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스트 나일론(PolyAmide-6)
통상 '나일론'이라 불려지는 폴리아미드 수지는 PA6, PA66, PA11, PA12 등으로 세분되며 각 종류 별 물성의 차이는 분자사슬의 조성 및 구조에 기인합니다. 당사의 캐스트 나일론 제품군은 분자 사슬의 조성면에서 일반 PA6와 동일하나 캐스팅 공법에서만 나타나는 고결정성, 고분자량 등의 특수한 분자구조로 인하여 고강도, 내크리프성, 내약품성, 칫수안정성, 내마모성, 내열성 등 기계 소재로서의 요구특성들이 탁월합니다.
MC901 - 청색
PA66와 유사한 물성을 지닙니다. 다만 고분 자량에 힙입어 내마모성이 3배정도 우수합니다.
MC907 - 상아색
MC901과 유사한 그레이드인 바, 안료를 사용치 않고 잔존 모노머 함량을 최소화하였으므로 식품 접촉部에 사용이 가능합니다.
MC908 - 청색
MC901에 가소제를 첨가하여 충격강도를 향상 시켰으며 강성보다는 내충격성이 필요한 부분에 쓰입니다.
MC801 - 회흑색
고체윤활제인 이유화 몰리브데늄(MOS₂)을 분산 시켜 최소화한 강도희생으로 마찰마모 특성을 향상시킨 제품입니다.
MC701 SL - 회색
왁스를 분산시켜 마찰마모 특성을 향상시킨 바, 특히 고부하 저속 습동부에 슬라이딩 패드등으로 사용하여 스틱-슬립현상을 방지합니다.
MC702 LFX - 황색
오일을 분산시켜 마찰 마모 특성을 향상시킨 바, 특히 저부하 고속 습동부에 부싱등으로 사용하여 무윤활 운전을 가능케 합니다.
MC501 CD - 검은색
도전성 충진재를 망상 구조로 분산시켜, 제전 소재로서 가장 적합한 10^6~10^8 Ω㎝의 체적 고유저항치를 부여한 소재인 바, 대전에 의한 스파크 현상이 절대 방지 되어야 하는 정밀 전자 제품 취급장치에 이상적인 재료입니다.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
PE에는 LDPE, LLDPE HDPE등이 있으나 HDPE 가 그중 가장 높은 기계적 강도, 내열특성, 마찰 마모특성등을 지니므로 기계요소로서 적합 합니다. 당사 HDPE는 분자량 500,000내외의 고분자량 HDPE만을 사용하여 철저한 아닐링 공정을 거치는 이유로 내마모성이 월등하고 절삭 가공 및 사용중 변형이 없습니다. HDPE소재의 특성 낮은 마찰계수 및 높은 내 마모성/ 저온 충격 강도/ 식품 접촉時 위생성
UHMW-PE (Ultra 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UHMW-PE는 HDPE의 일종으로 분자량이 최소 3,000,000이상인 수지입니다. UHMW-PE소재의 특성 매우 높은 내마모성(플라스틱 재료중 최고)/ 낮은 마찰계수(PTFE 및 HDPE와 동일수준)/ 저온 충격강도/ 식품 접촉時 위생성
PVC(Poly Vinyl Chloride) 상온에서 고강성, 고경도(POM-C와 유사)를 보이 며 도금설비등 특히 내산성이 요구되는 장소에 쓰입니다.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전화기 케이스, 안전모등 내충격성이 요구되는 부분에 흔히 쓰이는 소재로서 당사가 공급하는 ABS 플레이트의 주용도는 Mock-Up用 소재 입니다. 당사 고유의 스플릿트 테스트를 거쳐 잔류응력이 철저히 제거된 상태로만 공급되어 값비싼 Mock-Up 공정후 뒤틀림 현상으로 인한 손실을 방지합니다.
PTFE(Poly Tetra Fluor Ethylene)
흔히 '테프론'이라 불리는 소재로서 내열성 및 내약품성이 극히 뛰어납니다.
PC(Poly Carbonate)
투명한 플라스틱 소재중 충격강도가 가장 높은 소재 로서 후판(12t 이상)및 봉재는 열처리 공정 을 거쳐 가공후 변형 및 크랙현상이 없습니다.
PVDF(Poly Vinylidene Fluoride)
PTFE와 비슷한 내열성, 내약품성에 HDPE와 비슷한 기계적 강도를 지닌 소재로서 화학장치등에 주로 쓰이는 소재입니다. |
첫댓글 어느회사 제품들인지 궁금하네요;
폴리펜코껀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