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막뉴스] 생각만으로 움직인다... 마비 환자에 찾아온 기적
로봇팔이 찬장을 열고 컵을 꺼냅니다.
뇌졸중으로 온몸이 마비된 환자가 휠체어에 앉아 생각 신호로 명령을 내립니다.
뇌 신호를 포착해 컴퓨터로 전달하는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장치를 이용합니다.
[카레루시 갠글리 UCSF 교수 : 뇌 표면에는 그리드가 있는데, 운동 영역에서 언어 영역으로 대략적으로 이어져 있기 때문에 이 큰 그리드를 통해 행동을 상상하는 동안의 뇌 활동을 기록하고 측정할 수 있습니다.]
핵심은 특정 동작을 반복해 상상할 때 뇌의 활동이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를 분석하는 것입니다.
뇌에서 움직임을 나타내는 신호의 형태는 유지되지만 위치는 시간에 따라 약간씩 달라집니다.
이런 변화를 AI가 보정해 장치가 지속적으로 일정한 성능을 내도록 했습니다.
연구팀은 로봇팔이 더 빠르고 부드럽게 움직일 수 있도록 개선 작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카레루시 갠글리 UCSF 교수 : 마비의 이유와 기술이 허용하는 것 사이에 일정 수준의 공통점이 있기 때문에 연구가 발전하면 다른 질병에 대한 더 광범위한 플랫폼이 될 수 있습니다.]
2023년 스위스 연구팀은 뇌 임플란트를 사용해 하반신 마비 환자의 손상된 척추와 뇌를 무선으로 연결했습니다.
자전거 사고로 하반신을 못 쓰던 환자는 12년 만에 서고 걷고 심지어 계단을 오를 수 있게 됐습니다.
또 척추에 전자 펄스를 보내는 장치를 통해 파킨슨병 환자를 혼자 걷도록 만들었습니다.
AI의 도움을 받는 신경과학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장애 극복의 새 장을 열고 있습니다.
*뇌에 칩을 받고 컴퓨터와 연결해 칩을 이식한 사람의 생각한대로 사물과 몸이 움직이는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기술이 마치 앉은뱅이를 걷게 하는 현대판 이적의 도구처럼 홍보하는 기사가 올라왔다.
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하지만, 뇌에 칩을 박아 컴퓨터와 연결하여 정보를 주고 받는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기술은 그 작동 방향을 거꾸로 돌리기만 하면 사람이 컴퓨터의 지시대로 생각하고 움직이는 꼭두각시로 만들 수 있는 악마의 기술인 것인데, 이에 대한 정보는 철저히 숨기고 긍정적인 부분만 소개하고 있는 그 저의가 의심스럽다.
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요한계시록을 통해 살피면 뇌에 칩을 박아 컴퓨터와 연결시키는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기술은 이마에 받는 표에 적용될 것 같은데, 여하튼 지금은 2000년 전 사도 요한이 환상을 통해 본 종말의 모습이 현실이 되고 말세지말인 것이다.
“저가 모든 자 곧 작은 자나 큰 자나 부자나 빈궁한 자나 자유한 자나 종들로 그 오른손에나 이마에 표를 받게 하고, 누구든지 이 표를 가진 자 외에는 매매를 못하게 하니 이 표는 곧 짐승의 이름이나 그 이름의 수라. 지혜가 여기 있으니 총명 있는 자는 그 짐승의 수를 세어 보라 그 수는 사람의 수니 666이니라.”(요한계시록 13장 16-18절)
- 예레미야 -
첫댓글 💖사랑하는 마음은 건강을 가져오고 행복을 안겨 줍니다.
사랑이 꽃피고 행복이 넘치는 웃음 가득한 날 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