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 이용료는 50만원 수준으로 사립요양원(서울시내 월 1백50만원,
경기도는 월 1백30만원) 보다 싸다. 3만명에 육박하는 치매노인 수와
비교하면 턱없이 부족하지만 일단 급한 불은 끌 전망이다.
◇ 시설 확충=서울시는 올해 안에 치매전문요양원 3개소와 주.단기
보호시설 1개소를 세운다. 수용인원은 3백여명. 우선 3월까지 관악구
봉천동과 동작구 상도동에 실비로 운영하는 전문요양원 2개가 들어서
고, 강원도 춘천시에 기초생활보장수급권자를 위한 무료 치매요양원
이 문을 연다.
서울시 노인복지과 김학문 팀장은 "월 이용료는 50만원 수준이고
나머지는 국비와 시비로 지원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내년에도 2개의
전문요양원과 2개의 주.단기보호시설을 추가로 건립한다.
그러나 러브호텔을 치매노인 보호시설로 바꾸려는 서울시 방침은
난항을 겪고 있다. 구로구청 관계자는 "구로동 주택가의 러브호텔
매입을 추진 중이지만 건물주가 부르는 가격이 예상보다 높아 문제"
라고 말했다.
인천시는 현재 운영중인 3개의 유.무료 치매요양시설 외에 올해
안에 2개의 치매요양원을 더 세울 계획이다. 오는 3월까지 서구 심곡
동에 96명을 수용하는 시립 유료 치매요양병원과 50인 규모의 무료
치매요양시설이 건립한다.
경기도는 30억원을 들여 내년에 수원과 안성에 2백명 수용 규모의
치매전문요양원을 세우고, 안양.이천.의정부.동두천시도 국비와 도비
90억원으로 3백50명을 수용할 수 있는 치매전문 요양원을 건립한다.
◇ 늘어나는 치매노인=서울시의 65세 이상 노인 인구 56만2천명
가운데 치매성 질환자는 2만8천여명에 달한다. 이중 12.8%인 3천5백
여명은 중증 치매를 앓고 있다.
그러나 서울시에는 장기간 입원할 수 있는 전문요양원 3개와 3개월
이하만 입원할 수 있는 주.단기보호시설 79개 뿐이다. 수용인원이
1천여명에 불과한 데다 우선수혜 대상자인 기초생활보장수급권자를
무료 수용하기에도 벅찬 형편이다.
A치매전문요양원측은 "대기자가 많아 빈 병실이 나려면 6개월 이상
기다려야 하고, 그것도 대부분 기존 입원자가 사망한 경우에나 가능
하다"고 밝혔다.
한편 서울 시내의 민간 유료시설 4개는 월평균 이용료가 1백50만원
을 넘어 대부분의 치매노인들이 가정에서 치료를 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