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륜차][모터크로스의 드리프트]오프 캠버 턴
보통 우리가 모터 스포츠에서 바퀴가 미끌리는 현상을 흔히 드리프트라는 말하는데
드리프트란 떠밀려 가다라는 뜻입니다.
바다위에 가만히 있던 배가 조류에 떠밀려 내려가는 모습을 드리프트라고 합니다.
도로위에서는 정지 마찰력으로 운동을 하고 있던 차량 어느 한쪽이 떠밀려 내려가는 현상을 드리프트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엄밀히 말하면 드리프트는 운전기술이라기 보다 미끌어졌다를 표현하는 말이 되는건지도 모르겠네요
그럼 왜 미끌어질까요? 당연히 모두 알고 있겠지만 운동에너지가 타이어의 정지 마찰력이 가지는 한계를 넘어갔기때문입니다
그래서 회전중에 타이어가 드리프트가 일어나면
보통 전륜구동(앞바퀴를 움직이는 차)는 접지력이 남아있는 뒷바퀴가 굴러가는 모습을 따라 직진을하고
보통 후륜구동(뒷바퀴를 움직이는 차)는 접지력이 남아있는 앞바퀴가 굴러가는 모습을 따라 움직입니다
이때 뒷바퀴를 구동하는차가 미끌어졌을때 차는 접지력이 남아있는것이 운전자가 움직일수 있는 앞바퀴이므로 미끌어지더라도 어느정도 원하는 방향으로의 주행이 가능합니다.
뒷쪽이 코너 바깥으로 움직였으므로 그만큼 핸들을 반대로 꺽어주어야하는데. 그냥 운전자가 보기에 핸들을 반대로 꺽는것처럼
보이므로 자동차 용어에선 이걸 카운터 스티어라고 부릅니다.

자동차와 달리
이륜차나 자전거에선 카운터스티어라는것이 일상 현상 용어입니다.
모든라이더는 모든 턴을 할때 보통 2번 최소 1번이상 카운터 스티어를 일으켜야하죠.
그래서 비슷한 현상이 일어났을때 그냥 드리프트나 파워 슬라이드라고 하거나
모토크로스 같은 소프트그라운드 레이스에서는 오프 캠버 턴이라고 부릅니다.
잘 만들어진 맨들맨들한 아스팔트 길보다
부드러운 흙위에서 달리는 주행일경우
타이어와 접촉면간에 운동마찰과 정지 마찰의 전환이 빈번히 그리고 작은 에너지 변화로 일어납니다.
아스팔트 위에서 벌어지는 운동마찰과 정지 마찰의 전환은 대단히 큰 에너지에 의해서 일어나기 때문에
정지 마찰에 의해서 타이어와 차량에 축적된 에너지량이 더 커지고 운동마찰로 주행이 전환하는 순간
타이어와 차량에 축적된에너지가 순식간에 개방되면서 운전자로 하여금 대응불능에 빠지기 쉽게 만듭니다.
하지만 부드러운 흙으로 만들어진 타멕에서는 타이어와 차체에 에너지가 축적될 겨를도 없이
정지 마찰력이 운동마찰력으로 전환되어버립니다.
운전자가 비교적 상황 통제를 하기 쉬워지는것이죠.
위 그림은 접지력이상의 운동에너지가 발생한 뒷바퀴를 그저 추진력과 구심력으로 사용하여
회전의 중심을 앞바퀴로 두고 주행을 하는 모습입니다.
갑자기 뒷바퀴의 운동마찰력이 정지마찰력으로 변하지 않도록 또
너무 강하지도 너무 약하지도 않은 뒷바퀴의 운동마찰력을 지면에 계속 전달할수 있도록
뒷바퀴를 지면에 누를 수있도록 라이더는 앉은 자리를 앞뒤로 계속 변화를 주어야합니다.
운동마찰을 하기 시작한이상 앞바퀴는 코너링 곡선에 고정되어있기때문에 자유도가 없고
오직 뒷바퀴에만 코너링을 위한 자유도가 있기 때문입니다
이때 앞바퀴가 코너링을 하기 때문에
보통 이륜차에서 뒷바퀴가 기울어지는 각도(캠버)가 차체를 곡선운동하게 하는 원리가 깨집니다
그래서 오프캠버턴이라고 불립니다.
첫댓글 모터 크로스에서 이런 턴을 아마 초등학교 어린이날 행사에서 처음 봤지 싶네요 ^^
자세한 해설 감사드려요 ~~
네 또 여러가지 설명할께요 ^^
ㅅㅅ 설명이 너무 어려워요 조금 쉽게 설명하면 좋을듯 하네요 전문용어가 너무 많아 이해가잘 ㅜ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