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3-앞>
박옥금강 감지다나 공덕으로 비교ᄒᆞ면
박옥금강璞玉金剛: 천연 그대로의 옥 덩어리와 금강석 감지甘旨: 맛이 달고 좋음*좋다는 표현하다고 하나 공덕功德: 예수님의 공로와 덕행으로 비교比較하면)
더럽고도 쳔ᄒᆞ여셔 썩은고기 형샹이라
(더럽고도 천賤: 낮음, 흔함하여서 썩은 고기 형상形象이라)
킈을ᄉᆞ록 더욱깁고 말ᄒᆞᆯᄉᆞ록 ᄒᆞᆫ이업네
(키울수록 더욱 깊고 말할수록 한限이 없네)
이러ᄒᆞ은 묘ᄒᆞᆫ복락 우리ᄀᆞᆺ흔 셰샹사ᄅᆞᆷ
(이러한 묘妙한 복락福樂 우리 같은 세상世上 사람)
총명으로 알수업고 학식부족 알수업셔
(총명聰明으로 알 수 없고 학식學識 부족不足 알 수 없어)
입을열어 말ᄒᆞ잔즉 말이부족 못ᄒᆞ겟고
(입을 열어 말하고자 하는 즉 말이 부족不足 못하겠고)
<53-뒤>
붓을드러 긔록잔즉 지필부족 못ᄒᆞ겟네
(붓을 들어 기록記錄하고자 하는 즉 지필紙筆: 종이와 붓 부족不足 못하겠네)
엇지ᄒᆞ면 이런복락 감히엇어 누릴넌가
(어찌하면 이런 복락福樂 감히 얻어 누릴는가)
도회신젼 익이보아 만덕병긔 노치말고
(<도해신전渡海神殿>익히 보아 만덕萬德: 온갖 덕 병기兵器: 전쟁에 쓰이는 무기의 총칭 놓지 말고)
일평ᄉᆡᆼ에 난처ᄒᆞ야 삼구칠죄 ᄃᆡ젹ᄒᆞ라
(일평생一平生에 난처難處: 어려움에 처함하여 삼구三仇: 착한 일을 못 하게 막는 육신肉身, 세속世俗, 마귀魔鬼의 세 가지 원수 칠죄七罪: 칠도七盜-교오驕傲․간린慳吝․미색迷色․분노忿怒․탐도貪饕․질투嫉妬․해태懈怠 대적對敵하라)
이졔밋쳐 붓을노코 일언으로 맛초노니
(이제 이르러 붓을 놓고 일언一言: 한마디로 마치노니)
존귀ᄒᆞ온 교형네는 도회신젼 읽으시고
(존귀尊貴: 높고 귀함한 교형敎兄: 형제, 교우네는 <도회신전渡海神殿> 읽으시고)
<54-앞>
이린말을 비쇼말고 귀졀귀졀 비유ᄯᅡ라
(이른 말을 비소誹笑: 비웃음하지 말고 구절구절 비유譬喩따라)
젹이믁샹 완미ᄒᆞᆷ이 비쳔쟈의 소원이오
(마땅이 묵상默想 완미玩味: 시문의 뜻을 깊이 음미함이 비천자鄙賤者: 낮고 천한 사람, 스스로를 낮춤의 소원所願이오)
텬쥬강ᄉᆡᆼ 일쳔구ᄇᆡᆨ십삼년 계츅년
(예수님 태어나신지 1913년 계축癸丑년)
십일월 초십일 필죵
(11월 10일 필종筆終: 글쓰기를 마침)
<54-뒤>
-공백-
첫댓글 김휘중 신부님의 <도해신전>을 마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