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기준금리를 3%로 동결했습니다.
최근 원화가치는 달러당 1,450원 이하로 떨어졌으며, 이는 금융위기 이후 전례 없는 수준입니다.
한국과 미국의 기준금리 차이가 커지면 원화가치가 더 하락하고 외국인 투자가 유출될 수 있습니다.
금융통화위원회는 올해 경제성장률이 당초 예상치인 1.9%를 "밑돌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밝혔습니다.
BOK holds key rate unchanged amid weak currency, Trump uncertainty
통화약세와 트럼프 불확실성 속에서 한국은행, 기준금리 동결
(Yonhap) 연합
Posted : 2025-01-16 09:59 Updated : 2025-01-16 11:09
Korea Times
Despite mounting woes leading to weak growth momentum, Korea's central bank kept its benchmark interest rate frozen Thursday in the wake of the weak local currency and uncertainties stemming from the new Donald Trump administration.
성장모멘텀 약화로 이어지는 우려가 커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 중앙은행은 목요일 국내통화 약세와 도널드 트럼프 새 행정부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The monetary policy committee of the Bank of Korea (BOK) held its key rate unchanged at 3 percent during a rate-setting meeting in Seoul.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서울에서 열린 금리 결정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3%로 동결했다.
The decision came on the heels of two rate cuts in the prior meetings in October and November, which marked the first back-to-back interest rate cuts since February 2009 when the country was reeling from the aftermath of the global financial crisis.
이번 결정은 지난 10월과 11월에 있었던 두 차례의 금리 인하에 이은 것으로, 글로벌 금융위기의 여파로 어려움을 겪고 있던 2009년 2월 이후 처음으로 연이은 금리 인하를 단행한 것이다.
"As the economic outlook and foreign exchange market uncertainties have increased due to the changing domestic political situation and economic policies in major countries, the board judged that it is appropriate to maintain the current level of the base rate, and to further assess any changes in domestic and external conditions," the central bank said of its decision in a statement.
중앙은행은 성명에서 "주요국의 국내정치 상황과 경제정책 변화로 경제 전망과 외환시장 불확실성이 증가함에 따라 이사회는 현재 수준의 기준금리를 유지하고, 국내외 여건 변화를 추가로 평가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Thursday's decision highlights the BOK's focus on ensuring financial stability, as the local currency recently weakened sharply to well below 1,450 won per dollar, a level unseen since the financial crisis.
목요일의 결정은 한국은행이 금융안정성을 보장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음을 강조한다. 최근 원화가치가 급격히 하락하여 달러당 1,450원 이하로 떨어졌으며, 이는 금융위기 이후 전례 없는 수준이다.
The won's weakening came as President Yoon Suk Yeol's shocking martial law imposition caused political turmoil, while U.S. President-elect Trump warned of high tariffs.
원화약세는 윤석열 대통령의 충격적인 계엄령 시행으로 정치적 혼란이 발생한 반면, 트럼프 미국대통령 당선인은 높은 관세를 경고하면서 발생했다.
The local currency opened at 1,455 won against the greenback Thursday, up 6.2 won from the previous session.
원화는 목요일 달러 대비 6.2원 상승한 1,455원에 개장했다.
The Federal Reserve also hinted at a cautious approach to rate cuts this year, scaling back the number of rate cuts it anticipated in 2025 to two from the initial four, which hammered Asian currencies.
연방준비제도이사회는 또한 올해 금리인하에 대한 신중한 접근방식을 시사하며 2025년 예상했던 금리인하 횟수를 당초 4회에서 2회로 축소하여 아시아 통화에 타격을 입혔다.
A widening gap between the key rates of Korea and the United States would cause the won to slide further and lead to an outflow of foreign investment from the local market, according to experts.
전문가들에 따르면 한국과 미국의 기준금리 차이가 커지면 원화 가치가 더 하락하고 국내시장에서 외국인 투자가 유출될 수 있다고 한다.
The on-hold decision keeps the difference at up to 1.5 percentage points.
금리동결 결정은 차이를 최대 1.5% 포인트로 유지한다.
The weaker won could also cause inflationary pressure.
원화약세는 인플레이션 압력을 초래할 수도 있다.
BOK Gov. Rhee Chang-yong has said the 1,430 won level is likely to push up consumer prices by 0.05 percentage point.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1,430원대가 소비자 물가를 0.05%포인트 상승시킬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Analysts had been sharply divided on the central bank's policy direction amid calls for the need to prop up weak growth momentum through monetary easing.
분석가들은 통화완화를 통해 약한 성장모멘텀을 뒷받침해야 한다는 요구 속에서 중앙은행의 정책 방향에 대해 극명하게 의견이 분분했다.
The country is facing mounting downside risks, including slowing exports, weak domestic demand and potential U.S. policy changes.
우리나라는 수출둔화, 내수부진, 미국의 잠재적 정책변화 등 하방 리스크가 커지고 있다.
The BOK expected the economy to grow 1.9 percent in 2025, which is below the potential growth rate of 2 percent.
한국은행은 2025년 경제 성장률이 1.9%로 잠재 성장률인 2%를 밑돌 것으로 예상했다.
Earlier this month, the finance ministry presented a bleaker outlook of a 1.8 percent expansion in 2025, given heightened uncertainties from the political chaos and external factors.
이달 초, 기재부는 정치적 혼란과 외부 요인으로 인한 불확실성이 높아짐에 따라 2025년에 1.8%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을 밝게 제시했다.
The BOK committee said the country's economic growth this year is "highly likely to fall below" its earlier forecast of 1.9 percent, while high uncertainties remain along the future path of economic growth. (Yonhap)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이 당초 예상치인 1.9%를 "밑돌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밝혔으며, 향후 경제 성장 경로에 따라 높은 불확실성이 남아 있다. (연합뉴스)
#Interestrate기준금리 #Currencyweakness통화약세 #Trumpuncertainty트럼프불확실성 #Economicgrowth경제성장 #Inflation인플레이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