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당대의 문화를 상징하는 아이콘
|
중국의 황제로부터 받은 선물
김부식은 1075년(문종 29년)에 태어나 1151년(의종 5년)에 세상을 마친 고려 중기의 유학자·역사가·정치가였다. 신라가 망할 무렵 그의 증조부인 위영(魏英)은 고려 태조에게 귀의해 경주지방의 행정을 담당하는 주장(州長)에 임명되었다. 그 뒤 김부식 4형제가 중앙관료로 진출할 때까지의 생활기반은 경주에 있었다.
그의 가문이 중앙정계에 진출하기 시작한 것은 아버지 근(覲) 때부터였으나 안타깝게도 그는 젊은 나이에 세상을 떴다. 그래서 김부식은 어려서부터 편모의 슬하에서 자랐다. 그럼에도 그를 포함한 4형제는 모두 문장에 뛰어나고 박학하여, 과거에 합격하고 중앙정계에서 벼슬을 하였다. 아버지는 아들들에게 분명한 소망이 있었다. 최고의 문장가로 입신양명하기를 바란 것이었다. 김부식의 동생이 김부철(金富轍), 이렇게 놓고 보면 송(宋) 나라의 문장가 집안 소순(蘇洵)이 그의 자식에게 붙인 이름 소식(蘇軾)과 소철(蘇轍)을 떠올리게 한다. 소식은 바로 송나라 최고문장가인 소동파(蘇東坡)이다.
김부식이 관계에 진출한 것은 그의 나이 스물두 살 때, 곧 1096년(숙종 1년)이었는데, 그로부터 20여 년 동안 주로 학문적인 자리에 있으면서 세상을 보는 눈의 폭과 깊이를 더해 나갔다. 이 같은 김부식의 학문이 빛을 낸 것은 1116년(예종 11년) 7월에 송나라에 사신으로 가서였다. 여섯 달 동안 머물며 송나라 휘종의 융숭한 대접을 받았고, 휘종은 이제 막 불혹의 나이에 들어선 패기에 찬 학자에게 사마광(司馬光)의 [자치통감(資治通鑑)] 한 질을 선물로 주었다. 김부식은 황홀했다. 황제로부터 선물을 받아서만이 아니라, 이 책에 버금갈 우리의 역사서를 써보리라는 결심이 섰기 때문이었다. 그것은 분명 그가 나중에 [삼국사기]를 편찬하는 중요한 계기였다. |
|
김부식은 송나라에 여섯 달 동안 머물며 송나라 휘종에게 [자치통감]을 선물로 받았다. 김부식은 이를 보며 [삼국사기]에 대한 집필 의지를 다졌을 것이다. |
묘청의 난을 물리치고
|
고려 인종 23년(1145년) 김부식 등에 의하여 찬진된 신라·고구려·백제 삼국에 관한 기전체의 정사인 삼국사기 옥산서원본
전 50권 가운데 권 29의 제1장 작삼국년표 갑자, 을축 부분 및 권 36의 제3장 임성군, 황산군, 비풍군 연혁 부분.
<출처 :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NIKH.DB-fl_001_002_001_0029)>
삼국사기를 편찬하다
|
정지상 때문에 살고 죽고
|
![]() |
![]() |
![]() |
---|---|---|
|
|
982년
최승로 시무 28조 건의 |
|
|
993년
서희 강동 6주 확보 |
|
|
997년
천추태후 목종 즉위, 천추태후 집권 |
|
1037년
토그릴 베그 셀주크투르크 건국 |
1018년
강감찬 귀주대첩 |
1077년
그레고리오 7세 카노사의 굴욕 |
1063년
왕안석 삼사조례사 설치, 개혁시작 |
1055년
최충 구재학당 설립 |
|
|
1126년
이자겸 이자겸의 난 |
1150년
힐데가르트 폰 빙엔 아이빙엔에 대수녀원 축성 |
|
1135년
묘청 서경 천도 운동 |
1152년
프리드리히 1세 신성로마제국 황제 즉위 |
|
1145년
김부식 [삼국사기] 완성 |
|
1175년
주희 [근사록] 편찬 |
1170년
정중부 무신정변 |
1189년
리처드 1세 제 3차 십자군 전쟁 |
1187년
살라딘 십자군전쟁에서 예루살렘 탈환 |
1196년
최충헌 고려 최씨 무신정권의 시작 |
1215년
존왕 마그나카르타 승인 |
1206년
칭기즈칸 몽골제국 수립 |
1198년
만적 만적의 난 |
1295년
에드워드 1세 모범의회 성립 |
1271년
원세조 쿠빌라이 원제국 수립 |
1274년
충렬왕 여.몽 연합군의 일본정벌 |
1299년
마르코 폴로 [동방견문록] 발간 |
1299년
오스만 1세 오스만제국 수립 |
1281년
일연 [삼국유사] 편찬 |
1304년
단테 알리기에리 [신곡] 집필 시작 |
1325년
이븐 바투타 이슬람 메카 성지순례 |
1371년
신돈 역모죄로 처형 |
해당인물이 포함된 시대의 부분 연표가 기본적으로 보이며, 전체보기를 누르시면 전 시대의 연표를 볼 수 있습니다.
붉은색 표시가 있는 인물을 클릭하면 해당 인물의 스토리를 만날 수 있습니다.
출처 - 네이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