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제목 다람쥐 (종명)
현재의 사진/직접 촬영하신 사진) 좌우 비율은 수정하지 말아주세요 전체컷, 부분컷(열매, 꽃, 잎, 줄기 등 특징이 될 만한컷) |
2020. 0 . / 공원(사진촬영장소 및 일시 기재)
2021.6.24. 용정산림공원 주변 민가에서 촬영
2.학명: Tamias sibiricus
계: 동물문
문: 척삭동물문
강: 포유강
목: 설치목
과: 다람쥐과
속: 다람쥐속
크기: 12-17cm
무게: 0.5-1.2kg
수명: 13년
식성: 종자류, 열매, 육상패류
천적: 여우, 족제비, 맹금류
활동시간: 낮
휴면시기: 10-4월
휴면방법: 겨울잠
서식지: 침엽수림, 활엽수림, 암석이 많은 돌담 같은 곳
분포지: 한국, 중국, 일본, 카자흐스탄, 몽골, 러시아
3. 생리생태학적 특징
(줄기, 꽃, 열매 등의 외형적 특징을 비롯하여 서식지 특징, 생태계적 특징, 서식지에 대한 특징등) 조사한 사진 또는 현장 사진 첨부하여 서술
무늬다람쥐라고도 한다. 몸길이 15∼16cm, 꼬리길이 10∼13cm이다. 몸빛깔은 붉은빛을 띤 갈색 바탕에 5개의 세로줄이 있다. 꼬리는 청서보다 훨씬 짧고 털이 빽빽이 나 있으며 편평하다. 볼주머니는 잘 발달되어 먹이를 운반하기에 알맞다. 눈은 크고 검은색이며, 귀에는 짧고 긴 털이 없다. 등 뒤에는 5줄의 검은색 줄무늬가 있다.
주로 활엽수림이나 암석이 많은 돌담 같은 곳에 서식하며, 울창한 침엽수림에서도 발견된다. 낮에만 활동하는데, 나무타기를 좋아하며, 도토리·밤·땅콩 등을 즐겨 먹는다.
땅속에 굴을 깊이 파고 보금자리를 만든 후 보금자리에서 가까운 곳에 월동을 위해 1∼2개의 먹이 저장창고를 만들고 여러 가지 종자나 열매 등을 저장해 둔다. 때때로 잠에서 깨어나 먹이를 먹은 후에 다시 겨울잠을 하기도 한다. 9월 하순부터 10월 상순에 평균기온이 8∼10℃가 되면 터널 속으로 들어가 겨울잠을 자기 시작하는데, 겨울잠은 진정한 동면이 아닌 가수면 상태이다.
번식기는 3∼4월이며, 5∼6월경에 4∼6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동부 유럽부터 아시아 북동부의 삼림지대에 이르기까지 널리 분포하고, 한국에서는 전국 어디에서나 볼 수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다람쥐 [Asiatic chipmunk] (두산백과)
4. 숲 해설 소재에 관한 스토리텔링
(설화, 문화역사적 이야기, 이름과 관련된 유래 등 숲해설을 해주고 싶은 이야기)
다람쥐와 사람의 관계
다람쥐는 밤, 도토리를 좋아하여 밤 산지에 피해를 준다. 또 둥지를 만들기 위하여 나무껍질을 벗겨 나무의 성장을 방해하기도 한다. 그럼에도 귀엽게 생긴 생김새 때문에 사람과 반려동물 사이로도 산다.
대한민국의 다람쥐 수출
1962년 4월에 일본으로 다람쥐 2000마리를 수출한 것을 시작으로 하여, 대한민국에서 한 때 1년에 30만 마리의 다람쥐가 포획되어 수출되기도 하였다. 수출 당시 1마리에 1달러 정도에 팔리기도 하였고, 2달러 40센트에 팔리던 때도 있었다.
다람쥐는 서울시 보호 야생 생물 대상종이다.
미국과 유럽의 일부 지역에서는 다람쥐나 청설모를 식용으로 쓰기도 한다. 영국에서는 토종인 청서를 위협하는 동부회색청서 식용을 권장하고 있다.
세상에서 제일 수줍은 동물로 기네스북에 올랐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5. 유사종에 대한 비교
(비슷하지만 다른 종에 대한 비교설명 또는 같은 계열의 다양한 종들에 대한 묶음 설명등)
위키백과 사진 참조
청설모
청서와 다람쥐는 먹이도 종류도 비슷하고 한반도 거의 전역에서 살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지만 다른 점도 있다. 가장 쉽게 구별할 수 있는 차이점은 생김새이다. 다람쥐는 갈색털빛에 등에 줄무늬가 있고 나무를 잘 타지만 주로 땅 위에서 생활하는 반면에, 청설모는 주로 나무 위에서 생활한다. 또한 먹이의 종류도 조금씩 달라 다람쥐는 도토리를, 청설모는 잣을 가장 즐겨 먹는다. 무엇보다도 가장 큰 차이점은 다람쥐는 겨울에 겨울잠을 자지만 청설모는 셔울이 되어 눈이 쌓여도 겨울잠을 자지 않고 먹이를 찾아 돌아다닌다는 것이다. 이렇게 비슷하면서도 다르기 때문에 청설모와 다람쥐는 같은 숲에서 살아갈 수가 있지만, 때론 청서가 자기 영역에 들어온 다람쥐를 마구 공격하여 쫓아버릴 때도 있다. 영단어 squirrel은 청설모, 하늘다람쮜같은 다람쥐과의 동물을 통틀어 부르는 말이며, chipmunk는 줄무늬가 있는 다람쥐를 뜻한다. 유럽과 아메리카 등에서 다람쥐는 잘 보기 힘든 특이한 다람쥐를 뜻한다. 유럽과 아메리카 등에서 다람쥐는 잘 보기 힘든 특이한 다람쥐의 한 종이고, 일반적인 다람쥐는 바로 동부회색청서같은 청설모류이기 때문에, 보통 squirrel하면 청설모 종류를 떠올린다. 유럽과 아메리카의 이야기와 신화 등에서 등장하는 다람쥐는 모두 청설모류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6.자료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다람쥐 [Asiatic chipmunk] (두산백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사진 참조
위의 다람쥐사진은 본인 촬영사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