嬋娟洞(선연동)
박제가(朴齊家:1750~1805)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재선(在先)·차수(次修)·수기(修己), 호는 초정(楚亭)·정유(貞蕤)·위항도인(葦杭道人).
박제가는 1750년(영조 26) 11월 5일 우부승지를 지낸 박평(朴玶)의 세 번째 부인 사이에 둘째 아들로 태어났지만 서자 출신이다. 열한 살 때 부친을 여의고 홀어머니 밑에서 가난하게 자랐다. 1779년에 정조의 특별한 배려로 서얼 출신으로 규장각 검사관으로 출사 했다..
박제가 학자로 우뚝 서게 된 데에는 어머니와 충무공 5대손인 장인 이관상의 도움이 컸다.
박학하고 세상을 보는 눈이 탁월했던 그를 사위로 삼은 것이다.
네 차례에 걸쳐서 중국 사신의 수행원으로 청나라 연경에 다녀왔다.
1801년 신유사옥 무고 때문에 함경도에 유배 갔으며, 2년 후에 풀려나 1805년 서울로 돌아와 그 해 4월 25일에 56세를 일기로 작고했다.
누구보다도 중국을 잘 알았고 조선의 부강을 꿈꾸었던 정치가이며, 외교관이었고, 통역관이었으며, 북학파의 거두(巨頭)이다.
저서로는 『북학의(北學議)』 · 『정유집(貞蕤集)』 · 『정유각집』 등등이 있다.
봄날 성에 꽃은 지고 풀은 푸르게 자라는데
春城花落碧莎齊 춘성화락벽사제
예로부터 꽃다운 혼들 이 땅에 살았네
終古芳魂此地棲 종고방혼차지서
사람의 정을 어찌 말로 다할 수 있으랴
何限人間情勝語 하한인간정승어
오히려 죽어서라도 완사계에 빠져보고 싶네
死猶求溺浣紗溪 사유구닉완사계
*
嬋娟洞(선연동): 평양의 칠성문 밖 계곡에 있는 기생들의 공동묘지.
莎(사): 향부자, 베짱이, 손을 비비다.
齊(제): 가지런하다, 같다, 갖추다, 다, 똑같이, 모두.
終(종): 끝나다, 다 되다, 극에 달하다, 죽다, 끝, 종말, 마침내.
終古(종고): 예로부터, 영원히, 끝내.
棲(서): 살다, 깃들다, 머무르다, 보금자리, 둥지, 쉬다.
勝(승): 이기다, 낫다, 뛰어나다.
情勝語(정승어): 정이 말보다 낫다.
浣(완): 빨다, 씻다, 세탁하다, 열흘 사이.
紗(사): 깁다, 엷고 가는 견직물, 외올 실.
浣紗溪(완사계): 춘추전국시대에 월(越) 나라 미인 서시(西施)가 빨래하던 냇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