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메리칸드림' 상징 된 이민 2세
첫 아시아계 하원의원 3선 이어 쾌거
엘리트 코스 밟은 외교.안보 전문가
'경제 등 한미 관계 증진에 역할할 것'
윤대통령 '한국 동포 사회에 영감'
미국 대통령 선거와 함께 치러진 연방상하원의원 선거에서 사상 처음으로
한국계 미국인인 앤디 김(42.민주당)의원이 연방 상원의원에 당선됐다.
미 동부지역만 놓고 보면 아시아계 미국인으로는 최초로 연방 상원에 진출했다.
김 의원은 당선 확정 뒤 기자회견에서 '재미교포 역사 120여년 만의 기회'라며
'겸손함을 갖고 임하겠다'고 다짐했다.
AP통신 등에 따르면 김의원은5일 공화당 후보인 사업가 커티스바쇼를 꺾고 조지아 상원의원으로 선출됐다.
이미 뉴저지에서 젊운 나이로에 3선 하원의원을 지낸 김 의원의 상원 진출행은 일찌감치 관측됐다.
뉴저지는 1972년부터 민주당 후보가 줄곧 연방 상원의원 선거에서 당선된 민주당 우세지역으로 꼽힌다.
뉴저지 상원의원 자리는 지난해 9월 전임 상원의원이던 밥 메넨데스 의원이 뇌물수수 등의 협의를 재판에 넘겨진 뒤
올해 법원에서 유죄판결을 받으며 공석이 됐다.
밥 전 의원이 재판에 넘겨진 다음날 김 의원은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상원의원 선거 출마를 공식 선언했다.
김 의원은 당선 뒤 상원의원으로서 한미 관계에 기여하는 역할 및 한미일 삼각 협력 강화의 필요성 등을 강조했다.
그는 당선 축하 행사 뒤 인텨뷰에서 '한미 관계가안보 분야를넘어 경제 및 혁신 분야에서도 증진되도록 노력하겠다'며
'북한의 위협은 한미일 삼각 협력처럼 가능한 한 가장 강력한 국제적 방식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엘리트 코스를 밟은 국제 외교,안보 전문가다.
메사추세츠 보스턴에서 태어나 뉴저지에서 자란 김 의원은 시카고대에서 정치학을 전공하고 영국 옥스퍼즈대에서
국제관계학으로 석박사 학의를 받았다.
옥스퍼드대 유학 시절에 만난 아내와 결혼해 두 명의 아들을 두고 있다.
졸업후 2009년 이라크 전문가로 미국무부에 자리를 잡았고, 2011년 아프카니스탄 카블에서 현지 주둔 미군 사령관의
전략참모로도 일했다.
이후 국무부 상원 외교의원회를 거쳐 버락 오바마 행정부에서 국방부와 백악관 국가안보회의 (NSC)의
이라크 담당 보좌관을 지냈다.
2018년 뉴저지 3지구에 민주당 후보로 출마해 첫 아시아계 연방 하원의원으로 선출된 그는 2022년 까지 두 차례 선거에서
연달아 승리하며 3선 의원 배지를 달았다.
그의 상원 진출은 미국 정계에서 목소리가 제대로 대변되지 않던 아시아계 미국인 유권자들의 영향력을 키울 수 있는
기회로 분석된다.
김 의원은 처음 하원의원으로 당선됐을 당시그의 지역구에는 백인인구가 압도적으로 많고 아시아계가 드물었다.
그러나 NBC에 따르면 뉴저지의아시악 미국인 수는 2000년부터 2022년까지 두 배로 늘었다.
특히 뉴저지에서 두 번쨰로 인구가 많은 미들섹스 카운티에서는아시아계 미국인 유권자가 38%에 달하고,
가장 인구가 많은 버겐카운티에서는 25%를 차지한다.
윤석열 대통령은 이날 소셜미디어 엑스(X.옛 트위터)에 '한국계 미국인 최초로 미국 상원에 진출하는 역사를 만드신 걸
축하드린다'며 '의원님의 당선은 한국 동포 사회에 영감이 되고 있다.
상원의원으로 활동하면서 큰 성공을 거두길 기원한다'고 축하했다. 박상연.김진아 기자
한국계 최초 미국 상원의원 앤디 김
출생 : 1982년 7월 12일/미국 보스톤
학력 : 시카고대 정치학, 영국 옥스퍼드대 대학원 국제관계학 박사
경력
2005년 : 미 국제개발처 갈등 관리 전문가
2009~2013년 : 미 국무부 외교담당관
2010~2011년 : 미 신미국안보센터(CNAS) 차세대 국가안보펠로
2011~2013년 : 아프카니스탄 주둔 나토 군사령관 전략참모
2013년 : 미 국방부 이라크 잠당 보좌관
2013~2015년 : 미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이라크 담당보좌관
2019.2021.2023년 : 미 뉴저지 제3선거구 연방 하원의원(현)
2024년 : 미 뉴저지주 연방 상원의원 당선 자료: AP 통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