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에 스승 한농선 [韓弄仙] 본명 : 한귀례 [韓貴禮] 호 : 화산 [華山 ]
한농선 은사님은 1933년9월14일(주민등록번호 340124 - 2002339) 일본 동경에서 태어났다.
원적은 전남 영암이며 본적은 서울시 성동구 하왕십리동970-16 이다.
서울시 송파구 방이동152-26 삼익빌라 3동103호에 거주하면서 잠실본동210-2 전수소에서
박록주제 판소리를 전수하고계시다 2002년4월8일(음력 2월25일) 갑자기 발병 심인성 쇼크로
17시17분에 아산재단 서울중앙병원에서 이세상을 타계 하시였다.
"한농선 은사님은"
1976년4월 국가지정중요무형문화재5호 판소리 동편제(박록주제) 이수 하였으며
1982년9월 국가지정중요무형문화재5호 판소리 동편제(박록주제) 준보유자로
2002년2월 국가지정중요무형문화재5호 판소리 동편제(박록주제) 보유자로
지정 받아 예기능 보유자 일명 인간문화재가 되었다.
한농선 은사님은 1941년 8세때 국악에 입문하게 된 것은 아버지의 영향이 컸다.
아버지는 가야금 산조와 병창의 명인이신 한성기(김창조의 제자)이다.
은사님이 일본 동경에서 태어난 까닭은 조선내 예술인들을 일본에 강제 이주시키는
이른바『內鮮一體』정책으로 일본에 아버지가 살고있었기 때문이다.
한성기는 1920년대 후반부터 1940년대 초반까지 주로 일본에서 활동했으며 당시 일본에서
김록주, 이화중선, 김홍주, 이행란 등과 함께 단체를 만들어 순회공연을 했다 한다.
어린 은사님은 아버지가 공연할 때면 어머니 손을 잡고 따라가서 구경도 하고 간혹
무대에 올라가서 가야금 연주나 소리를 하며 일본에서 유년기를 보냈고 9세때인
1942년 무렵에 태평양전쟁이 극심해지자 가족 모두 전남 해남에 있던 외가로
이사했으며 1945년 무렵에는 다시 목포 양동으로 이사하였다.
은사님은 8∼18세 때까지 아버지에게 가야금 풍류, 산조, 병창을 배웠으며 13세때(1946년)에
최막동(오수암 제자)문하에서 판소리를 배웠고 양상식(오수암 제자) 문하에서 약 2년 동안
심청가 몇 대목을 배웠다. 그 당시(1946년) 목포 방송국 국악라디오 프로에 출연하여
판소리와 민요를 불렀는데 이것이 은사님의 첫 방송 이였으며 15세때(1948년) 아버지를
따라 서울로 가서 1948년부터 6.25전쟁 전까지 강장원 문하에서 수궁가를 배웠다.
1.4후퇴 때 대구로 피난하여 살았고 6.25전쟁 중에 국군의 모(某) 공작대로 들어가서
위문단체[오태석, 박록주, 신숙, 조농옥, 조소옥]에서 위문 공연을 다니 었으며
박록주와 은사님의 첫 만남은 이때였으며 훗날 사제지간이 되었다.
당시 은사님은 박록주 명창이 워낙 대원로라서 대하기가 어려웠고 전쟁통이라서 판소리를
배울 겨를이 없었다고 한다. 1953년 전쟁이 끝난 직후 20세의 나이로 정동방송국의
'국악 무대'라는 라디오 프로에 출연하여 판소리와 민요를 방송한 바 있으며 21세
(1954년) 무렵에는 박초월 문하에 들어가서 단가 <진국명산>, <강상풍월> 수궁가를 배웠다.
은사님은 21세때(1954년)부터 킹스타레코드, 대도레코드, 지구레코드, 유니버셜
레코드, 대성음반 등 여러 음반회사에서 단가, 판소리, 창극, 민요 음반을 취입 하였고
방송과 공연 활동도 활발하게하였다. 이미1950∼1960년대에 서울에서 이름을 떨쳤다.
1962년(29세) 무렵 은사님은 마침내 박록주 문하에 들어가서 판소리를 배우게 되었다.
6.25 전쟁 때 인연을 맺은뒤 10여년 만의 재회였으며 이때부터 1979년 박록주가 작고할때까지
단가 <백발가>. <편시춘>, <운담풍경>,<홍문연가>, <죽장망혜>, 홍보가 등을 사사 받았다.
1965년 은사님은 정성숙, 성창순과 함께 박록주 선생을 모시고 안양 삼막사로 가서 백일공부를
한 바 있다. 삼막사는 다름아닌 박록주가 23세 때 정정렬 선생을 모시고 춘향가 중 <신연맞이>
등을 공부했던 곳이다. 환갑을 치룬 박록주는 한때 젊음을 바친 그 곳에 다시 가보고 싶었고
그리하여 백발을 잊은채 추억에 잠기고 싶었던 것 갖다.
은사님은 삼막사에서 지옥훈련이라 할만큼 강도 높은 학습을 통하여 박록주제 홍보가를
제대로 전수받을 수 있었다. 삼막사에서 백일공부를 무리하게하여 몸이많이 쇠약해졌고
그래서 그 뒤 7개월 가량 쉬어야 했다.
은사님은 삼막사에서 지옥훈련이라 할만큼 강도 높은 학습을 통하여 박록주제 홍보가를
제대로 전수받을 수 있었다. 삼막사에서 백일공부를 무리하게하여 몸이많이 쇠약해졌고
그래서 그 뒤 7개월 가량 쉬어야 했다.
한 때 은사님은 영화「홍살문」「恨」「月下의공동묘지」출연하였으며 60년대 연속극
주제가「공주며느리」「후취댁」을 창으로 부르기도 했다. 68년 세종문화회관에서 있은
가수 이미자 현미와의 공연이후 한동안 번민에 휩사여 고생 하시었다고 한다.
은사님은 39세때(1927년) 박봉술 문하에서 적벽가를 배웠고 김소희 문하에서 심청가를
박동진 문하에서 적벽가를 잠깐 배운 바 있다. 그리고 조상현 명창 에게서 춘향가와
심청가를배웠고 그 대신 은사님은 조상현 명창에게 홍보가를 가르쳐 주었다.조상현 명창은
오래 전에 박록주 문하에서 홍보가를 배운바 있으나 일부 잊은 것을 은사님이 복습시켜 준 것이다.
은사님이 부르시는 판소리는 박록주제 홍보가, 박초월제 수궁가, 조상현제 춘향가와 심청가이다.
이 가운데 홍보가로 1982년 9월 인간문화재 후보가 되었다. 특기로 즐겨부르는 소리는 박록주
문하에서 배운 단가 <백발가>와 홍보가, 조상현 명창에게서 배운춘향가 중 <사랑가>와 심청가등
<뺑덕이네 도망 가는데> 이다.
은사님의 음반 가운데 명반을 고른다면 1983년에 대성음반에서 녹음된 2장짜리 기악과 같이하는
홍보가 음반이다 목이 아주 좋아 만인이 좋와하나 북 반주라면 더 좋을 것을하는 아쉬움이 있다.
은사님은 1954년부터 지금까지 여러 음반회사에서 무수히 많은 음반을 취입하였으나 그 대부분은
여러 명창들과 함께 취입한 창극이나 민요 음반이 많고 판소리를 독창으로 취입한 것은
1995년 삼성 리이센스에서 완창 취입한 음반이 있다.
요즘 가장 활발하게 전승되고 공연되는 홍보가는 박록주제, 김연수제, 강도근제,박동진제이다.
이 가운데 박동진을 제외하고는 모두 송만갑의 홍보가를 직,간접적으로 이어받았다.
홍보가는 송만갑이 즐겨 불렀던 장기다. 그의 홍보가는 박봉래를 거쳐 박봉술에게,
김정문을 거쳐 박록주와 강도근에게 이어졌다.
송만갑제 소리 중에서 홍보가는 박록주에 의해서 잘 전승되어 오늘날 많은 후학들이
박록주제 홍보가를 부르고 있다. 은사님은 현재 무대 활동보다는 제자 양성에 주력하고
하시었으며 국가지정 중요무형문화재5호 판소리 이수제자로 남자 김영소 여자 강길례
임영이 김영옥 외 에도 일반 제자가 많다. 국악예술 고등학교 중앙대학교 용인대학교
전남대학교 등에서도 많은 제자 양성하시었다
은사님의 최근 기록물 중에는 1993년 국립극장과 KBS 흥보가 완창 1995년 삼성 라이센스
흥보가 완창 1996년 케이블채널 문화예술 코오롱 TV에서 녹화한 홍보가 완창이 좋으며
1999년 국립국악원에서 흥보가을 완창하신 기록들이 있다.은사님이 남기신 방송용
녹음과 공연 실황도 음반화 되길 기대하여 봅니다.
본인은 1984년부터 2002년 타계하실 때까지 은사님으로부터 직접 들은 말씀을기록하였다.
이미 고인이 되시었지만 생전에 활동사항을 간단하게 간추려 봅니다.
< 사사사항 >
일본 동경에서 출생 전남 목포에서 가야금의 명인 한성기 선생님의 외동딸로
8세∼18세까지 부친으로부터 가야금 전수
1945 : 최막동 선생님께 판소리 입문 심청가사사
53 : 강장원 선생님께 판소리 수궁가 사사
61 : 박초월 선생님께 판소리 수궁가 사사
61 : 박록주 선생님께 판소리 흥보가 사사
67 : 김연수 선생님께 판소리 춘향가 사사
68 : 박봉술 선생님께 판소리 적벽가 사사
< 경력사항 >
1955 ∼ 1960 : 국극단 입단활동
1972 ∼ 1982 : 국립창극단 단원
1976. 4 : 국가지정 중요 무형 문화재 제5호 흥보가 이수
1982. 9 : 국가지정 중요 무형 문화재 제5호 준보유자지정 (문화재 관리국)
1982 ∼ 현재 : 사단법인 판소리보존 연구회 부이사장
1983 ∼ 1985 : 국악예술학교 강사
1985 ∼ 현재 : 한농선 판소리 연구소 (후진양성)
1986 : 국악협회 창악분과 위원장 역임
1990 ∼ 1991 : 중앙대학교 강사
1996 ∼ 1998 : 전남대학교 강사
1997 ∼ 현재 : 국악예술학교 강사
1997 ∼ 현재 : 용인대학교 강사
1999 ∼ 현재 : 중앙대학교 강사
< 기타사항 >
1969 : 김연수, 박록주, 박초월 선생님과 단가집 취입(지구레코드)
1975 : 뿌리깊은 나무 주최 흥보가 완창
1975 : 일본 75엑스포 해양박람회 공연
1976 : 현대음반 단가집 제작
1976 : 창극 춘향전 취입 (아세아레코드사)
1978 : 재미동포 순회 위문공연
1979 : 현대음반 춘향전 창극 취입
1979 : 현대음반 흥보가 완창 취입
1981 : 홍콩 아세아 민속 예술제 공연
1982 ∼ 현재 : 중요 무형 문화재 무대 종목 매년 공연
1982 ∼ 현재 : 사단법인 한국판소리 보존연구회 유파 발표회 매년 공연
1983 : 문예회관 대극장 흥보가 완창
1985 : 호암아트홀 심청가 공연
1988 : 예술의 전당 개관 공연
1989. 9 : 유고, 헝가리 등 동구귄 6개국 창극 심청전 순회 공연
1989 : K.B.S 흥보가 완창
1990 : 창극 심청전 일본 공연
1991 : 뉴코아 문화갤러기 흥보가 표창
1993 : 국립극장 소극장 흥보가 완창
1993 : K.B.S FM 흥보가 완창
1994 : 국립국악원 주회 일요 명인 남도민요 공연
1994 : K.B.S FM 토요상설 무대 흥보가 심청가 공연
1995 : 삼성 라이센스 흥보가 완창 취입
1995 : 케이블 TV. A&c 코롱 흥보가 완창 방영
1999. 6. 19 : 국립국악원 우면당 흥보가 완창발표회
2000. 3. : 고 김 소희 선생님 추모공연
2000. 5. 04. : 중요무형문화재공연 (무형문화재상설공연장)
2000. 6. : 보라매공원 공연 (서울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