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정고시시험학원 대입과학 관성의 법칙
대입과학 관성의 법칙
관성의 법칙(=뉴턴의 운동 제1법칙)
⑴ 관성
현재의 운동 상태를 계속 유지하려는 성질로 물체의 질량이 클수록 관성도 크다.
⑵ 관성의 법칙
물체에 작용하는 외력이 없거나 작용하는 알짜 힘(합력)이 0일 때, 정지한 물체는 계속해서 정지해 있고, 운동하던 물체는 계속 등속 직선(등속도) 운동을 한다.
⑶ 관성력
관성력의 크기(F)는 질량(m)에 가속도(a)를 곱한 값이며, 가속도 방향과 반대 방향 으로 작용한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110C6D414FA1CF5813)
과학과 과학자 과학자가 갖추어야 할 자질
과학자가 갖추어야 할 자질
⑴ 자연 현상에 대해 ‘왜’라는 의문이 많은 사람이어야 한다.
⑵ 창의성을 갖춘 사람이어야 한다.
⑶ 세심한 관찰력과 뛰어난 통찰력을 가진 사람이어야 한다.
⑷ 객관적이고 논리적인 사고가 뚜렷한 사람이어야 한다.
⑸ 인내심과 신념이 강하여 탐구를 계속할 수 있는 사람이어야 한다.
⑹ 개인 연구보다도 협동 연구를 중시할 수 있는 사람이어야 한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1653B8384FA1D00A29)
과학과 과학자 과학-기술-사회(science - technology - society ; STS) 관계
과학-기술-사회(science - technology - society ; STS) 관계
과학 기술의 발달은 의 식 주를 비롯한 다방면에서 인간 생활을 보다 다양하고 윤택하게 변화시켰으며, 시간적인 여유를 인간에게 가져와 윤리 도덕을 포함한 사회 문화를 변화시키고 있다. 기술은 사회와 과학을 연결해 주는 다리 역할을 한다.
⑴ 편리하며 합리적인 생활
자연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올바른 자연관을 갖도록 한다.
⑵ 과학적 원리 제공
새로운 기술로 제품을 만드는 데 필요한 과학 지식이나 방법을 제공해 준다.
⑶ 생활 적용 기술 개발
신기술은 사회 구성원의 생활양식, 직업의 종류 등을 다양하게 변화시킨다.
⑷ 새로운 기술의 요구와 지원
① 기술 발전을 위한 정책을 세우고, 어느 특정 분야를 우선 지원할 것인지 결정한다.
② 특정한 기술 제품을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도록 여론을 형성한다.
⑸ 새로운 이론 요구 및 기술적 지원좀 더 발달된 측정 기구를 만들어 더욱 정밀한 측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⑹ 연구의 지원과 자극 여러 과학 분야 중에서 집중적으로 연구할 분야를 정하고 재정적 지원을 한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113D084C4FA1D0A412)
주의해야 할 부정사의 용법
◎ 주의해야 할 부정사의 용법
⑴ 본동사의 주어와 to부정사의 주어가 같은 동사
- agree, decide, hope, learn, offer, promise
- choose, expect, intend, mean
- plan, refuse, fail, manage, pretend, tend, want
① She had agreed to let us use her apartment.
[그녀는 우리가 그녀의 아파트를 사용하는데 동의했다.]
② I decided not to go out in the evening.
[나는 저녁에는 외출하지 않기로 했다.]
③ England fail to win a place in the finals.
[영국 팀이 결승에서 졌다.]
⑵ 본동사의 목적어가 to부정사의 주어인 동사(타동사)
- advise, encourage, invite, persuade
- teach, ask, expect, order, remind
- tell, allow, force, get, help, want
① I asked her to explain.
[나는 그녀에게 설명을 요구했다.]
② They advised us not to wait around too long.
[그들은 우리에게 너무 오래 기다리지 말라고 충고했다.]
⑶ 부정사의 부정
to앞에 부정어구(not, never) 붙인다.
He warned me not to touch the switch.
[그는 나에게 그 스위치를 만지지 말라고 경고했다.]
⑷ 대부정사
같은 동사의 반복사용을 피하기 위해 to+동사 형태에서 동사를 생각한다.
A:Do you like to ski? [스키 타는 것을 좋아하니?]
B:Yes. I like to. [응. 좋아해.]
A:I’ll go, if I have to. [나는 갈꺼야, 만약 내가 타야 한다면]
![](https://t1.daumcdn.net/cfile/cafe/1311E63D4FA1D18B29)
분사구문과 분사구문을 만드는 방법
◎ 분사구문
주절을 수식하는 <접속사+주어+동사>인 부사절(종속절)을 접속사를 사용하지 않고
분사(현재분사, 과거분사)를 이용하여 부사절을 부사구로 만든 것을 분사구문이라고 한다.
◎ 분사구문을 만드는 방법
(1) 종속절에서 접속사를 지운다.
(2) 종속절의 주어와 주절의 주어가 동일한 경우, 주어를 지운다.
(3) 종속절의 동사에 ‘ing’를 붙인다.
[예문]
When he saw me, he ran away. [그가 나를 보았을 때에, 그는 달아났다.]
→ Seeing me, he ran away.
접속사인 When 을 없애고, 부사절의 주어와 주절의 주어가 같은 he 이므로 생략하
고, 부사절의 동사인 saw을 분사형인 Seeing 로 바꾸면 분사구문이 되는 것이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191C25424FA1D1EB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