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시냇가에 심은 나무 : 재민 재혁 원문보기 글쓴이: 시냇물
김응교(金應敎)
1962년 서울 출생, 시인, 문학평론가 1991년 「풍자시,약자의 리얼리즘」을 『실천문학』에 발표, 평론 활동도 시작했다. 1998년 와세다대학 객원조교수(한국학)로 일하기 시작하여, 2005년 와세다대학 문학부 객원교수(전임)로 있었고, 2009년 2월, 10년 동안 와세다대학 강의를 마치고 13년만에 귀국하고, 전업으로 글을 쓰고 있다. 현재 숙명여대 국문과, 한양대 국문과 대학원, 숭실대 문예창작학과, 평택대 국문과, 연세대 국제학부에서 강의하고 있다.
『박두진의 상상력 연구』(박이정, 2004) 『시인 신동엽』(현암사, 2005) 『韓国現代詩の魅惑』(東京:新幹社、2007) 편저 『치마저고리 - 재일조선인<종소리> 시인회 대표시선집』(화남출판, 2008)
창작, 문예저서 시집 『씨앗/통조림』(하늘연못, 1999)
번역서 윤건차 사상집『고착된 사상의 현대사』(창비, 2009. 박진우 외 공역) 엘던 라드 『부활을 믿는 사람들』(나눔사, 1990), 일본어로 번역한 高銀『いま、君に詩が来たのか: 高銀詩選集』(사가와 아키 공역, 東京;藤原書店、2007)
학회활동 민족문학사학회 해외이사 집행위원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해외이사 국제한인문학회 연구이사 세계한국어문학회 섭외이사 신동엽 학회 총무이사
출판사 언론사에서 원고료 보내실 곳 ( 계좌번호 : 김응교 우리은행 126-054495-12-001)
-----------------------------------------------------
1. 시기는 역순으로, 연재물과 단행본은 고딕으로 표시합니다. 3. 시 발표작은 푸른 색으로 표기합니다. 4. 저서는 적색으로 표기합니다.
2009 귀국. 숙명여대 [현대시의 매력], 한양대 [모더니즘과 포스트 모더니즘] 강의 2월 13일 국제학술대회 발표 「일제말, 조선인이 쓴 일본어 '국민시'의 탄생과 소멸」 학술대회 : 경계, 기원 그리고 재현의 정치 주최 : Columbia University, 일본조선어학회,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BK21 http://www.sanghur.org/bbs/zboard.php?id=notice&no=180
2월 27일 번역서 다니카와 슌타로『이십억 광년의 고독』(문학과지성사, 2009)
2월 28일 논문「원본실증주의와 주변인 문학」, 『한국어와 문화』, 제5집,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103~140면. ISBN 1976-0582 4월 30일「1980년대 자이니치 시인 - 종추월, 최화국, 김학렬을 중심으로」,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통권39호, 229∼257면. ISBN 1227-0962 6월 30일「일제말 조선인이 쓴 일본어시의 전개과정」, 『현대문학의 연구』38호, 한국문학연구학회, 179∼212면. ISBN 1299-9030 6월 30일「일본에서의 윤동주 연구」,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한국문학이론과 비평』,제43집(13권2호) 37∼72면. ISBN 1589-3501 7월 10일 국제학술대회 발표 「백석과 일본」학술대회 : 20세기 동아시아 공간과 매체 주최 : 한국 연세대학, 일본 와세다대학, 중국 연변대학 공동주최 국제학술대회 7월 17일 번역서 동시 출판 윤건차 사상집『고착된 사상의 현대사』(창비, 2009. 박진우 외 공역)
출판예정도서 『너무도 체험적인 일본박물지』, 2009년 하반기 발간 예정. 제2시집『위대한 순간』, 번역서 재일사상가 윤건차 『겨울숲』,화남출판사 간행 예정. 재일소설가 양석일 소설『어둠의 아이들』, 평론집 『아시아적 신체』 다니카와 슌타로 시집『여자에게』, 그림책『1학년생』
불암산 바위는 천년 의연합니다....올해 2월 연세대 [일제말 조선인의 일본어시]를 발표하고, 6월 19일(금) 서강대 한국문학이론비평학회 학술대회에서 사회 봤습니다. 7월초 15일까지 도쿄에서 지내면서, 11일(토)에 와세다대학 [백석과 일본] 발표, 8월 13-15일 백담사 시인대회에서 통역 사회 보고,10월 16일 임화학술대회 [임화 시와 일본 나프의 프로시 비교], 23일 신동엽 40주기 학술대회 [신동엽 첫시집'아사녀']를 발표, 29일 부산대학에서 토론, 30일 부산작가회의 [일본에서의 윤동주 연구] 발표, 11월 7일 숙대에서 토론, 12월 12일 근대문학회에서 [재일 디아스포라] 발표, 19일 민족문학연구소 북한 시문학 토론합니다. 휴
2008 와세다대학 오픈교육센터 객원교수 2008년 1월 15일 시「명지바람-우에노5」, 「그런 사람-우에노6」, 계간『해외문학』, 해외문학사, 83~85면. 2008년 1월 21일 일본어 한국문화평론「食・食べ物・文化コンテンツ」『ワセダアジアレビュー』3호. 早稲田大学アジア研究機構、86-89면. 2008년 1월 25일 일본어 학술논문「韓国反体制文学の系譜:1945年解放後、韓国現代詩の場合」『韓国語教育論講座』.東京:くるしお出版、 143-173면. 2008년 2월 15일 봄호. 평론「TV문화콘텐츠, 다니카와 슌타로의 시 창작법」, 계간『시평』, 시평사, 50~57면. http://www.bookdaily.co.kr/ArticleShellView.asp?scode=FED&article_id=200802270009 2008년 2월 21일 편저『치마저고리 - 재일조선인 <종소리> 시선집』화남출판사. 1~254면. http://news.media.daum.net/culture/book/200802/26/yonhap/v20111868.html http://photo.media.daum.net/group1/general/200802/22/newsis/v20075180.html http://www.hani.co.kr/arti/culture/book/271457.html http://photo.media.daum.net/group1/general/200802/22/newsis/v20075178.html 2008년 2월 28일 학술논문「한국'흥부전'과 일본'혀 잘린 참새' 그리고 문화교육」, 『인문과학』제14집, 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03~134면. 2008년 2월 29일 학술논문「재일조선인 조선어 시전문지 <종소리>연구」, 『현대문학의 연구』34, 한국문학연구학회, 237~276면. ISBN 1299-9030 2008년 3월 1일 문화평론「오타쿠 천국의 비밀」, 계간『시와 문화』, 시와문화사, 156~168면. 2008년 4월 4일 논문 발표「폭력의 기억, 오키나와 문학」, 『기억과 상흔을 넘어 평화를 향해』, 제주 4.3 60주년 국제문학심포지엄 자료집, 75~101면. http://www.jemin.com/news/articleView.html?idxno=199051 2008년 5월 28일 神奈川大学人文学研究所主催の講演会 日時:2008年5月28日(水) 午後6:00 - 8:00 2008년 8월 2일 국제학술대회 발표 : 한국 [아기장수설화]와 일본[잇순보시] 비교 제3회 경희대 GK대학특성화 사업단 국제학술대회『한국어교육과 한국문화연구의 현재와 미래』 2008년 8월 30일 : 리얼리스트 100인 주최 강연 : 리얼리즘을 위한 일본 문화, 오키나와 문학의 가능성과 상생 2008년 9월 22일- 27일 캐나다 토론토 요크대학 [일제식민지 파시즘 시기, 조선인의 일본어 문학] 발표. http://www.yorku.ca/ycar/Publications/Culture_Korea_2008.html 위 사이트 맨 위의 글을 클릭하면 영문 발표문이 있습니다. 2008년 10월 25일 부산작가회의 주최 국제학술대회 [재일 디아스포라 문학] 발표 http://bswriters.nasol.net/bbs/data/notice/%B3%BB%C1%F6.jpg http://bswriters.nasol.net/bbs/zboard.php?id=campaign&no=246
2008년 11월 8일 숙명여대 국제한국문학회 발표[원전실증주의와 주변인 문학 - 일본에서의 한국문학 연구] 2008년 11월 30일 학술논문「폭력의 기억, 오키나와 문학 - 오에 겐자브로. 하이타니 겐지로. 매도루마 슌」,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외국문학연구』32호, 51~77면. 2008년 12월 30일 학술논문「재일 디아스포라 시문학 계보, 1945-1979」, 『인문과학연구』, 영남대학교 인문과학 연구소. 2008년 12월 30일 학술논문「한국'아기장수설화'와 일본'잇순보시' 그리고 문화교육」, 『열상고전연구』, 열상고전연구학회.
2007 와세다대학 오픈교육센터 객원교수 2007년 2월 28일 저서『이찬과 한국근대문학』,소명출판. 1~315면. 2007년 5월 30일 시「교향곡」「사시미」「지팡이」, 계간『시경』, 박이정출판사 P141-145 2007년 6월 1일 시「성냥」「幻」 , 계간『불교문학』여름호, 불교문학 P100-101 2007년 6월 1일 시「장미」「한때 그는」, 계간『문예연구』여름호, 문예연구 P276-280 2007년 6월 1일 평론「쑥갓 줄기의 힘, 강형철論」계간『시에』도서출판 시에. 110-125면. 2007년 6월 30일 문화평론「한일쿨투라 감상법」, 계간지 『쿨투라』여름호, 도서출판 작가. 120-125면. 2007년 6월 1일 시「시인은」「幻」, 계간『창작21』, 도서출판 들꽃. P88-89 2007년 7월 20일 시「야생마」, 정호승 외『사랑은 시가 되었다』, 도서출판 작가 P214-215 2007년 6월 1일 시「한때 나는」「진주」, 계간『시와 문화』, 시와문화사 P136-138 2007년 8월 4일 국제학술대회 발표「한국 ‘흥부전’과 ‘일본 혀 잘린 참새’ 그리고 문화교육」, 제2회 경희대 GK대학특성화 사업단 국제학술대회『한국어교육과 한국문화연구의 현재와 미래』 2007년 11월 30일 단독저서『韓国現代詩の魅惑』東京:新幹社. 1~303면. 2007년 12월 시「출세하라 새야」「쑈쑈쑈」, 계간 『시평』 2007년 겨울호 시평사 P39-41 2007년 12월 20일 평론「가네시로 가즈키의 성장소설『GO』」, 계간지 『청소년문학』겨울호, 도서출판 나라말, 36-43면.
2006 와세다대학 문학부 객원교수, 2007년도 <연세대근대학총서 출판지원> 결정 2006년 3월 1일 시「어떤 경전」,「대」 , 계간『불교문예』봄호. 불교문예. P85-86 2006년 5월 15일 시「트렁크」, 계간『시평』여름호. 시평. P106-107 2006년 5월 학술논문「히라야마 야키치, 신동엽과 회상의 시학」,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 소명. 266-293면. ISBN 1227-0962 2006년 6월 시「저」, 「위장」, 웹진 『문장』, 2006년 6월호 2006년 6월 문화평론「근대의 첫장, 풍속화 우키요에」,계간『쿨투라』여름호, 도서출판 작가. 128-135면. 2006년 9월 1일 시「걸레」「성냥」「반딧불이」, 계간『작가』가을호.작가 P114-118 2006년 9월 문화평론「자포니즘과 한류 - 우키요에(2회)」, 계간『쿨투라』가을호, 도서출판 작가. 151-157면. 2006년 12월호 문화평론「곡선미, 비애와 백색의 미 - 조선의 미와 야나기 무네요시(1)」,계간『쿨투라』, 작가. 122-129면.
2005 와세다대학 문학부 객원교수, 2005년도 <대산문화재단 외국문학번역 기금> 수혜, 2005년도 <한국국제교류재단 한국학 출판기금> 수혜
ISBN 1227-0962 2005년 4월 평론「미우라 아야코의 『빙점』과 번역」,월간『문학사상』, 문학사상사. 2005년 5월호, 산문「머나먼 여행」, 월간『행복한 동행』,도서출판 좋은 생각 2005년 6월 평론 「아나키스트, 자유정신 오스기 사카에」『오스기 사카에 자서전』, 실천문학사. 2005년 6월 1일 시「聖 지린내」「야쿠자 데이」「무료이발소」, 계간『황해문화』여름호.서해문화재단 P134-136. 2005년 8월 16일 시「위대한 반복」「곽」「독특한 책」, 계간『문학동네』가을호.문학동네 P 280-284 2005년 8월 22일 시「세뇌공장」, 『한국평화문학』제2호. 도서출판 화남 P156-157 2005년 10월 30일, 일본어 논문「一九二三年九月一日,関東大震災と朝鮮文学」、季刊誌『環』,東京:藤原書店 170-177면 2005년 12월 1일 시「햇살춘향전」「세탁기」,계간『시와 사람』겨울호. 시와사람. P144-146 2005년 12월 단행본 저서『신동엽』현암사. 1-224면.
2004 2004년 4월 28일 연구서 『박두진의 상상력 연구』(도서출판 박이정) 2004년 11월 30일 평론「일본 속의 마이노리티, 재일조선 시」, 계간『시작』겨울호. 천년의시작 ISBN 1299-9030 2004년 12월 겨울호 시「자작나무」「우체통」, 계간『작가』겨울호. 작가 P168-170.
2003
2002
2002.7월호. 보고「도쿄에서 만나는 한국 작가의 영혼」『문학사상』,문학사상사
2002.6 논문 「김사량 『빛 속으로』의 세 가지 풍속 : 도쿄와 한국작가(2)」,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제20호. 한국문교부 인정학술지, 서울:소명출판, 2002.6. ISBN 1227-0962 2002.5. 시론집 『사회적 상상력과 한국시』, 소명출판. 2002.3. 日本語論文,「解釋または口碑的想像力-1980年代の韓國現代詩:韓國現代詩人(3)」『語硏フォ-ラム』、早稻田大學語學敎育硏究所. 2002.4월호. 보고「도쿄에서의 한국문학 연구」『문학사상』,문학사상사
2001
2000
1999
1999.12.25 시집 『씨앗 / 통조림』, 하늘연못.
1998 Korea Foundation, Research Fellowship 수혜,
1997 : 도쿄대학 비교문학 비교문화 객원연구원 미리 보냈던 아래 글 이외에 1년간 아무 글도 쓸 수 없었다. http://cafe.daum.net/kcomrade ) 1997, 논문 「박두진의 빛의 상상력」『延世語文學』, 연세대학교대학원 국어국문학과
1996 : 도쿄외국어대학 유학
1995 : 연세대학 국문과 박사과정
1994 : 연세대학 국문과 박사과정
1994 평론(발문)「소년의 눈을 통해 본 예수시대-알베르트 하우제 <꼬마의 예수>에 부쳐」, 알베르트 하우제 장편소설(백도기 번역)『꼬마의 예수』, 나눔사. 1994.4.10 인물전 『시인 신동엽』, 사계절.
1993 1993. 여름호. 발문 「희망에서 욕망까지 - 허수정 장편소설 <바늘귀에 갇힌 낙타>에 부쳐」, 허수정 장편소설, 『바늘귀에 갇힌 낙타』 , 시와 사회사.
1993.3 장편실명소설 『조국』, 풀빛 1993.2 동인지 제3시집 『어디 핀 들 꽃이 아니랴』, 도서출판 당그레.
1992
1991
1990
1989 : 군대 입대(1988.9.5-1990.2.11), 군번 92052139 경기도 송추 12사단 전투지원중대
백민 지음, 『문학이야기』, 현장문학사 1988 연세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석사과정 졸업
1987~1986
1985 연세대학교 신학대학 2월 졸업, 9월에 연세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입학
1984 연세대학교 신학과 3학년 연세대학교 신문『연세춘추』와 계간 교지『연세』에 시 몇 번 발표.
『산책』(散策 : Green Walk) (2001)
Stress Free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