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건수 27건 | 총 페이지수 1 / 3
번호 | 작물명 | 적용병해충 | 용도 | 상표명 | 품목 | 회사명 | 작용기작 |
---|---|---|---|---|---|---|---|
27 | 양파 | 잿빛곰팡이병 | 살균제 | 프로파티 | 플루아지남 수화제 | (주)경농 | 다5 |
26 | 양파 | 잿빛곰팡이병 | 살균제 | 에프원 | 플루디옥소닐.아이소페타미드 액상수화제 | (주)팜한농 | 마2+다2 |
25 | 양파 | 잿빛곰팡이병 | 살균제 | 션샤인 | 아족시스트로빈.플루디옥소닐 수화제 | 인바이오(주) | 다3+마2 |
24 | 양파 | 잿빛곰팡이병 | 살균제 | 프로파티 | 플루아지남 수화제 | ISK바이오사이언스 코리아(주) | 다5 |
23 | 양파 | 잿빛곰팡이병 | 살균제 | 코맨드 | 아족시스트로빈.플루아지남 액상수화제 | 에프엠씨코리아(주) | 다3+다5 |
22 | 양파 | 잿빛곰팡이병 | 살균제 | 차단 | 디페노코나졸.피리벤카브 액상수화제 | 한국삼공(주) | 사1+다3 |
21 | 양파 | 잿빛곰팡이병 | 살균제 | 후론골드 | 플루아지남 수화제 | 인바이오(주) | 다5 |
20 | 양파 | 잿빛곰팡이병 | 살균제 | 후론사이드 | 플루아지남 입상수화제 | (주)팜한농 | 다5 |
19 | 양파 | 잿빛곰팡이병 | 살균제 | 디펜솔 | 플루아지남 수화제 | 정수유통(주) | 다5 |
18 | 양파 | 잿빛곰팡이병 | 살균제 | 원티드 | 플루아지남 수화제 | (주)한얼싸이언스 | 다5 |
17 | 양파 | 잿빛곰팡이병 | 살균제 | 오피러스 | 플루아지남 입상수화제 | 미래아그로 | 다5 |
16 | 양파 | 잿빛곰팡이병 | 살균제 | 펜피라 | 펜피라자민 입상수화제 | 한국삼공(주) | 미분류 |
15 | 양파 | 잿빛곰팡이병 | 살균제 | 미리본 | 플룩사피록사드.피라클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 (주)팜한농 | 다2+다3 |
14 | 양파(저장) | 잿빛곰팡이병 | 살균제 | 크린캡 | 펜티오피라드 유제 | (주)경농 | 다2 |
13 | 양파 | 잿빛곰팡이병 | 살균제 | 탄프로 | 카벤다짐.클로로탈로닐 액상수화제 | 성보화학(주) | 나1+카 |
12 | 양파 | 잿빛곰팡이병 | 살균제 | 오피러스 | 플루아지남 입상수화제 | (주)태준아그로텍 | 다5 |
11 | 양파 | 잿빛곰팡이병 | 살균제 | 금모리 | 플루퀸코나졸.피리메타닐 액상수화제 | 한국삼공(주) | 사1+라1 |
10 | 양파 | 잿빛곰팡이병 | 살균제 | 스포르곤 | 프로클로라즈망가니즈 수화제 | 한국삼공(주) | 사1 |
9 | 양파 | 잿빛곰팡이병 | 살균제 | 미토스 | 피리메타닐 액상수화제 | 바이엘크롭사이언스(주) | 라1 |
8 | 양파 | 잿빛곰팡이병 | 살균제 | 차세대 | 카벤다짐.폴리옥신디 수화제 | (주)농협케미컬 | 나1+아4 |
7 | 양파 | 잿빛곰팡이병 | 살균제 | 모두랑 | 플루아지남 액상수화제 | (주)팜한농 | 다5 |
6 | 양파 | 잿빛곰팡이병 | 살균제 | 다스린 | 이프로디온.티오파네이트메틸 수화제 | (주)팜한농 | 마3+나1 |
5 | 양파 | 잿빛곰팡이병 | 살균제 | 후론사이드 | 플루아지남 수화제 | (주)팜한농 | 다5 |
4 | 양파 | 잿빛곰팡이병 | 살균제 | 깨끄탄 | 카벤다짐.디에토펜카브 수화제 | (주)동방아그로 | 나1+나2 |
3 | 양파 | 잿빛곰팡이병 | 살균제 | 금모아 | 펜헥사미드.프로클로라즈망가니즈 수화제 | 한국삼공(주) | 사3+사1 |
2 | 양파 | 잿빛곰팡이병 | 살균제 | 보트리사이드 | 펜피라자민 액상수화제 | (주)동방아그로 | 미분류 |
1 | 양파 | 잿빛곰팡이병 | 살균제 | 균마기골드 | 프로클로라즈코퍼클로라이드.테부코나졸 액상수화제 | 한국삼공(주) | 사1+사1 |
잿빛곰팡이병 (灰色黴病,Gray mold)
Botrytis cinerea
B. allii에 의한 병은 수확시기에 땅가부분의 노쇠엽에 다소 발생하며, 주된 피해는 저장 중에 발생한다.
수확 시 비가 오거나 비를 맞은 수확물이 저장 중 발생이 심하다.
B. cinerea는 양파재배 후기에 많이 발생하며,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병 중의 하나이다.
병원균은 병든 부위에서 균핵 혹은 분생포자의 형태로 겨울을 지나 전염원이 된다.
시설재배 시 기온이 20℃내외이고 습도가 높을 때 많이 발생하며, 노지재배 시는 여름철 장마기 때 주로 발생한다.
과실의 감염은 주로 꽃이 달린 부위에서부터 시작되므로 과실이 커지면서 꽃이 쉽사리 떨어지지 않는 품종에서 발생이 심하다.
2종의 Botrytis균에 의해서 발생되는데, B. cinerea에 의하여 나타나는 병징은 잎에 직경 1~2㎜ 정도의 불규칙한 회백색 병반이 형성되고, 진전되면 피해가 심한 아래잎부터 마르기 시작한다.
오래된 병반상에는 잿빛의 분생포자가 밀생한다.
B. allii에 의한 병징은 지제부의 아랫잎이 적갈색으로 변색되며 말라죽는다.
이 병은 생육기보다는 저장 중에 많이 발생하는데, 주로 주두 부분의 상처로 병원균이 침입하여 인경 전체가 갈색으로 부패되고, 병반 표면에는 잿빛의 분생포자가 밀생하는 것을 볼 수 있다.
- 병든 잔사물은 신속히 제거하고, 포장을 청결히 하여준다.
- 배수구를 정리하여 물빠짐을 좋게하고, 포장이 과습하지 않도록 관리한다.
- 피복이나 멀칭을 하여 병원균의 비산을 방지한다.
- 밀식을 피하고, 질소비료의 과잉이 되지 않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