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식은 들어왔다 나가면 이문을 주지만 돈은 들어왔다 나가면 손해만 준다:곡식은 한 번 들어오면 먹을 것이 생기지만, 돈은 들어왔다 나가면 쓰게 되므로 손해를 본다는 뜻.
곡우가 넘어야 조기가 운다:산란 직전의 조기를 곡우철 조기․곡우살 조기․오사리 조기라 하여 일품으로 치듯이, 조기는 곡우가 지나서 잡는 것이 좋다는 뜻.
곡우날 비가 아니 오면 논이 석 자가 갈라진다:⇒백로에 비가 오면 흉년이 든다.
곡우에 가물면 땅이 석 자가 마른다:⇒백로에 비가 오면 흉년이 든다.
곡우에 가물면 흉년 든다:⇒백로에 비가 오면 흉년이 든다.
곡우에 눈이 오면 풍년이 든다:⇒곡우에 비가 오면 풍년 든다.
곡우에는 못자리를 해야 한다:재래종 벼는 신품종보다 약 20일 정도 늦게 못자리를 하기 때문에 곡우인 4월 20일경에는 못자리를 해야 한다는 뜻. 곡우 전에 씨나락을 담가야 수확이 많다.
곡우에 비가 오면 풍년든다:곡우에 비가 오면 재래종 벼는 신품종보다 약 20일 정도 늦게 못자리를 하였기 때문에 못자리 물로 적기이기 때문에 풍년이 들게 된다는 뜻. 가을 안개는 쌀 안개다. 가을 안개는 천 석을 보태준다. 가을 안개에는 풍년 든다. 강남 갔던 제비가 빨리 돌아오면 풍년 든다. 개울에 고기가 많은 해는 풍년이 든다. 곡우에 눈이 오면 풍년이 든다. 금잔디 때 수근(水根)이 터지도록 비가 오면 풍년 든다. 나뭇잎이 고르게 피면 풍년 든다. 낙종하고 곡우물 먹으면 풍년 든다. 닭이 닭장에 늦게 오르면 풍년 든다. 당산나뭇잎이 한꺼번에 피면 시절이 좋다. 대보름달은 맑아야 풍년이 든다. 대보름달이 남쪽으로 기울면 해안 지방이 풍년 들고 북쪽으로 기울면 산골이 풍년 든다. 대보름달이 뚜렷하고 누른 색이면 풍년이 든다. 대보름달이 인방에서 뜨면 평안도 황해도가 풍년 들고 진방에서 뜨면 강원도 함경도가 풍년 든다. 대추가 풍년 드는 해는 벼도 풍년 든다. 동지가 시월 상하순에 들면 풍년 든다. 동짓날 새벽에 닭이 열 번 이상 울면 풍년든다. 동짓날 자시에 천둥이(―을) 있으면(치면) 풍년든다. 동짓날이(―은) 추워야 풍년이 든다. 만드리 때 북소리가 멀어지면 풍년든다. 모가 모자라는 해는 풍년이 든다. 못자리를 파종한 다음날 콩밥을 못자리에 뿌리면 풍년든다. 못자리에 거미가 뜨면 풍년든다. 물난리가 난다고 해야 풍년이 든다. 반하가 잘 되는 해는 벼도 풍년이 든다. 밤이 흉년 들면 곡식은 풍년든다. 밤꽃 필 때 심은 모는 풍년든다. 배꽃이 두 번 피면 풍년든다. 번개가 잦으면 농사(벼―)가 풍년든다. 벼는 여름이 덥고 겨울이 추워야 풍년이 든다. 봄에 꽃이 일찍 피면 풍년든다. 봄에 논물이 저절로 괴면 풍년든다. 봄에는 남방 청제 장군을 가을에는 북방 장군을 제사 지내면 풍년이 든다. 봄비는 쌀비다. 빗물에 거품이 일면 풍년든다. 사년에는 풍년이 든다. 사람 모르게 눈이 오면 풍년든다. 사월 보름날 날씨가 좋으면 풍년든다. 사월 초파일에 비가 오면 풍년든다. 사월 초하룻날 아침부터 밤까지 남풍이 불면 풍년든다. 산열매가 많이 열리면 벼도 풍년든다. 산에 초목이 무성하면 풍년이 든다. 설은 질어야 풍년이고 보름은 맑아야 풍년이다. 섬게가 여물어야 시절이 좋다. 소나무 새순이 길게 자라면 풍년든다. 소서께 들판이 얼룩소가 되면 풍년이 든다. 소쩍새가 솥 적다 솥 적다 울어야 풍년이 든다. 소쩍새가 울면 풍년이 든다. 앵도 풍년 드는 해는 벼도 풍년든다. 여름은 무더워야 벼가 잘 자란다. 여름철에 번개가 잦으면 농사는 풍년든다. 오월 가뭄에는 풍년든다. 오월 단오에 비가 오면 풍년든다. 우수에는 비가 (많이) 와야 풍년든다. 월복하는 해 풍년든다. 유두 안에 들판이 얼룩소가 돼야 풍년이 든다. 유월 스무날 해 질 때 구름이 없이 맑아야 풍년든다. 유월 스무날 해 질 무렵에 구름 없이 맑으면 풍년든다. 유월 엿샛날 새벽 천둥에는 풍년이 든다. 유월 장마는 쌀 창고다. 유월이 공달이면 열매 농사가 잘 된다. 윤달 든 해는 노란 곡식이 풍년든다. 은행나무 잎이 아래서부터 고루 피면 풍년든다. 이월 스무날 마파람 불고 비오면 풍년든다. 이월 이십 일에 비가 오면 대풍이 든다. 이월 이십 일에는 구름만 껴도 풍년 든다. 이월 이십 일에는 솔개만 한 구름만 있어도 풍년든다. 이월 초하룻날 비가 오면 풍년든다. 이팝나무 꽃이 활짝 피면 풍년든다. 입추에 동풍이 불면 풍년든다. 입추에 비가 조금 오면 풍년이 든다. 입춘 일진에 갑자나 을자가 들면 풍년 진다. 입춘에 동풍이 불면 곡식이 천하다. 정월 대보름 달빛이 희면 흰 벼를 심고 붉으면 붉은 벼를 심어야 풍년든다. 정월 대보름날 달무리가 끼면 풍년든다. 정월 대보름날 여러 가지 볍씨를 같은 무게로 달아 종이에 싸서 중방에 매달았다가 다음날 저울로 달아 가장 무거운 볍씨로 못자리를 하면 풍년 든다. 정월 대보름달이 남쪽으로 기울면 해안 지방이 풍년 든다. 정월 대보름달이 누르면 대풍이 든다. 정월 대보름달이 북쪽으로 기울면 산골 지방에 풍년이 든다. 정월 대보름달이 인방(寅方)에서 뜨면 평안도 황해도가 풍년이 든다. 정월 대보름달이 진방에서 뜨면 강원도 함경도가 풍년든다. 정월 대보름달이 희면 풍년든다. 정월 보름은 맑아야 풍년이 든다. 정월 보름날 각종 씨앗을 소에게 주어 맨 먼저 먹는 씨앗을 심으면 풍년든다. 정월 보름날 아침에 각종 곡식으로 밥을 지어 한 숟가락씩 소 구유에 놓아서 소가 맨 먼저 먹는 곡식이 풍년든다. 정월 보름낭 아침에 소에게 밥과 나물을 주어 밥을 먼저 먹으면 풍년든다. 정월 보름날 우는 닭이 많으면 풍년 든다. 정월 상순 일진에 갑자일이 있으면 풍년든다. 정월 초사흗날 일진에 갑일이 있으면 대풍이 든다. 정월 초사흗날이나 초나흗날 일진에 신자가 들면 벼농사가 풍년든다. 정월 초여드레 곡일 날 날씨가 좋으면 풍년든다. 정월 초열흘 안에 고기 꿈을 꾸면 그 해 농사가 잘 된다. 정월 초이튿날 꿈에 고기를 보면 농사가 풍작든다. 정월 초이튿날 서남풍이 불면 곡식도 잘 영근다. 정월 초이틀 안에 서남풍이 불면 풍년 든다. 정월 초하루에서 초여드레 사이에 일진에 신자가 들면 비가 알맞게 와서 풍년이 든다. 정월 초하룻날 구름이 끼면 풍년든다(들 징조다). 정월 초하룻날 남풍이 불면 풍년든다. 정월 초하룻날 눈이 오면 풍년든다. 정월 초하룻날 새벽에 누른 구름이 오방에서 일면(뜨면) 풍년이 든다. 정월 초하룻날 아침에 까치가 울면 풍년 든다. 정월 초하룻날 일진에 묘자가 들면 풍년든다. 정월 초하룻날부터 초여드렛날 사이 일진에 신자가 들면 비가 알맞게 와서 백곡이 풍년든다. 정월 초하룻날은 눈이 와야 풍년이 들고 정월 보름날은 맑아야 풍년이 든다. 정월 초하룻날은 흐려야 풍년이 든다. 제비가 새끼를 많이 낳는(치는) 해는 풍면 든다(농사가 잘 된다). 제비가 집을 거칠게 지으면 풍년든다. 진달래 꽃잎이 여덟이면 풍년든다. 찔레꽃 필 때 모심으면 풍년든다. 찔레꽃 필 무렵에 오는 비는 풍년비다. 찔레꽃철 비는 풍년 비다. 처마 끝에 고드름이 많이 달리면 풍년든다. 첫날밤에 눈이 오면 잘 살고 동짓날 눈이 오면 풍년든다. 청명에 남풍이 불면 풍년든다. 초복날에서 상강날 까지 백 일이 넘으면 풍년이 든다. 초봄에 비가 많이(자주) 오면(와야) 풍년든다. 추사일에 비가 오면 풍년든다. 춘사일에 비가 오면 풍년든다. 풍년드는 겨울에는 눈이 많이 쌓인다. 풍년화가 많이 피면 풍년든다. 하지에 비가 오면 풍년이 든다. 흰 산새가 나타나면 큰 풍년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