료인력 확충방안이
담긴 법안을 준비키로 했다. 전남에 의대설립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서다.
이 때 동서갈등 양상으로 비치지 않기 위해서 큰 틀에서 용어를 ‘전남권 의과대학’으로 사용키로 합의한 것일 뿐이다.
이 취지에 맞춰 김미연 순천시의원은 ‘전남권 의과대학’ 이란 용어를 사용했다는 것이다.
반면, 목포 김원이 국회의원은 신사협정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국회 토론회 명칭을 ‘목포대학교 의대설립 필요성과
추진방향’으로 “목포대학교를 겨냥한 것임을 분명히”했다. 이는 신사협정을 위반한 것이다.
21대 선거 때 이낙연 민주당중앙선대위원장이 순천을 방문하여 ‘전남동부권 의대신설’을 공약으로 약속하였다.
학교를 순천대학교로 지칭하진 않았으나, 당시 순천시민들은 이 위원장의 공약을 ‘순천대학교 의과대학 설립’ 약속으로
받아들였다.
“순천시를 비롯하여 순천시의회와 순천대학교 관계자들 모두 ‘큰 틀에서 전남권 의과대학’엔 동의할 수 있다”하더라도,
“구체적 실행방향에선 ‘순천대학교 의과대학설립’이 목표여야 하고, 그 목표가 흔들려선 안 된다”는 지역사회 우려와
시선을 명심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출처/시사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