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산이란
화폐액으로 측정 가능하고
자유로이 처분이 가능
거래에서 얻어 질 수 있는 가치 있는 것으로
부채와 자본에 의해 조달된 자금의 운영상황을 의미한다
유동성 배열법에 의해 유동성이 높은 순서대로 위에서 아래로 배열하여 재무상태표에 표시되며
1년을 기준으로 하여 유동자산과 비유동자산으로 구분
유동자산은 당좌자산, 재고자산으로 구분
비유동자산은 투자자산, 유형자산, 무형자산, 기타비유동자산으로 구분
자산 | 유동자산 | 당좌자산 | 현금, 현금성 자산, 매출채권 등 |
재고자산 | 상품, 제품, 반제품, 제공품 등 |
비유동자산 | 투자자산 | 장기금융상품, 매도가능금융자산 등 |
유형자산 | 토지, 건물, 기계장치, 차량운반구 등 |
무형자산 | 산업재산권, 광업권, 개발비 등 |
기타비유동자산 | 장기성매출채권, 보증금 등 |
유동자산
1년 이내에 현금으로 전환 되거나 전환이 예상되는 자산
현금화 용이성에 따라 당좌자산, 재고자산으로 구분
당좌자산: 판매과정 없이 현금화 시킬수 있는 현금 및 현금성 자산, 단기금융자산, 매출채권등
재고자산: 영업활동과정에서 판매, 생산활동 지원 목적으로 보유되는 자산
판매과정을 거쳐야만 현금화가 가능한 상품,제품,반제품,원재료,저장품 등
비유동자산
1년 이내에 현금화 하기 어려운 자산
토지를 제외한 대부분의 유형, 무형자산은 감가상각 또는 상각이라는 절차를 통해 장기간에 걸쳐 비용으로 처리됨
투자자산: 장기적인 투자수익을 목적으로 보유한 채권, 주식, 금융자산
영업활동에 사용되지 않는 투자부동산, 장기성예금, 다른 기업에게 영향력을 행사하기 위해 장기간 보유하는 주식 등
투자자산은 기업의 고유한 영업목적에 사용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유형자산과 구분되고
장기적으로 보유한다는 점에서 단기투자 목적의 유동자산과 구분된다
유형자산: 제품의 생산, 서비스의 제공, 타인에 대한 임대, 자체적 사용을 위해 장기(1년이상) 보유하는 물리적 형체의 자산
토지, 건물, 비품, 기계장치, 건설중인 자산 등
무형자산: 물리적 형체는 없으나 독자적 식별이 가능한 비화폐성 자산
특허권, 지적 재산권, 저작권, 개발비, 영업권, 산업재산권 등
기타비유동자산: 임차보증금, 장기선급비용 등
부채
과거의 거래나 사건의 결과로 특정 실체에 자산이나 용역을 이전해야 하는 의무로
1년을 기준으로 유동부채와 비유동부채를 구분한다
상환만기가 빠른순으로 기록한다
유동부채: 매입채무, 단기차입금, 미지급금 등
일상적인 상거래에서 발생되는 영업상의 채무와
만기 1년 이내인 지급채무
비유동부채 : 사채, 장기차입금, 퇴직급여충당부채 등
만기가 1년 이상인 장기성 부채, 사채, 장기금융부채
이연법인세 부채와 장기선수금 등
자본
자본은 자산총액에서 부채 총액을 차감하여 잔여 지분으로
기업의 소유자인 주주에게 귀속될 소유자 지분을 말한다
처음 투자한 자본금과 이익이 쌓여서 생긴 돈으로 자본금, 자본잉여금, 이익잉여금, 자본조정, 기타 포괄손익누계액으로 구분
자본금: 주주가 투자한 금액으로 1주당 액면금액에 발생주식의 총수를 곱하여 계산
자본잉여금: 자본거래(증자, 감자 등)에서 발생한 잉여금, 주식발행초과금, 자기주식처분이익 등
이익잉여금: 기업의 이익 중에서 사외에 유출, 자본금 계정에 대체되지 않고 사내에 유보된 부분을 말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