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공업고등학교 화공과 총 동문회 체육대회
2016년 10월 03일은 부천공업고등학교 화공과 총 동문회 체육대회 날이다. 해마다 열리는 체육대회인데 2010년부터 부천공고에 재직했던 화공과 교사들도 초빙되어 같이 체육대회 축제에 참석하고 있다.
올해는 9월 25일 초대장을 받았고 9월 28일 연락을 받았으며 10월 2일에는 우천시에도 체육대회를 진행한다는 연락을 받고 참석하기로 결정했다. 10시 30분까지 오라는 연락을 받고 집에서 9시 40분에 출발하고 버스 정류장에서 버스를 기다리는데 어떤 할아버지가 12-1번 버스 노선을 알려달라고 하여 자세히 설명하는데 19번 버스가 지나간다. 그러나 이야기하다가 중간에 버스를 탈수없어 계속 자세히 타는 것을 설명한 후 버스를 기다리니 버스가 오지 않는다. 시간이 부족할것 같아 19번버스와 12-1번 버스가 같이 지나가는 현대백화점 옆 정류장으로 이동하여 19번 버스가 늦어지면 12-1번 버스를 타려고 기다리니 19번 버스가 바로 와 승차하였다. 이때 시간이 10시 05분이다. 버스는 천천히 갔고 내리는 사람도 별로 없고 새로 타는 사람들도 별로 없어 기다리지 않고 버스는 바로바로 출발하여 성주초등학교 정문 앞에 10시 23분에 도착하였다. 바로 부천공고 교장실로 향하여 10시 27분에 도착하였다.
도착하여 보니 김문환 부천공고 교장선생님, 임무수교장선생님, 김현동교장선생님이 와 계셨다. 그리고 바로 구연창선생님, 이은부선생님이 오시고 다음에 김무경교장선생님, 이선용교장선생님, 임중환교장선생님, 박광식교장선생님, 이훈세 선생님 등 화공과 선후배선생님이 꼭 10명 모이셨다. 차를 마시며 이야기를 하고 11시 정각에 동문 체육대회를 개최하였다. 개회식을 마치고 운동장 뒤쪽에 차려놓은 음식을 먹으며 제자들과 함게 담소를 나누고 기념사진도 찍고 13시 30분에 자리를 마쳤다. 동문들은 계속 체육대회를 이어가고 우리 선생님들은 집으로 귀가하였다. 처음 교장실에 도착하여 교장선생님 책상에 앞에 놓여있는 2016년(지방경진대회에서 부천공고가 우승하였다.) 전국 지방 기능경진대회에서 은탑 산업훈장을 받았기에 은탑산업훈장 트로피를 교장선생님과 함께 있는 장면을 찍으려하니 계속 사양하였으나 고집을 부려 기념사진을 촬영하였다. 집으로 돌아오기 전 부천공고 실과부장님이신 안항일 부장에게 은탑 산업훈장 트로피를 들게 하고 사진을 찍었다.
부천공고 화공과에서 2개 종목에 출전하여 금메달 1개와 동메달 1개를 수상하는 영광을 얻어 더욱 뜻깊은 화공과 총동문회 체육대회가 되었다. 수고하신 김문환교장선생님과 부천공고 화공과 선생님들 그리고 시간을 내주신 선후배 선생님들에게도 감사드립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13F044D57F1F2D235)
전국 기능경진대회 은탑산업훈장 트로피
![](https://t1.daumcdn.net/cfile/cafe/2640024D57F1F2D334)
전국 기능경진대회 은탑산업훈장 트로피
![](https://t1.daumcdn.net/cfile/cafe/246E204D57F1F2D508)
전국 기능경진대회 은탑산업훈장 트로피(김문환교장선생님)
![](https://t1.daumcdn.net/cfile/cafe/2173664D57F1F2D703)
전국 기능경진대회 은탑산업훈장 트로피(김문환교장선생님)
![](https://t1.daumcdn.net/cfile/cafe/276AC44D57F1F2D90B)
전국 기능경진대회 은탑산업훈장 트로피(안항일 실과부장선생님)
![](https://t1.daumcdn.net/cfile/cafe/2672334D57F1F2DB04)
전국 기능경진대회 은탑산업훈장 트로피(안항일 실과부장선생님)
첫댓글 아 은탑 산업훈장 을 부천공고가 획득 했네요.
축하 축하 드립니다.
부천공고 대단합니다.
많이 발전 했습니다.
예, 부천공고 생긴 이래 은탑은 처음입니다.
옛날에 동탑산업훈장을 받았었는데 이번에 정말 큰 경사를 맞았어요.
금탑은 서울 한양고등학교에서 받았는데 이번에 한양고등학교에서 주최하고
그 학교에서 시험을 본 것이니 아무래도 어드벤티지가 있었겠지요.
자기 학교에서 시험보는것보다 타학교에서 시험보는 것이 낮설은 것은 당연한 이치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