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왕국 재건 맡은 켈싱어
개혁 실패에 4년만에 물러나
스카벅스.나이키.스텔란티스
실적 압박 커지자 줄줄이 교체
다국적 완성차 업체 스텔란티스의 카를 루스 타바르스 최고경영자(CEO)의 사임 충격이 가시기 전에
반도체 업체 인텔의 팻 겔싱어 CEO까지 한날 교체되면서 경영 현장에 칼바람이 불고 있다.
인텔은2일성명을 통해 겔싱어 CEO가 지난 1일부로 사임했다고 밝혔다.
회사를 임시로 이끌 공동 CEO에 최고재무책임자(CFO)인 데이비드 진스너 부사장과
클라이언트컴퓨팅 그룹(CCG) 등을 이끄는 미셜 존스턴 홀타우스 사장이 임명됐다.
켈싱어는 이날 성명을 통해 '씁쓸하다(bittersweet)'고 속내를 밝혔다.
그는 ' 현재 시장에 인텔을 맞추기 위해 힘들었지만, 필요한 결정을 내렸다'며
'올해는 우리 모두에게 도전적인 한 해였다'고 전했다.
반도채 왕국을 다시 일으기겠다는 목표로 인텔 수장에 올랐던 갤싱어의 노력은 4년 만에 끝났다.
개인용캄퓨터(PC) 중앙처리장치(CPU)를 중심으로 반도체 산업을 지배한 인텔은 모바일과 인공지능(AI) 등
시대 변화에 뒤처지고 주력인 CPU 부문에서도 경쟁사인 AMD에 추격을 허용하며 경쟁력을 잃었다.
위기에 빠진 인델은 겔싱어를 2021년 2월 CEO에 앉혔다.
그는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새안) 재진출을 선언했다.
삼성전자와 세게 최대 파은드리 업체 TSMC를 따라잡겠다고 선언했다.
하지만 한번 잃어버린 혁신 DNA를 되살리기에는 역부족이었다.
겔싱어가 야심차게 시작한파운드리에서 발생한막대한 적자가 인텔의 위기를 갖왔다.
파운드리 영업손실은 2022년 52억달러, 2023년 70억달러, 올해 1~3분기 11억달러에 이르렀다.
다른 경쟁사들의 주가가 연일 사상 최고치를 갈아치우는 가운데 인탤 주가는 올해에만 약50% 급락했다.
한편 전날 스텔란티스는 2025년 상반기 신임 CEO를 선임할 것이라며, 그전까지 존 엘칸 스텔란치스 회장이 이끄는
임시 이사회가 회사를 운영할 것이라고 밝혔다.
스텔란티스는 올해 상반기 순이익이 48%나 급감하고, 주가가 올해 들어 43%나 하락한 것에 대한 책임을
타바르스 CEO에게 물은 것이라고 마켓워치가 전했다.
기업 CEO 교체는 스텔란티스와 인텔만의 문제가 아니다.
이날 야후파이넨스는 글로벌 취업정보업체 '챌린저, 그레이 앤드 크리스마스(CC&C)'의 집계를 인용해
올해 10월까지 미국 내에서 1824명의 CEO가 회사를 떠났다고 보도했다.
이에 CC&C가 2002년부터 CEO 교체를 집계한 이래 가장 높은 수치다.
종전 최고 기록이었던 작년 같은 기간의 1503명보다 19% 많다.
데이비드 카스 메릴랜드대 재무학교수는 야후파이낸스에 '기업 이사회가 수익과 주가 모두에서 저조한 성과를 내는 CEO에게
책임을 묻고 있다'며 '이런 성과 압박으로 인해 CEO들의 평균 재임기간이 줄고 있다'고 설명했다.
최근 뉴욕증시의 전반적인 상승세는 기업대표들에게 오히려 부담으로 작용했다.
매그너피센트7'으로 불리는 일부 대형주들이 증시를 이끌면서, 다른 기업의 이사회와 주주들이 CEO에 대한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다.
지난 8월 취임 17개월 만에 사령탑을 교체했던 스타벅스를 비롯헤나이키, 스텔란티스, 인텔의 CEO들 모두 주가 및
실적 부진의 책임을 지고 최근 수장직에서 물러났다. 김덕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