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조사방법론 - 제 2장 Ⅰ,Ⅱ 요약
12416019 오승은
Ⅰ. 지리・지형・경관적 특성
1. 해발고도 : 해발고도는 고도계를 이용하여 기록한다. 삼각점이나 해안 등을 통과할 때 고도계를 보정한다.
2. 경사의 방위와 각도 : 조사 장소의 경사에 대한 방향과 각도는 식물 군락의 일조조건이나 풍향, 토양의 습도 등과 관계된다. 그러므로 경사의 방위와 각도는 경사계를 이용하여 반드시 기록하여야 한다.
3. 지형과 토양 : 조사구의 지형상의 위치나 특징을 기록해야 한다. 이때에는 사면의 위쪽(약자로 US), 중간(MS), 아래쪽(LS), 혹은 산등성이(R) 등을 약자로 기록한다.
4. 경관적 특성 : 조사장소의 경관적 특성은 그곳에서 서식하는 생물의 특성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경관적 특성은 항공사진, 지도, 야외조사, 문헌조사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Ⅱ. 대기환경
1. 개요 : 기후, 계절, 기상은 육상, 수중 생물체들의 분포, 구조 및 기능에 영향을 준다. 생물체가 생식을 하고 성장을 하며 모든 기능은 발휘하기 위해서는 이들이 서식하고 있는 환경과 조화된 상관관계를 유지하여야 한다. 식생의 분포나 토양의 조건 등 육상 환경요인을 분석하는데 대기환경의 조사는 반드시 필요하다.
2. 기온 : 기온은 대기의 온도로 대기와 온도계가 평형이 될 때의 온도이다. 기온은 보통 섭씨(Celsius ℃)와 화씨(Fahrenheit ℉)로 표시된다.
1) 봉상온도계 : 지표면 기온 측정에는 흔히 봉상온도계가 사용된다. 온도계를 사용하여 기온을 잴 경우에는 통풍이 잘 되는 곳에서 직사광선을 피해서 측정한다. 봉상온도계를 표준 눈금에 맞추어 눈금교정을 하여야 하고 봉상온도계를 읽을 때는 눈금의 위치와 눈의 높이를 수평으로 하여 읽는다.
2) 열전대 : 열전대는 열팽창률이 다른 두 금속선을 접합시킨 것으로 온도에 따라 접점의 기전력이 다르게 발행하고 이를 증폭시켜 온도로 전환시킨 것이다.
3. 강수량 : 강수량은 빗물과 눈이 땅위에 떨어지는 양을 물의 깊이로 나타낸 것이다. 강수량은 우량계로 측정되는데 이건은 지름 20cm의 깔때기와 저수병을 높이 60cm의 원통관 속에 넣어 잔디밭에 묻도록 고안되어 있다.
4. 습도 : 습도는 대기 중에 수증기 상태로 존재하는 수분의 양을 나타내는 수치이다. 습도의 표시 방법에는 상대습도, 절대습도, 포차, 노점습도, 비습로점, 혼합비가 있다.
1) 상대습도(relative humidity, Hr) : 상대습도는 동일한 온도와 압력에서 공기가 수증기로 포화되었을 때의 절대 습도에 대한 실제습도의 백분율이다.
2) 절대습도(absolute humidity, Ha) : 절대습도는 일정부피의 공기가 들어있는 수분의 양을 부피 1㎥의 공기 속에 포함되어 있는 수증기량을 g단위로 나타낸 값이다.
3) 이슬점온도(dew point) : 수증기를 포함한 대기의 기압과 수증기량을 변화시키지 않고 기온을 떨어뜨릴 경우 수증기가 포화에 달할 때의 온도를 말한다.
5. 바람 : 바람은 지표면에 대한 공기의 상대적인 움직임이다. 바람은 벡터량이므로 보통 풍향과 풍속의 두 가지 양으로 나타낸다. 바람은 지형의 영향을 크게 받기 때문에 현장에서 직접 측정하는 것이 좋다.
6. 빛 : 빛은 가시파장에 속하는 전자기파방사로 단파장인 보라색과 장파장인 붉은색까지의 범위이다. 생태적으로 중요한 것은 햇빛, 즉 자연방사이다.
1) 직달일사, 전천일사
① 직달일사 : 직달일사는 산란이나 반사광 없이 지표면에 도달하는 광을 의미한다. 직달일사량은 수광면(受光面)이 항상 태양광선에 수직하도록 설치한 직달일사계(pyrheliometer)로 측정한다.
② 전천일사 : 수평면일사라고도 불리는 전천일사의 관측은 수평하게 놓인 수광면(受光面)이 받는 태양광선과 전체 하늘의 산관랑을 관측하는 것으로 가장 많이 이용되는 일사량이다.
2) 빛의 강도 : 빛의 강도는 단위 면적당 단위시간에 통과하는 에너지량, 곧 방사속밀도(radiant flux density)로 나타내며, radiometer로 측정한다.
3) 태양의 방사량 : 태양의 방사량은 어느 시각이나 몇 시간 또는 1일간의 측정값을 이용한다.
7. 기후도
1) Climograph : Climograph는 조사대상지역의 기상 측정 자료를 이용하여 기후의 특성을 한눈에 분석할 수 있도록 만든 기후도이다.
2) 기후도 : 기후도를 작성하려면 기상청의 기후자료를 이용하여 대상지역의 연평균기온과 강수량, 월평균기온과 강수량, 각 달의 일평균기온교차를 계산한다.
생태조사방법론 - 제 2장 Ⅰ,Ⅱ 요약.hw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