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동부 심설산행 멀고 먼 영랑대
▣ 일 시 : 2024년 03월 01일(금)~02일(토)
▣ 코 스 : 산천재-광점동-어름터-방장문-청이당-영랑대(원점회귀)
▣ 인 원 : 3명
▣ 날 씨 : 맑음(영하 15도)
산행 전날 덕산 산천재에서 남명매를 만났다. 지리산 아래는 오후 늦게까지 비가 내렸지만 산 허리 위로는 온산이 하얗다. 내복도 입고 방수바지와 스패츠를 챙겼다. 의탄천을 무사히 건널 수 있을까 걱정이 되었다. 폭설에 쓰러진 산죽을 헤치고 부러진 나무를 톱으로 자르면서 길을 열었다. 청이당터는 빙화가 바람에 부딪히며 덩그렁 뎅그렁 울림 소리를 냈다. 하늘에서 얼음 덩어리가 후두두득 떨어지는 소리가 들렸다. 파란 하늘 강렬한 햇빛을 받아 빙화가 크리스탈처럼 빛났다. 눈은 하얗다 못해 시퍼렇다. 눈이 아프다. 다섯 시간 남짓 걸리는 영랑대에 오후 6시가 넘어서 도착했다. 10시간이 걸렸다. 이제 멀고 먼 영랑대이다. 저녁 온도 영하 11도, 다음날 새벽 온도계를 보니 영하 15도를 가리킨다. 젤트 안에 수낭이 모두 얼었다. 손발이 시리고 너무 춥다. 아무래도 빨리 집으로 가야겠다. 끝.
구태여 雪山에 들어 苦行할 필요가 뭐 있겠나?
李震相(1818~1886)
人知猶易獨知難 : 남이 아는 것은 쉬워도 나만 아는 일은 어려워
雷雨雲星一念間 : 한 가지 생각하는 사이에 별별 생각이 다 든다.
如令屋漏常無愧 : 설령 혼자 방에 있더라도 늘 부끄러움이 없다면
苦行何須入雪山 : 구태여 설산에 들어 고행할 필요가 뭐 있겠나.
「술학자경(述學自警)」 중 ‘홀로일 때를 삼가다[謹獨]’
『한주집(寒洲集)』
▶ 이진상[李震相, 1818(순조 18)∼1886(고종 23)] 조선 말기의 유학자. 본관은 성산(星山). 자는 여뢰(汝雷), 호는 한주(寒洲). 아버지는 원호(源祜)이며, 부인 흥양이씨는 문간공 창석 이준 선생의 후손 호군(護軍) 기환(起恒)의 따님이다. 경상도 성주 한개(大浦)에서 출생하였다.
注 屋漏(옥루) : 방의 서북쪽 모퉁이로, 집의 방문이 보통 남쪽에 나 있기 때문에 방의 어두컴컴한 곳을 가리킨다. 아득한 옛날 사람들이 움막집을 짓고 살 적에 방안의 채광을 위해서 천장에 구멍을 뚫고 집을 지었는데, 비가 오면 그곳은 비가 새었기 때문에 ‘옥루(屋漏)’라고 했던 것이다. ‘불괴옥루(不愧屋漏)’는 ‘방의 어두컴컴한 구석에 혼자 있을 때도 자기 마음에 부끄럽지 않게 지내라’는 뜻이다. 흔히 ‘혼자 있을 때를 삼가라’라는 뜻인 ‘신독(愼獨)’이라는 말과 거의 같게 쓰인다. 시의 원 제목은 ‘ 謹獨[홀로일 때를 삼가다.]’이다.
첫댓글 추운 날씨에 비경을 담아 오셨군요.
영랑대는 아직도 한겨울입니다.
빙화는 계곡 언저리에서 봤습니다. 예전에 주능에 야구공만한 얼음이 달렸다고 들었습니다.
산천재는 봄인데 영랑대는 겨울입니다.
이제 영랑대가 아주 멀게 느껴지네요.
봄에는 칠성대장의 건강함 모습 보려 한번 가야지 !
뵙때까지 건강 잘챙기고 ~^-^♡
@동부능선 네 고맙습니다
선배님 따뜻한 봄날 하동에서 차 한잔하고 영랑대 같이 가시죠. 많이 부족하지만 저가 모시겠습니다. 기다리 겠습니다.
@깊은산속 고마워요♡
이날 3일절 연휴 지리쪽으로 차을몰고 갔을때 천왕봉 일대는 한파와 강한 세찬 바람이 불어다고 울회원이 장터목에서 연락이 왔었는데 그날 영랑대 비박을 가셨네요 ㅡ대단도 하십니다 봄이오는길목에 영랑대의 설경과 일출 멋진사진 잘봤습니다
영랑대는 그 자리에 있는데
이제 너무 멀게 느껴지네요.
아무도 밟지 않은 숫눈길을 올라
영랑대에서 '겨울이'를 보내고 왔습니다.
작년 1월 갔을때는 그리도 멀고먼 영랑대였습니다.
2월에 갔을때는 멀게 느껴지지 않았습니다.
신기하게도 멀고 먼 길이었던 그 시간이 더 기억에 남습니다.
다시 가고싶은 그리운 영랑대...언젠가 선생님과 다시 가고 싶습니다
영랑대는 이미 다녀오셨으니
아홉모랭이 길이 어떠신지요.
기회가 되면 안내해 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