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 게임을 유심히 보는 편인데 첫번째는 멤버 대비 성적이 안 나온다고 생각되는 팀이라는 점에서 감독이 바뀌었으니 어떻게 변할 것이냐에 대한 관심과 두번째는 삼성 출신인 이관희, 김준일 이제는 임동섭까지. 있어서 관심이 갈 수 밖에 없네요.
현재 단독 2위의 성적은 저는 PO정도는 간다라고 예상했는 데 그걸 넘어서고 있고 이 부분은 새로 바뀐 감독의 공이 크다고 봅니다.
일단 가장 잘한 점은 커닝햄의 영입입니다. 창원은 이미 마레이와 이재도라는 코어가 있죠. 결국 세컨용병, 로테이션 멤버의 조화가 성적 향상의 핵심인데 커닝햄이라는 출중한 선수를 영입한 게 리그내 가장 강력한 세컨유닛을 구축할 수 있게 된거죠.
두번째는 삼성 OB 활용법입니다. 삼성에서는 어떻게 보면 제대로 활용을 못한 선수들인데 과연 조상현감독은 잘 활용할까였는 데, 제가 보기에는 너무 잘 쓰고 있는 것 같습니다. 이관희는 공수 밸런스가 잡힌 좋은 선수이고 항상 노력하는 선수라고 봅니다. 단 본인이 생각하는 만큼 좋은 선수는 아닙니다. 결국 그 간극을 잡아주는 게 감독의 역할인데 조상현 감독이 너무 잘 잡아주고 있습니다.
김준일은 개인적으로 개인 공격력은 빅맨 중 리그 탑이라고 봅니다. 단지 수비문제가 있고 공격에서도 그다지 볼 없는 움직임이 영리하지 못해 스페이스를 잡아 먹는 경향이 있어 이 선수에 맞는 용병 센터를 맞춰주기가 굉장히 어려운데 노련한 커닝햄을 영입하고 김준일을 세컨유닛으로 보내면서 출전시간을 줄어버려 단점을 최소화 시켰습니다. 지금도 가끔 보면 동료들 돌파 공간을 본인이 잡아 버리는 경우가 보이는 데 출전시간이 적다보니 그 문제가 두드러지지 않아요.
김준일은 누가 봐도 정희재,서민수보다 뛰어난 빅맨이지만 마레이, 이재도와 붙이지 않고 세컨 유닛으로 보낸 결단은 감독이 할 수 밖에 없는 결단이고 쉽지 않은 거지만 거기서 결과를 만들어 냈다는 점에서 칭찬받을 만하다고 봅니다.
김상식 감독도 그렇고 조상현 감독도 이미 코어가 갖춰준 팀을 맡아서 팀을 레벨업 시키는 것이 어떻게 보면 꼴찌팀을 맡는 것 보다 더 부담스러울 수 있는 데 작은 변화들을 통해 좋은 결과를 만들어내고 있다는 점에서 충분히 인정받아야 하지 않을 까 생각되네요.
첫댓글 김준일에 대한 생각이 저랑 똑같아요. 굉장히 섬세하게 써야할 선수라고 생각하는데 김준일한테 구탕이랑 커닝햄을 맞춰서 정말 위력적이에요. 감독이 바뀌거나 같이 뛰는 선수가 달라지면 경기력이 떨어질수도 있어요. 그런점에서 조상현 감독은 김준일을 아주 잘 쓰고 있네요.
훌륭한 분석 잘 봤습니다. 시즌전 마레이의 존재만으로도 충분히 좋은 팀이 될거라고 예상했는데, 우승을 다툴 팀이 된것 같아요.
창원LG의 강점은 안정적인 선발 라인업과 세컨유닛의 단단함이죠. 벤치에서 출발하는 선수들만으로도 새롭고 경쟁력 있는 농구를 할 수 있기에 스타팅 라인업에서 밀리더라도 이걸 반전시킬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재도, 마레이는 훌륭한 게임 클로징 능력을 갖추고 있죠. 시즌 일정이 매우 타이트한 가운데 큰 강점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정규리그 순위만큼이나 궁금한건 역시 플레이오프 단기전이죠. 단기전에서는 대부분 7~8인 주력 라인업을 기용합니다. 메인과 메인의 대결이죠. 여기서 조상현 감독이 어떤 로테이션을 보여줄지 매우 궁금합니다. 가능하다면 4강 직행을 통해 압도적인 체력의 우위를 앞세운다면 충분히 더 높은 곳도 바라볼 수 있다고 봅니다.
이번시즌만큼은 우승권에 가장 가까울거 같아요
주전 비주전 위력이 다른 스타일로 강한데다가
큰부상이 있는 선수도 없고👍
커닝햄 영입이 정말 큰 부분입니다. 지난시즌 2옵션은 투입되는 시간만큼 코트 마진이 마이너스이니 마
레이 체력안배가 될 수가 없었습니다. 체력안배가 되
니 올시즌은 장점인 수비가 더 빛을 발하는 것 같고 상당히 많은 공간을 커버해주고 있습니다. 시즌 초만
하더라도 커닝햄의 장점은 미드레인지였는데 어느
순간 확률이 많이 낮더라고요. 무슨 이유일까? 생각해보다가 떠오른 답은 들쭉날쭉한 출전시간이었습
니다. 큰 스코어로 앞선 경기는 마레이의 체력안배
를 위해 들어가고 자존심이 상할 법한데 역할을 잘
받아들이고 있는데 속은 알 수 없으니 걱정되는 부
분이기도 합니다.
작년시즌 이관희에게 가장 아쉬웠던 건 특히 접전에
서(경기 후반부에서)터프샷으로 공격권을 너무 허무
하게 소비하는 것과 그로 인해 속공실점을 허용하는
것입니다. 빠른 공격은 좋지만, 찬스가 나지 않은 상
황에서 빠른 공격은 팀에 마이너스라고 생각해요. 실
패할 경우 상대에게 손쉽게 속공득점을 허용하기 때
문이죠. 이걸 감독이 선수들에게 강조를 많이 하는 것
같고 작년대비 상대에게 속공득점 허용하는 횟수가 많이 줄어든 것 같아요.
마지막으로 기복이 좀 있지만, 강팀과의 동점이나 접전 상황에서 망설이지 않고 이재도가 적극적으로 공
격을 시도해서 팀을 이끌어가주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도 올시즌 도움이 많이 되는 것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