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1,[7]
 (이) 둘 |
자원(字源) : {指事字} 가로 그은 획 두 개로 '둘'이라는 수를 나타낸 글자인데, '一'(일) 부에 포함시키지 않고 별도 부수로 분류한 것은 이분법에 의한 동양철학의 만물 생성에 기초해 위의 '一'은 하늘{天}, 밑의 '一'은 땅{地}의 뜻으로 설명함. 이는 '五'의 자원이 천지의 음양이 합해져 오행(五行)이 상생(相生)함에서 '다섯'의 의미가 된다는 것에서 알 수 있음. 역시 특별한 부수의미를 적용하지 않고, 자의(字義)는 "둘, 다음(버금)" 등의 뜻을 지님. 貳(이)와 통용{갖은자}. |
기초 한자 - 1800자 중 7자 0) 二 (이)둘 : 二姓之合, 二等 1) 于 (우)어조사,아! : (통용)=於=乎, 2) 云 (운)말하다 : 云云, 云爲
|
2) 互 (호)서로,뒤섞이다 : 互相, 互稱 2) 五 (오)다섯 : 五行, 五里霧中, 2) 井 (정)우물,정전 : 井底之蛙, 井田 6) 亞 (아)버금 :亞流, 亞聖, 亞歲{동지} |
2-2,[8]
 (두) |
자원 : {자의미상} 214개 부수 가운데 유일하게 의미를 알 수 없는 부수임. 음(音)만 '두'로 전해지고, 용례도 찾을 수 없음. 돼지 해{亥}의 머리 부분과 같아서 속설로 '돼지해머리'라고 불림. {文. 玄. 立. 辛 등은 별도 부수자} |
기초 한자 - 1800자 중 8자 1) 亡 (망)망하다,(무)없다 : 亡羊補牢 4) 交 (교)사귀다,섞이다 : 交感, 交友以信 4) 亥 (해)12째지지,돼지 : 戌亥, 亥時 4) 亦 (역)또한 : 亦是, 不亦說乎 |
5) 亨 (형)형통하다 :亨通,[享.烹(팽)통용] 6) 享 (향)드리다,누리다 : 享年, 享宴, 6) 京 (경)서울,크다 : 京鄕, 京畿, 7) 亭 (정)정자,여막 : 亭子, 八角亭 |
2-3,[9]
 (인) 사람

 (인) 사람
 |
자원 : {象形字} 사람이 양팔,양다리를 벌리고 서있는 모양을 정면에서 본뜬 글자가 본래 {大}인데, 간략하게 좌우 대칭인 팔다리를 하나씩만 표현해 옆으로 서있는 사람의 모습을 본뜬 글자임. 사람이 만든 문자답게 '사람'관련 뿐아니라, 일상생활의 다양한 의미의 글자를 포함하고 있음. < 교육용 한자 수에서도 '水'부수[96자] 다음으로 속한 글자가 많음> |
기초 한자 - 1800자 중 88자 0) 人 (인)사람 : 人間萬事, 人死留名 2) 今 (금)이제,지금 : 今時初聞, 古今 2) 介 (개)끼다,소개하다 : 仲介, 紹介 2) 仁 (인)어질다 : 仁者無敵, 仁者樂山 3) 令 (령)명령,좋다 : 命令, 巧言令色 3) 以 (이) 써 : 以心傳心, 以實直告 3) 仕 (사)벼슬하다 : 仕宦, 仕退 3) 他 (타)다르다 : 他人, 他界 3) 付 (부)주다,청하다 : 交付, 付託 3) 仙 (선)신선 : 仙女, 仙風道骨 3) 代 (대)대신하다,시대 : 代辯, 時代 4) 企 (기)꾀하다 : 企業, 企劃 4) 仰 (앙)우러르다 : 仰不愧於天 4) 仲 (중)버금 : 仲介, 仲秋節 4) 件 (건)건,것 : 事件, 件數 4) 任 (임)맡다 : 任期, 赴任 4) 伏 (복)엎드리다,복 : 伏魔殿, 伏日 4) 伐 (벌)치다,베다 : 征伐, 伐木 4) 休 (휴)쉬다 : 休息, 萬事休 5) 余 (여)나 : 余我, 予와 통용 5) 伯 (백)맏 : 伯父, 伯仲之勢 5) 伸 (신)펴다 : 伸張, 屈伸 5) 似 (사)같다,흉내내다 : 似而非 5) 但 (단)다만 : 但只, 非但 5) 位 (위)자리 : 神位,品位,位階秩序 5) 低 (저)낮다 : 低價, 低級, 低廉 5) 住 (주)머무르다 : 住所, 住宅, 安住 5) 佐 (좌)돕다 : 補佐, 佐命, 賢佐忠臣 5) 何 (하)어찌,무엇 : 何必, 何如歌 5) 佛 (불)부처,불교 : 佛供, 石佛 5) 作 (작)짓다,일어나다 : 作心三日 ▲5) 伴 (반)반려자 : 伴侶者, 同伴, 伴食宰相 6) 來 (래)오다 : 來世, 歸去來辭 6) 佳 (가)아름답다 : 佳作, 百年佳約 6) 使 (사)부리다,사신 : 使節, 使臣 6) 例 (례)법식, 본보기 : 例示, 例文 6) 侍 (시)모시다 : 侍女, 內侍 6) 供 (공)이바지하다,받들다 : 供給 6) 依 (의)의지하다 : 依賴, 依支 7) 侯 (후)제후,후작 : 諸侯, 王侯 7) 侵 (침)침략하다 : 不可侵, 侵攻 7) 便 (편)편리하다 : 便安, 便利 (변) 똥오줌 : 大便, 便所 7) 係 (계)매다,계 : 係累, 係員, |
7) 促 (촉)재촉,급하다 : 促進, 促迫 7) 俊 (준)뛰어나다 : 俊秀, 俊傑 7) 俗 (속)풍습,속되다 : 風俗, 世俗 7) 保 (보)지키다,돕다 : 明哲保身 7) 信 (신)믿다, 신의 : 信望, 尾生之信 ▲7)侮 (모)업신여기다: 侮蔑,侮辱,受侮 8) 倉 (창)곳집 : 倉庫, 穀倉 8) 修 (수)닦다 : 修身齊家治國平天下 8) 俱 (구)다,함께 : 父母俱存 8) 個 (개)낱개 : 個別, 個人主義, 8) 倍 (배)곱,더하다 : 倍數, 倍加 8) 倒 (도)넘어지다 : 主客顚倒, 倒置 8) 候 (후)망보다,철 : 斥候兵, 氣候 8) 倣 (방)본받다 : 模倣 8) 値 (치)값,만나다 : 價値, 數値 8) 借 (차)빌리다 : 假借, 借廳入房 8) 倫 (륜)인륜,무리 : 天倫, 不倫, 絶倫 9) 假 (가)빌리다,거짓 : 假借, 狐假虎威 9) 偉 (위)크다,뛰어나다 : 偉人, 偉大 9) 停 (정)머무르다 : 停留場, 停車 9) 健 (건)굳세다,건강하다 :健, 健忘症 9) 側 (측)곁,기울다 : 右側, 輾轉反側 9) 偶 (우)짝,만나다 : 偶像, 偶然 ▲9) 偏(편)치우치다: 偏見,偏狹,偏母膝下 10) 傍 (방)곁,{방}부수: 傍系,傍若無人 10) 傑 (걸)준걸 : 傑出,出衆,英雄豪傑 10) 備 (비)갖추다 : 有備無患, 準備 11) 催 (최)재촉하다 : 催眠, 催淚彈 11) 傲 (오)거만하다 : 傲慢, 傲霜孤節 11) 傳 (전)전하다,전기 : 傳達, 傳記 11) 債 (채)빚 : 債券, 債務, 私債 11) 傷 (상)상하다,상처 : 傷心, 死傷者 11) 傾 (경)기울다 : 傾國之色, 11) 僅 (근)겨우 : 僅僅, 僅少 12) 像 (상)꼴,상 : 佛像, 想像, 12) 僞 (위)거짓 : 眞僞, 僞造, 僞證 12) 僧 (승)중 : 僧舞, 僧鼓月下門 ▲12) 僚(료)동료,관리: 同僚, 官僚, 幕僚 13) 價 (가)값 : 定價, 呼價, 價値 13) 儀 (의)거동,법의 : 儀禮, 賻儀 13) 億 (억)억,헤아리다 : 億兆, 億庶 13) 儉 (검)검소하다 : 儉約, 儉素 14) 儒 (유)선비 : 儒學, 焚書坑儒 15) 償 (상)갚다,배상 : 償還, 償金 15) 優 (우)뛰어나다 : 優待, 優劣 |
2-4,[10]
 (인) 어진사람 |
자원 : {象形字} '人'과 동일한 변형 글자이지만 다리부분을 강조한 모양인데, 보통 무릎꿇고 절하는 모양으로 설명해 '겸손하고 어진 마음' 등을 의미함. '人'자가 글자 아래{발}에 사용될 때만 쓰임. |
기초 한자 - 1800자 중 9자 2) 元 (원)으뜸,근본 : 元旦, 元亨利貞 3) 兄 (형)형 : 兄友弟恭, 難兄難弟 3) 充 (충)차다,채우다 : 充滿, 充足, 充分 4) 兆 (조)조짐, 조{수단위} : 徵兆, 億兆 4) 先 (선)먼저,앞서다 : 先公後私, 先親 |
4) 光 (광)빛 : 光復節, 光明, 光陰 5) 克 (극)이기다 : 克復, 克己復禮 5) 免 (면)면하다,벋다: 免責, 免疫, 免許 3) 兒 (아)아이 : 兒女子, 幼兒, 兒童
◈ 신교육용한자에서 제외된 한자 ▽6) 兎 (토) 토끼 : 守株待兎, 兎死狗烹 |
2-5,[11]
 (입) 들어가다 |
자원 : {指事字} 화살표와 같은 두 부호를 합해 어던 물체 속으로 들어감을 나타낸 글자로, '들어가다', '넣다', '수입' 등의 의미가 생김. {象形字} 하나의 줄기에 뿌리가 갈라져 땅 속으로 뻗어 들어가는 모양을 본뜬 글자인데, 혹 사람이 들어가는 모양으로도 설명함. 주로 '들어가다, 빠지다' 등의 의미로 사용됨. |
기초 한자 - 1800자 중 4자 0) 入 (입)들어가다 : 入門, 單刀直入 2) 內 (내)안 : 內閣,內憂外患.納(납)통용 |
4) 全 (전)온전,온통 : 全人, 全智全能 6) 兩 (량)둘,짝,냥 : 兩極, 一擧兩得 |
2-6,[12]
 (팔) 여덟 |
자원 : {指事字} 서로 등지고 있는 상태를 표시해 '분별하다'는 의미를 생성했는데, 역(易)에서 소음(少陰)의 수(數)인 음수(음수: 짝수)의 완성으로 설정해 '二(이)'의 네 배를 의미하는 '여덟'의 뜻을 도출함. {象形字} 사물이 둘로 나뉘어서 서로 등지고 있는 모양이고, 둘로 나누어지는 기본 숫자 가운데 가장 많이 나뉘는 수인 '여덟'을 뜻하게 됨. 주로 '다양하다'는 의미의 개념으로 사용됨. 부수 위치는 {머리}와 {발}에 모두 사용됨. |
기초 한자 - 1800자 중 10자 0) 八 (팔) 여덟 : 八字, 八方美人 2) 公 (공)공변되다, 공 : 公平無私, 公爵 2) 兮 (혜)어조사 : 力拔山兮氣盖世 2) 六 (륙)여섯 : 六旬, 六十甲子 4) 共 (공)함께,향하다 : 共産, 共和 |
5) 兵 (병)군사,무기 : 兵卒, 孫子兵法 6) 其 (기)그 : 其爭也君子 6) 具 (구)갖추다 : 家具, 具備 6) 典 (전)법,책, 벼슬: 典範, 經典, 古典 8) 兼 (겸)겸하다,쌓다 : 兼用, 兼愛說 | |
첫댓글 우천님 이 많은 자료를 어디서 사오셨어요? 아휴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