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을 쓰면서 손이 후더더덜 떨렸습니다.
올 것이 왔습니다. 베가스 입니다. -┏
정신건강을 위해서라면 무비메이커를
사용하는 편을 백배 권장하는 바입니다.
=================================

베가스를 실행한 모습입니다.
베가스 역시 엄청난 가격으로 인해서 일반인들은 구입이 어렵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쉿! 이해하셨죠? -┏)o
체크된 'Properties'를 눌러줍니다

이런 화면이 뜹니다. 다음 TV팟에 올린다는 가정하에
소장용으로도 가장 적절한 400X300으로 하겠습니다.
영상의 해상도를 뜻합니다.
=========================================================================================================

화면 왼쪽 하단의 Explorer 창입니다.
원본이 저장된 폴더에 오른쪽 클릭을 해서 '즐겨찾기'로 빼놓습니다. 그게 편하거든요~
'Add Folder to My Favorites' 클릭

그러면 즐겨찾기 창에 우리가 쓸 'Fs' 폴더가 저장됩니다. 이제 저기서 찾으면 됩니다.

영상을 드래그 해서 타임라인 위에 올려놓습니다.
① 위는 비디오, 아래는 오디오 트랙이 만들어 진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무비메이커는 각각 하나가 한계인데 반해, 베가스는 무한정 가능합니다.
② 'Video Preview' 창 입니다. 미리보기로 어떻게 되어가는지 상황을 보여줍니다.
※ 앗! 실수로 'Video Preview' 창을 꺼버렸어요!!! ㅠㅠ

위와 같이 메뉴의 [View] 란에서 추가가 가능합니다.
체크 표시가 'Video Preview'입니다.
왠만하면 위와 같이 세팅하는게 제일 편합니다. :>
제가 초보일때, 이 곤경에 처해 재설치를 했던 웃지못할 에피소드가 기억나네요.
=========================================================================================================

'Video Preview' 를 보면 심즈의 고질적인 저 아이콘이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럴 경우 트랙자체에서 저게 안 보이도록 하는게 편하겠죠? 그래야 다른 클립(개별 원본)들도 같이 적용되죠~

'Trak Motion...' 을 누릅니다. 트랙 전체의 크기와 위치를 정하는 겁니다.

진한 화살표 부분으로 화면을 늘이면 저 크기만큼 영상이 커집니다.
하지만 틀이 400X300 이기 때문에 액자 모양으로 잘려서
대충 ▣ 이렇다면 검은색 부분만 보이게 되겠죠? :)

이런 화면이

이렇게 됩니다. 전반적으로 늘었죠? 허부티의 왼쪽 팔이 안 보이는 걸로 봐서요.
이렇게 잘리게 되므로 찍을때도 약간 고려를 해야합니다.
=========================================================================================================
영상을 줄이고 늘이는 기본적인 방법에 대해 알아봅시다.

간단하게 한 클립(개별 원본)의 끝을 잡고 드래그하면 됩니다.

하지만 위와 같이 (▽) 모양의 화살표가 나온다면
저 부분을 기준으로 이 클립이 다시 재생되는 것입니다.
즉 반복구간을 나타내는 것이죠.

하지만 가끔 이런 난감한 상황이 연출되기도 합니다.
앞 클립은 저 부분이 한계인데, 뒷클립에 가기위한 구간이 모자랍니다.
이 경우에는 저 클립의 테이프를 조금 늘려서 재생속도를 늦춰볼까요?

클립의 양 끝에서 Ctrl(컨트롤) 키를 누른 상태로 드래그를 하면 (~) 모양이 생기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재생 속도를 늦추거나 올리는 키 입니다.
그러니 원본 크기보다 작게 하면 재생속도가 빨라질 것이고
그 반대로 원본보다 크게 하면 재생속도가 느려질 것입니다.
=========================================================================================================
이제 페이드-인(Fade-In) 에 대해 알아볼까요?
검은 화면에서 점점 화면이 나타나는 방식을 뜻합니다.

① 저 위쪽에 (▶) 모양 모서리가 보이시죠? 저길 잡고 화살표 방향으로 원하는 곳까지 끌어주면
간단하게 페이드-인(Fade-In)이 완성 됩니다.
=========================================================================================================

이것과 같은 원리로 두 영상이 겹쳐지면서 넘어가는 부분도 응용이 가능하죠?
저것을 영상용어로는 "Transition(트랜지션; 변환)" 이라고 합니다.
이렇게 겹쳐놓으면 일반적인 변환이 되지요, 여기에 뭘 추가해볼까요?

왼쪽 하단 메뉴에서 'Transitions'로 들어갔습니다. 각종 효과들이 있네요.
여기서 왼쪽은 대 분류고, 오른쪽은 소분류입니다.
저는 제가 주로 사용하는 대분류 'Flash'에서 소분류 'Hard Flash'를 추가해보겠습니다.

'Hard Flash' 를 끌고 겹쳐진 부분 위에 떨어트립니다.
그러면 오른쪽 'Video Preview'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번쩍이며 전환되는게 보이죠?
=========================================================================================================
영상에 이펙트를 추가해봅시다.

'Video FX'를 클릭합니다. 구성은 아까의 'Transitions'와 같죠?
저는 'Film Effects' 중에서 'Very Old Film' 을 택해보겠습니다.
아까와 같이 드래그 해서 클립에 넣어줍니다.

그러면 이렇게 창이 뜰 것입니다. 이것저것 만져보면 각각이 무슨 기능을 하는지 알 수 있습니다. :>
바뀐 것을 볼 수 있죠?
=========================================================================================================
=================
이미지 등록 제한으로
3장에서 계속됩니다..
=================
첫댓글 계속 추가됩니다. 날림 방지를 위해 [수정] 으로 글을 쓰는 방식을 씁니다
후. 죽돌님 수고하셨어요 앞으로도 수강생들을 위해 계속 강의 올려주세요
우앙ㅋ굳ㅋ 벌써부터 머리가 아프다는+_+좋은 강의 너무나 감사드립니다!
열심히 해볼래요~^^
감사합니다 궁금했었는데 ㅠㅠ
아, 근데 죽돌님. trak motion에서 진한 화살표부분의 크기를 줄이면 영상이 그만큼 잘려서 나오는게 아니라 영상의 크기 자체가 줄어들어서 나오는데 어떻게 해야 하나요...?
음, 쉽게 말해서 ■ 모양으로 보이는 영상이 있는데 전체 영상이 600X450이라 하죠. 이걸 400X300으로 바꾼다면, ▣에서 작은 삼각형이 그만큼 ■로 키워지기 때문에 왼쪽 상단의 아이콘이 보이지 않는 것이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