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키메데스가 불규칙한 물체의 부피를 측정하는 방법을 찾아낸 일화.
아르키메데스(BC 287~212) 때의 왕 히에로 2세는
금세공사에게 순금을 주며 신에게 바칠 금관을 만들게 하였다.
완성된 금관이 은이 섞인 것은 아닌가 의구심이 드는데
확인할 방법을 몰라 아르키메데스에게 의뢰한다.
아르키메데스는 고민하던중 하루는 아버지와 목욕을 하러 갔다.
아버지가 욕조에 들어 갈 땐 물이 넘치지 않는데
본인이 들어 갈 땐 물이 넘치는 것을 보고 착안을 하게 된다.
부력을 발견하며
옷을 입는 것도 잊고 뛰쳐나와
환희에 젖어 “찾았다”(그리스어:Heureka)를 외쳐댔다.
물질은 밀도에 따라 비중도 다르다.
즉, 서로 다른 물질은 같은 무게라 할 지라도 차지하는 부피가 다르므로
물속에 넣었을 때 서로 다른 비중을 가지게 된다.
왕관과 같은 무게의 금을 비교한 실험으로
아르키메데스는 금세공사가 속임수를 썼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었다.

다면체가 갖는 부력에 대한 정리는 아르키메데스의 원리로 알려져있다.
지나치기 쉬운 일상 속의 현상에서 어떠한 상관관계나 의미를 찾아냈을 때
기쁨에 튀어 나온 말.
유레카 ! 『 Eureka ! 』- 알았다, 찾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