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여인이 말을 타고 전라도 일대를 한 달 여간 순회한 뒤 이런 글을 남겼습니다. "이번에 만난 여성 500명 이름이 있는 사람은 열 명뿐입니다. 1921년, 조선 여성들은 큰년이, 작은년이, 개똥어멈으로 불립니다. 이들에게 이름을 지어주고 글을 가르쳐 주는 것이 저의 가장 큰 기쁨입니다."
간호 선교사로 조선에 발을 내디딘 '엘리자베스 쉐핑'(1880년~1934년)의 기록입니다. 당시 조선의 상황은 가난이 이루 말할 수 없었고, 전염병으로 병자가 넘쳐나던 시절이었습니다.
그들에게서 눈과 마음을 뗄 수 없었던 그녀는 서양식 삶을 고수하던 여러 선교사와 달리 조선말을 익혀 '서서평'이라 이름 짓고, 한복을 입고 된장국을 먹으며 헐벗은 사람들 속으로 들어갔습니다.
그때, 선교사에게 주어진 하루 식비는 3원, 그러나 '서서평'은 10전으로 허기를 채우고 나머지는 어려운 사람들을 위해 썼습니다. 걸인들을 데려와 씻기고 옷을 사 입히는 가 하면, 환자가 버린 아이를 수양아들로 삼았습니다. 그렇게 데려다 키운 아이가 14명, 아이 낳지 못해 쫓겨나거나 오갈 데 없는 여인 38명도 거두어 보살폈습니다.
한번은 병원 앞에 버려진 아이를 어느 집에 맡겼는데 잘 키우겠다는 약속과 달리 술심부름을 시키는 것을 보고 그동안의 양육비를 주고 데려 오기도 했습니다.
'서서평'이 이일학교(한일장신대학교 전신)와 조선 간호부회(대한 간호협회 전신)를 세운 것도 이들의 자립을 돕기 위해서였습니다. 조선에서 이렇게 헌신하다 휴가를 받아 잠시 미국에 가 어머니를 만났을 때 고된 생활에 찌든 딸을 보고 "몰골이 부끄러우니 돌아가라!" 하며 매몰차게 외면했습니다.
강냉이 가루 2홉, 현금7전, 반쪽짜리 담요? '서서평'이 22년간의 선교사의 삶을 마치고 세상을 떠날 때 남긴 유품의 전부였습니다. 거적떼기를 덮고 자는 사람에게 그의 담요 반쪽을 찢어주고 남은 반쪽으로 가날픈 몸을 가린채 이 땅에서의 삶을 마쳤습니다.
그녀의 장례 행렬을 뒤따르던 천여명은 통곡하여 한 목소리로 외쳤습니다. "어머니... 어머니!!"
그로부터 80여년이 흐린 오늘까지도 '서서평'님이 묻힌 광주시 양림동 뒷동산에는 그의 참사랑과 헌신을 추억하는 발걸음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출처 :노아의 비둘기 원문보기▶ 글쓴이 : zebulun
CCM 가수 애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