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이프를 붙히고 지우개에 축방향 압축을 하게 되면, 지우개 축의 직각
방향으로 팽창하게 됩니다(포아송비로). 지우개의 팽창은 테이프의 인장
을 초래합니다.
테이프가 늘어나면서 발생되는 인장력의 합력이 지우개 축의 직각방향으
로 압축력을 가하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지우개는 3축압력상태(마치 수
압처럼)가 됩니다. 지구상의 모든 고체 물질은 3축압력상태가 되면, 강
도 및 연성능력이 원래 능력보다 커지게 됩니다. 모든 방향으로 꽉 눌러
주니까 터져 나갈 곳이 없게 되는 거죠. 따라서, 더 늘어날 수 있는 능
력이 생깁니다. 이 걸 confinement 효과라 합니다.
이 것은 철근콘크리트에서의 confinement 효과와 동일한 것입니다.(책
한번 찾아 보세요)
철근 콘크리트 기둥이나 보에서 횡보강근(stirrup) 쓰는 것 아시죠?
이 횡보강근의 필요성은 보통 전단보강이나, 주철근의 횡좌굴 방지등이
라고 말하지만, 그와 함께 매우 중요한 것이 바로 콘크리트에 대한
confinement입니다. 철근콘크리트 기둥에 스터럽을 매우 촘촘히 하면(특
히 나선철근으로 촘촘히) 기둥의 강도와 연성능력이 매우 증가합니다.
이 연성능력은 내진 설계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지진 다발
지역에서는 아파트 전단벽의 단부나 기둥에 반드시 요구되는 사항입니
다. 연성 능력을 위해 기둥과 전단벽 단부에 스터럽을 매우 촘촘히 감
죠. 하지만, 우리나라는 아직 내진설계를 잘하지 않아서 이런걸 별로 안
합니다.
카페 게시글
[구조역학]
[답변]
Re:그게 confinement effect란 겁니다.
오재은
추천 0
조회 331
01.09.30 02:22
댓글 0
다음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