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흥조(中興祖)란
중흥조는 종단을 다시 일으켜 세우는 공로가 있는 조사스님을 말한다. 조계종의 중흥조 태고보우(太古普愚, 1301~1382)국사는 고려 말의 고승으로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간화선의 선법으로 깨달음을 성취한 스님이다.
조계종의 지금 대부분 스님들은 태고선사의 법맥을 이어받고 있다.
중흥조(中興祖)태고보우국사의 생애와 사상
국사는 13세에 양주 회암사에서 가지산문의 광지선사를 은사로 출가하였다. 19세에 구산의 장자 선문(禪門)이었던 가지산문 총림인 보림사에서 “만법귀일 일귀하처(萬法歸一 一歸何處)” 화두를 참구하기 시작했다.
교학연구에도 힘써 26세에 승과(僧科)인 화엄선(華嚴選)에 합격하였다. 30세 때 대도를 성취하고자 용문산 상원사에서 12가지 큰 서원을 세우고 간절히 기도하였다. 33세에는 일대사 인연을 성취하지 못하면 목숨을 던지겠다는 각오로 성서 감로사에서 7일 동안 먹지도 않고 밤낮으로 용맹정진한 끝에 지견이 열렸다. 37세에 불각사에서 『원각경』을 읽다가 알음알이를 깨어버렸다. 38세에 전단원에서 동안거 정진을 하였는데, 자나깨나 한결같은 오매일여(寤寐一如) 경지에 이르러 무자 화두를 타파하고 마침내 확철대오 하였다.
깨친 후 고향인 양평으로 돌아가 부모님께 효성을 다했다. 41세에는 북한산 중흥사 주지로 추대되어 후학을 지도했다. 이 무렵 일본과 원나라 스님들이 찾아와 교류하였으며, 외국스님들에게 원나라 남쪽에는 명안종사(明眼宗師) 들이 계시니 찾아가서 전법인가를 받으라는 권유를 들었다. 이에 46세에 원나라 원경(북경)으로 가니 황제가 명성을 듣고 황실로 초빙하여 황태자를 위한 법문을 청했다. 이때 볼모로 와 있던 왕자 기(祺, 후에 공민 왕)를 만났다. 기왕자는 원나라 황실에서 융성한 예우를 받던 태고국사에게 존경의 예를 표하며 후일 자기가 왕이되면 스승으로 모시겠다고 말하였다. 태고국사는 무심한 마음으로 남쪽으로 가서 절강성 하무산 천호암의 석 옥(石屋, 1272~1352)선사를 만났다.
태고국사는 석옥선사를 만나 문답한 기록은 이렇게 전한다. 방장실에 나아가 깨달은 바를 말하고 [태고암가]를 올렸다. 석옥화상은 매우 장하게 여기고 우선 시험하여 물었다.
“그대는 이미 그런 경지를 지났지만 다시 조사의 관문이 있는데 알겠소?”
“어떤 관문이 있습니까?”
“그대가 깨달은 바를 보니 공부가 바르고 지견(知見)이 분명하오. 그러나 그것을 모두 놓아버리시오. 그렇게 하지 않으면 그것이 이장(理障)이 되어 바른 지견을 방해할 것이오.”
“놓아버린 지 오래입니다.”
“그렇다면 쉬시오.”
석옥화상은 미소를 지으며 ‘불법이 동방으로 가는구나!’ 하고 자신의 가사를 주어 믿음을 표하며 말하였다.
“이것은 노승이 평생 지니던 것이오. 오늘 그대에게 주니 그대는 이것으로 길잡이를 삼으시오.”
이와 같이 태고국사는 48세에 처음으로 간화선을 깨치고 중국 임제종 조사로부터 확철대오를 인가 받았다. 국사는 귀국 길에 선원의 규범집 『백장청규』와 스님들의 교과서인 『치문緇門』을 구해서 돌아와 고려에 전파하였다. 고려로 돌아와 양평 소설산으로 들어가 몸소 농사를 짓고 유유자적한 시절을 보냈다. 52세가 되자 원나라에 볼모로 있던 왕자 기가 돌아와 공민왕이 되어 서울로 초청하였고 여러 차례 거절하다가 간곡한 간청에 설법을 하였다.
1356년에 국사는 공민왕의 거듭된 청으로 왕사(王師)가 되었다. 공민왕은 태고국사를 왕사로 모시고 조정에 명하여 광명사에 원융부(圓融府)를 설치하고 불교계를 주관케 하였다. 태고왕사는 원융부를 통하여 구산선문 (九山禪門)의 통합을 추진하였다. 공민왕은 스님을 다시 국사(國師)에 추대하고 고향인 양평을 군으로 승격시키고 지리산 영원사에 모셨으나 국사는 가지 않았다. 그 뒤 1378년 우왕이 즉위하여 다시 국사로 모시고 봉암사 에 주석케 하였다. 1381년 태고국사는 봉암사를 떠나 고향 소설산(지금의 양평 용문산)으로 돌아가 가벼운 병을 보이시더니 어느 날 새벽에 목욕한 뒤 옷을 갈아입고 단정히 앉아 게송을 짓고는 입적하였다.
세수 82세, 법납 69세였다.
태고국사는 간화선맥을 전파한 우리나라 최초의 선사이다. 이후 국사의 법맥은 뒤에 서산 – 사명 대사로 이어지고 근세에는 경허 - 용성 선사로 이어져 지금의 조계종이 형성된 것이다
- 대한불교조계종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