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금비(黃金比) 또는 황금분할(黃金分割/Golden Section) 은 주어진 길이를 가장 이상적으로 둘로 나누는 비(比)로, 근사값이 약 1.618인 무리수이다. 기하학적으로 황금분할은 이미 유클리드(원론 3, 141)가 정의한 이래 예술분야, 특히 건축, 미술 등에서 즐겨 응용되었다.
황금분할의 정의
(a+b):a = a:b
황금비 (phi)는 선분을 a,b 길이로 둘로 나눌 때, 다음과 같은
값으로 정의된다.
이 때,
가 성립하고, 를 대입하면
라는 이차방정식이 나오고, 는 이 방정식의 두 근 중 양수 근이 된다.
수학적 성질
황금비는 기하학에서 자주 등장하는 상수이다. 특히 오각형에 연관성이 크다.
예를 들어, 정오각형의 한 변의 길이와 대각선의 길이의 비는 황금비이다.
피보나치 수는 황금비를 포함한다.
또한, 피보나치 수열의 두 수의 비의 극한값은 황금비이다.
* 피보나치 수열 [-數列, Fibonacci sequence]
0, 1, 1, 2, 3, 5, 8, 13, 21…… 형태의 수열. 즉, 첫번째 항의 값이 0이고 두 번째 항의 값이 1일 때
이후의 항들은 이전의 두 항을 더한 값으로 만들어지는 수열을 말한다. 수열의 공식은 다음과 같다. fn = fn-1+ fn-2(단 , f0=0, f1=1, n=2, 3, 4, ….)
수열에서 연속하는 두 항의 비의 값(…)으로 만든 수열의 항은 황금비의 값에 점점 가까워진다. 특히
이 되어 이것은 황금비인 와 거의 같은 값이다.
생활 속에서 볼 수 있는비
고대 그리스로부터 건축물을 아름답게 짓기 위해 황금비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명함, 담배갑, 신용카드 등에서도 볼 수 있다. HDTV 나 컴퓨터의 와이드 모니터 등에는 16:9, 15:9(5:3), 16:10(8:5) 등의 비율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것은 황금비의 근사값이라 할 수 있다.
황금분할 (기하학) [黃金分割, golden section]
선분을 황금비로 나누는 것.
황금비 /黃金比
황금 분할 /黃金 分割
평면기하에서, 한 선분을 2부분으로 나눌 때에 전체에 대한 큰 부분의 비와
큰 부분에 대한 작은 부분의 비가 같게 되는 분할.
하나의 가 있을 때, 그 선분상에 한 점 P를 구하여 ()2=·가 되도록 하는 일이다.
=> 즉, 선분을 외중비(外中比)로 나누어, 그 한쪽의 제곱을 나머지와 전체의 곱과 같아지게 하는일
* 外中比 : 어떤 양(量)이 대소(大小)로 이분(二分)되어 그 작은 부분(部分)과 큰 부분(部分)과의
비(比)가 큰 부분(部分)과 전체(全體)와의 비와 같을 때 그 양쪽 부분(部分)의 비.
중외비(中外比). 중말비(中末比). 황금비
이때 와 의 비를 황금비라고 한다. 그 비의 값은, : =(√5-1):2=0.61803. 또 정5각형의 같은 꼭지점을 지나지 않는 2개의 대각선은 서로 다른 것을 황금분할한다. 황금분할을 각도로 구할 경우, ΔABC에서 ∠B=∠R(직각), =2라 하고 위에 와 같게 를 취한다. 그리고 위에 와 같아지도록 를 취하면 점 P는 를 황금분할한다.
황금비는 고대 그리스에서 발견되었는데 황금비를 가진 직4각형은 가장
조화가 잘 된 직4각형으로 알려져 있다.
고대 그리스의 건조물이나 공예품에는 흔히 황금비가 적용되어,
예컨대 아테네의 파르테논 신전의 윤곽이나 라오콘 상(像)은 황금비
직4각형에 가깝다.
황금비는 건축·조각·회화·공예 등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솔방울,
파인애플 열매, 국화의 꽃잎 등 자연 속에서도 발견할 수 있다.
파르테논 신전
B.C 497년에 침공한 페르시아에 의해 아테네 전 시가지는 물론 아크로폴리스에 있던 모든 건물들이 파괴되어 버렸고,
파르테논은 B.C 447년에 건축하기 시작하여 B.C 438년까지 계속되었는 데
이 때부터 신전으로 쓰기 시작한 것이다. 파르테논신전이 그토록 아름답게 보이는 것은 아름다운 대리석의
장식과 수학이 잘 어울려 조화를 이루는 데 있다.
즉, 신전 각 부분이 정확하게 기하학적인 비율로 되어 있다는 점이다.
기둥머리 부분의 길이를 a, 기둥 아래의 지름을 b, 기둥과 기둥의 중심간격을 c, 기둥 높이를 d,
신전의 정면 폭을 e, 신전의 옆면 길이를 f라 하면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
b=√5a c=√5b=√5√5a=√5a
d=√5c=√5√5√5a=5√5a
e=√5d=√5√5√5√5a=52a
f=√5e=√5√5√5√5√5a=52√5a
즉, 신전 각 부분의 길이는 √5와 관련이 있는 것이다.
피라미드
고대 이집트인들은 등간격으로 매듭이 있는 줄을 가지고 길이의 비가 3 : 4 : 5인 직각 삼각형을 만들었고,
이를 피라미드와 신전등의 각종 건축물에 사용했다고 한다.
여기서 길이의 비가 3 : 4 : 5인 직각삼각형의 최단선분과 최장선분의 비는 3 : 5로 황금비에 가깝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실제로 오른쪽 그림에서 보듯이 밑면이 정사각형의 각변으로부터
중심에 이르는 거리(OM)와 능선(PM)의 길이의 비가 1:1.616으로 황금비에 가깝다.
작도하는 방법 1. 선분 AB의 중점 M을 잡고, 점 B를 중심으로 선분 BM을 반지름으로 하는 원을 그린다. 2. 점 B를 지나는 선분 AB의 수선과 원 B와 만나는 점 O를 잡는다. 3. 점 O를 중심으로 반지름이 OB인 원 O를 그린다. 4. 선분 OA와 원 O와의 교점을 C라고 한다. 5. 점 A를 중심으로 반지름이 AC인 원을 그려 선분 AB와의 교점을 P라고 하면, 점 P가 선분 AB를 황금분할하는 점이 된다.
첫댓글 나는 이번 대선결과가 황금비로 당락이 결정된다는 결론에 도달하는줄 알았지? 아마 그런예측을 이장군은 하고 있는거겠지?아무튼 승리는 해야 될텐데/ 소중한 자료 잘 읽고 가네.
누구도 부인할 수 없는 세상, 우주의 진리이지요 ...
신묘막측하지요.이장군 믿으면 더할나위 없지만 않믿드라도 성경의 오묘한 진리에 한번 심취해 보심은 어떨지?
꽃 한 송이 피울려해도 꽃잎 수가 따라야 할 길이 있지요, 1, 2, 3, 5, 8, 13, 21, 34, 55, 89 ...자연의 순리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