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동네 역사산책
서울의 아리랑 고개는돈암동에서 정릉까지 넘어가는 고개를말한다.
일제 때 고급 요정이 있어 아리랑 고개라 했다는 설과 망국의 설움과
한을 저항으로 노래한 나윤규의 영롸 '아리랑'을 그곳에서 찍었기 때문이란 설도 있다.
중구에도 아리랑 고갸가 있었는데 민요 '아리랑'처럼 이별을 서러워하는 의미다.
광희문은 성안 백성이 죽어 성 밖 화장터나 공동묘지로 갈 때 지났던 문으로
'시구문'이라 했다.
이때부터 광희문 근처를 죽어서 넘는다는 아리랑 고개라 했고 아리랑 고개를 넘어갔다고 하면
흔히 '세상을 떠났다'라는 뜻이 되었다.
신당동은 광희문을 지나간 영혼을달래기 위해 성 밖 무당들이 신당을 차리고 살았던 데서 비롯됐다.
그 때 우리 어머니, 아내, 누이는 억울하게 숨져간 아버지, 남편, 오빠의 영혼을 달래겠다며
신당의 무당을 찾아 굿을 했다.
막강한 권력 앞에 할 수 있는 게 그 뿐이었다.
지금도 신당동엔 몇몇 시당이 영업 중이고 무당용품 백화점까지 있다.
또 무당집 콘셉트의 이색 칵테일 바도 생겨났다.
지금도 한 번씩 가보면 침 맞는 대추나무 등 조금은 별난 모습을 볼 수 있다.
신당동은 1894년 갑오개혁 때 동명에 차마 귀신 신을 쓸 수 없어 신당과 발음이 같은 신당으로 표기하며 유래했으나
그 이전 영조 때 수성책자에 신당리계로 처음 나타난다.
1910년 일제 때도 신당리동으로 했다가 해방 후 일본식 동명을 우리식으로 바꿀 때 성동구 신당동이 되었고
1975년 중구로 편입되었다.
신당동 얘기에 떡볶이를 뺴놓을 수 없다.
그 옛날 입맛 없어 하던 왕에게 어느 종가에서 떡과 갈비를 영념간장에 볶아 올렸는데 맛이 좋아 궁중요리가 돘다.
1800년대 말 '시의전서'에 궁중에서 흰떡과 등심살, 참기름, 파, 석이버섯, 잣, 깨소금을 넣어 만들었다는 기록도 있다.
그후 80년대 동대문구장 고교야구와 함께 전성기를 맞았는데 지금은 추억의 음식이 되어 10여 곳 남아있단다. 김성섭 수필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