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자미 / 김정화
납작 엎드렸다. 옹색한 길바닥 좌판이면 어떤가. 널조각 자리가 왕후금침도 부럽지 않다. 캄캄한 얼음 창고 속에 쭈그리지 않아도 되고. 덕장에 걸리는 고행길에 오르지 않는 것만으로도 다행이다. 생이란 때로는 원치 않은 곳까지 흐르기도 한다. 내가 태평양 넓은 물에서 도심 변두리 골목시장까지 올 줄 상상이라도 했겠는가.
한 뼘 길이의 손바닥만 한 나를 두고 사람들은 넙치(광어)와 견주기를 즐긴다. 눈의 방향으로 이름 내기를 하거나 모자란 생김새로 농을 친다. 눈이 오른쪽으로 쏠린 가자미와 왼편으로 몰린 광어를 구분하고자 좌광우도라는 대중어까지 만들어낸다. 그러나 반박에 우리를 호명하며 반색하는 이는 드물다. 뱃살에 코를 킁킁대거나 눈알을 꾹꾹 눌러가며 요리조리 갸웃거리는데 간택을 기다리노라면 심장이 바싹 마를 지경이다.
나는 도미 같은 귀족도 아니고 등살이 탄탄한 고등어처럼 풍채 좋은 호남자도 아니며, 늘씬한 몸매의 농어처럼 어류계의 팔등신도 아니다. 갈치나 대구처럼 어물전 인기어는 더더욱 아니다. 아귀나 물매기의 면상에 견주어도 어금버금하다. 하지만 이력만은 신화 못지않게 진귀하다. 가자밋과 물고기를 접어하고 일컫는데 가자미가 많이 난다하여 한반도를 접역(鰈域)이라 불린 적도 있다. 동의보감에는 허(虛)를 보하고 동기(同氣)하는 음식으로 이름을 올렸으며, 포츠담회담 만찬 때는 영국의 처칠 나리가 가자미튀김을 메인코스로 선정했을 만큼 황금기도 있었다.
한때 ‘비목어(比目魚)’로도 불렸다. 한 눈이 다른 눈을 좇아간 고기라는 뜻이 될 것이다. 비(比)는 더불어 있다는 말이다. 옛사람들은 한쪽 면이 없는 물고기를 반면이라 했는데 넙치와 가자미 역시 원래 한 마리라고 여겼다. 그래서인지 우가자미의 반대꼴인 좌넙치를 보면 저절로 내 몸이 기울어진다. 비목동행(比目同行)이란 말을 생각해보라. 한쪽 면만 가진 두 몸을 붙여서 한몸처럼 다니는 것을. 이 얼마나 기특하고 정성스러운 일인가. 헤어져서는 절대로 살 수 없는, 죽음이 갈라놓을 때까지 운명을 함께하는 반쪽을 그대는 가져 보았는가.
우리를 가재미 혹은 납새미라고 부른다. 모양새에 따라 물가자미, 참가자미, 줄가자미로도 호명되지만 도달어(䄻達魚)라는 뜻의 도다리도 귀한 별칭이다. 시골에서 부르는 까재미나 섬마을에서 지칭하는 딱괴이 또한 나의 애칭이다. 무엇보다 내가 가장 마음이 가는 이름은 자산어보에 등재된 ‘소접’이다. 정약전 선생이야 ‘소접(小鰈)’이라 명명 했지만 나는 나비 접 다를 붙여 ‘소접(小蜨)’이라 고쳐 읽고 싶다. 물고기의 작은 나비. 이 얼마나 낭만적인 이름인가.
가자미를 외눈박이로 여기지 않는 것만 해도 다행이다. 우리 눈이 처음부터 삐딱하게 한쪽으로 몰린 것은 아니다. 부화되었을 때는 여느 물고기와 마찬가지로 양측에 있었지만 위기 때마다 머리를 수그리는 습성이 배여 왼눈이 점차 오른쪽으로 옮겨졌다. 한쪽에만 눈이 붙었으니 평생을 반쪽만 보며 살아왔다고 생각하면 오해다. 사방을 아우를 수 있는 시야가 아니라도 몸을 돌려 다른 쪽을 보려고 부단히 노력을 해왔다. 그러니 가자미눈이라는 알로써 심통이나 부리는 고약한 물고기로 착각하면 곤란하다. 가자미는 태생적부터 온유한 심성을 지녔다. 물고기 중에서도 심약하기 이를 데 없어 갯지렁이나 새우를 삼키고도 무슨 큰 죄인이 된 듯 뻘바닥에 붙박여 지냈다. 하물며 어린아이들도 멸치에게 맞아서 눈이 삐딱하게 돌아갔다고 얕본다. 그러나 어쩌겠는가. 생이란 타인의 눈으로 매겨지는 그림이 아닌가.
살다 보면 대접도 받고 호강도 하는 법. ‘봄 도다리 가을 전어’라는 말에 몸값이 치솟고, 최고 횟감으로 범가자미를 시식한 미식가들의 쾌담이 라이벌 광어의 코를 납작하게 만들기도 한다. 육지의 콧바람을 쐬기가 무섭게 이승을 하직한다면 싱겁고 억울한 일이 아닐 수 없다. 물의 세상은 덤으로 얻는 삶이다. 제대로 된 생선 맛이라도 보여줘야 하지 않겠는가. 도다리쑥국으로 봄철 입맛을 돋우고, 탄력 있는 구이로 인간 식구들의 밥상을 지켜내고 있다. 양념옷으로 성장(盛粧)한 가자미찜이나 메좁쌀밥을 삭힌 가자미식해를 즐기지 않는다면 일류 미식가 반열에 오를 수 없다.
물고기를 문학 소재로 삼을 때 가자미만 한 것이 있을까 싶다. 문어처럼 이름자에 글월 문(文)자가 없어도, 오징어같이 먹물통을 지고 있지 않아도, 문학과 가자미의 인연은 깊다. 시인 백석은 그저 한없이 착하고 정다운 가재미라며 특히 친애하셨다. “낡은 나조반에 흰밥도 가재미도 나도 나와 앉아서” 그 무슨 이야기라도 다 할 것 같다며 듬뿍 품어주었다. 오늘날 문태준 시인의 『가재미』가 애송시가 되듯이 문인들께서 귀히 여겨주시니 어물전 인부들마저 작업 가자미를 ‘작가’라 불러주는 것이다. 뻘밭에 묻힌 삶도 견디다 보면 누군가 알아줄 날이 온다. 인생역전이 없다면 세상사 헛것이 아닌가.
더 바짝 몸을 낮추어본다. 마른 잎이 땅에 떨어지고 나무 그림자도 길게 몸을 눕힌다. 때가 되면 지상의 모든 것이 아래로 엎드린다. 바닥의 삶이라도 어떤가. 생을 먼저 깨우쳤다고 위로하면 괜찮다. 이만하면 가히 됐다.
첫댓글 영원한 동기 정화 쌤, 현대수필 100인선 선정에 이어 세번 째 수필집《가자미》상재를 축하축하합니다. 아마도 많은 독자들로 부터 호평을 받을거라 믿습니다.평안과 건필을 기원합니다.
선생님, 언제나 고맙습니다. 이제서야 우편작업합니다.
이번에는 책 내는 것보다 우편작업이 힘드네요;;
다시 읽어도 탐스럽고 재미있는 글입니다. 수필집 '가자미' 잘 읽고 있습니다.
항상 바쁘고, 건강하고, 즐겁게 생활하시는 모습이 참 부럽습니다.
오늘도 즐겁게!
양 선생님의 응원, 감사합니다.
새해에는 선생님께도 문운이 가득하길 기원드립니다.
정화 샘~
현대수필100인선 선정을 축하합니다.
표제도 참 정감이 가네요. 《가자미》
김수인 선생님, 오랜만입니다.
통 뵙지 못하였습니다. 모임 때 책 전하겠습니다.^^
표지가 어찌나 신선한지
읽고 싶어집니다.
선집에 이어 세번째 수필집 출간을 축하하몀
더욱 힘차게 발돋움하기를 기원하고 기대합니다.
김나현 회장님, 감사합니다.
표지는 제가 좋아하는 화가가 글을 읽고 그려주었습니다.
따뜻한 그림이라 저도 만족합니다^^
세번째 수필집 상재를 늦게나마 축하합니다. 건필하시기 바랍니다.^^
남구회원이시지요? 감사합니다^^
축하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새해를 맞이하여 행운 가득하길 기원드립니다^^
수필집 출간을 축하드립니다.
가자미처럼 납작 업드리고 살고싶은 요즘입니다. 좋은 글 감동입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셔요~^^
현정희 선생님, 감사합니다.
제주를 생각하면 벌써 봄 기운을 느낍니다^^
수필집 잘 받았습니다.
가자미 에 대한 새로운 고찰
지식으로 간직 합니다.
오세길 선생님,
감사합니다. 선생님의 수필집 상재도 거듭 축하올립니다.^^
왕성한 창작활동이 부럽습니다. <가자미>정말 맛깔스럽습니다. 1인칭 관찰자 시점이 이렇게 신선할지 몰랐고, 철학적 요소도 은근슬쩍 더 잘 엿보이는 것 같아서 좋습니다. 수필집 4집 발간을 축하드립니다.
이숙진 선생님의 귀한 말씀 잘 여미어두겠습니다.
새해 복된 날 이어지길 기원드립니다.^^
축하드립니다.
잘읽고 소중하게 간직하겠습니다.
양재봉 선생님, 감사합니다.
세미나 때 반갑게 뵙겠습니다^^
이 밤
다시금 선생님 글을 찿아 읽어봅니다
몇번을 읽어도 감탄할 뿐입니다
멋있으셔요^^
모임득 선생님, 격려의 말씀 감사합니다.
늘 노력하는 자세로 수필의 길을 걷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