착할 개(价)자는 의부(義符)로 사람 인(人,亻)자에 성부(聲符) 끼일 개(介)자를 했습니다. 끼일 개(介)자는 사람 인(人)자에 삐칠 별(丿)자와 뚫을 곤(丨)자를 해서 사람이 이쪽과 저쪽 사이에 끼인 모양을 나타낸 글자입니다. 개위(价位) 개치(价値) 개심(价心) 개인(价人) 귀개(貴价) 개천(价川)
높고 건조할 개(塏)자는 의부(義符)로 흙 토(土)자에 성부(聲符)로 어찌 개(豈)자를 했습니다. 어찌 개(豈)자는 어찌 기(豈)자로 전주(轉注) 되었습니다. 어찌 기(豈)자는 산 산(山)자 아래에 제기 두(豆)자를 해서 산에서 지내는 제사를 뜻했습니다. 제사를 지냄에 있어 ‘어찌 할까?’하는 글자입니다. 개토(塏土) 개지(塏地)
분개할 개(慨)자는 의부(義符)로 마음 심(心,㣺,忄)자에 성부(聲符)로 이미 기(旣)자를 했습니다. 이미 기(旣)자는 음식을 앞에 놓고 이미 많이 먹어서 얼굴을 뒤로 돌린 모양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평미레 개(槪), 평미레란 말(斗)이나 되(升)에 곡식을 담아 그 위를 평평하게 밀어, 정확한 양을 재는 데 쓰는 방망이 모양의 기구를 말합니다. 물 댈 개(漑), 씻을 개(摡)자들은 이미 기(旣)자가 들어 있어서 ‘개’로 읽습니다. 감개(感慨) 개탄(慨嘆) 개세(慨世) 분개(憤慨) 강개(慷慨)
+
다 개(皆)자는 견줄 비(比)자 아래에 흰 백(白)자를 했습니다. 흰 백(白)자는 말할 백(白)자도 됩니다. 누구나 다 입이 있어 말(白)을 합니다. 그리고 견줄 비(比)자는 사람이 나란히 한 방향을 보고 앉아 있는 모양입니다. 모두 다 모여 있는 표시지요. 개근(皆勤) 개병(皆兵) 개무(皆無) 실개(悉皆) 개기(皆旣) 개벌(皆伐)
이 글은 국화선생님의 "한장의 비밀 "카페에서 퍼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