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걸리 등 제조에 쓰이는 쌀 급증
기호식품으로 다양한 수요창출 가능
전통주가 국산 농산물 소비 확대를 위한 대안으로 꼽히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주원료인 쌀이다.
국민 식습관 변화로 밥을 먹는이들이 줄면서 매년 잉여생산된 쌀은 큰 문제다.
반대로 최근 전통주 인기는 국내 젊은 층을 넘어 해외로까지 확산하고 있다.
앞으로 전통주 산업 활성화에 미래 쌀 소비 확대의 키가 달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백화점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누적기준으로 백화점 3사(롯데, 신세계, 현대)의
3사 전통주 매출은전녀 동기 대비 40%~70% 증가했다.
특히 20대와 30대 매출 성장률이 최대 80% 포인트 더 높게 나타났다.
백화점 업계 관계자는 '엯가 깊은 전통주에 최근 새련된 브랜드 전략을 가미한 전략이 주효했다'며
'색다른 맛 등 그 구성이 다양해지면서 20.30대 고객이 크게 늘었다'고 분석했다.
이런 인기에 전통주는 쌀 소비 구언투수로 떠오르고 있다.
통계청의 '양곡소비랭 조사'에 따르면 2023년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56.4kg으로 통계 집계 이후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30년 전 대비 반토막이 나있다.
다만 눈여겨 볼 것은 전통주 등 주류 제조에 쓰이는 쌀 소비는 급증했다는 점이다.
2023년 주정 제조업에 사용된 쌀은19만7102t으로 전년(12만1775t) 대비 62% 급증했다.
현재 남는 쌀은 보관 등 관리비만 한 해 4000억원에 이를 정도다.
정부는 지난해 쌀 초과 공급 물량이 12만 8000t에 이를 것으로 보고 있다.
근본적으로 쌀 경작 면적을 줄이는 방법이 거론되지만 식량 안보를 생각하면 어려운 일이다.
결국 쌀의 활용을 늘리는 길밖의 없는 셈이다..
특히 전통주는 다른 쌀 소비 대책보다 효과적이다.
기호식품인 만큼 다양한 수요를 창출할 수 있다.
경기도 농업기술원에서 전통주를 연구하는 농업연구사 이대형 박사는 '기존 쌀 소비, 대책은 떡, 면, 빵 등으로
만들어 식사를 대체하는 것 정도였다'며 '이 탓에 추가적인 쌀 소비를 유도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주류는 과자와 떡 등 다른 쌀 가공식품보다 본래의 10~20배의 가치를 만들어낼 수 있는
고부가가치 상품' 이라고 강조했다.
전통주는 다른쌀 가공품보다 쌀 사용량도 월등하다.
재료는 간단해도 쌀을 고두밥, 범벅, 죽 등 어떤 방식으로 처리할지, 혼합비율, 온도 등에 따라 청주, 탁주 등
각기 다른 술이 탄생한다.
특히 K드라마 등의 영향으로 해외에서의 인기도 상승세다.
남도희 한국막걸리협회 사무국장은 '현재 막걸리 업계는 매년 정부가 가공미로 내놓은 국산 쌀 가운데
20%를 사용하고 있다'며 '남미 등 해외에서 인기가 높아져 막걸리 수출도 점차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업계에서는 쌀 소비 확대를 위해 전통주의 해외 수출 등 정책적 지원이 절실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외국인의 다양한 입맛을 사로잡기 위해 향료 처막 등 기준 오나ㅗ하는 물론 수출 이늪라 지우너이 대표적이다.
남 사무국장은 '전통 유지도 중요하지만 외국의 테킬라, 하이볼 등 변화하는 주류 브랜드에 맞게 전통주도 바뀔 필요가 있다'며
'아직 전통주 제조시설들이 열악한데 탄산 주입 시설, 수출을 위한 냉동 보관 시설 등 변신에 따른 지원이 필요하다'고 했다.
한전진 기자
주세 부담 확 낮춰,,,일 '사케'처럼 해외경쟁력 키운다
정부, 전통주 활성화 속도
'일본의 전통주 '사케'처럼 경쟁력을 갖추도록 육성하고자 하는 것이 핵심이다.
주세 감면 한도를 늘리면 생산량이 늘어나 업체들도 대형화할 수 있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정부가 전통주 활성화를 위해 팔을 걷어붙였다.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 강화까지 염두에 두고 세제 혜택을 지속적으로 늘려갈 방침이다.
14일 정부에 따르면 올해부터 반출하는 전통주는 주세 부담이
전년도 출고량이 '발효주 700kl 이하, 증류수 350kl이하' 요건을 충족한다면
발효주는 200kl 초과~400kl 이하 출고분에도 주세를 30% 깎아준다.
증류주는 100kl 초과~200kl 이하에 주세 30%를 감면해 준다.
지금까지는 '벌효주 500kl, 증류주 250kl 이하'로 출고되는 술에만 세금경감이 이뤄져 왔다.
이 요건을 충족하면 발효주 200kl 이하, 증류주 100kl 이하 물량에만 세금을 50% 깎아준다.
정부는 이러한 50% 주세 감면 헤택은 그대로 유지하되 이를 넘어서는 반출량에도 세금 부담을 낮춰 주기로 한 것.
전통주를 더 늘려 생산.출고해도 지금보다 더 큰 세금 혜택을 누릴 수 있게 되는 셈이다.
이는 전통주 제조 시장의 상황을 반영한 조치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가 지난해 7월 내놓은 '2022년 주류산업정보 실태조사'에 따르면
전통주 제조업체의 평균 종사자 수는 약 3.7명으로, 종사자 수 2명이하(48.1%)가 대부분이다.
전통주 제조업체의 매출액 분포는 5000만~2억원 미만(26.4%)이 가장 많았다.
그만큼 영세 소규모 업체가 많다는 의미다.
최근 전통주의 인기가 늘면서 출고량과 출고액이 지속적으로 확대되는가운데 전통주 업계 내
영세 소규모 업체의 성장을 돕기 위해 세제 혜택을 강화하기로 했다는 게 정부 설명이다.
최상목 대행은 여기서 한발 더 나아갔다.
최 대행은 주세 감면 혜택 대상을 '벌효주 1000kl, 증류수 500kl 이하'까지 확대하겠다고 지난해 10월 말 밝혔다.
현행 주세감면 출고량 기준요건과 비교하면 두 배 확대다.
기재부는 이르면 이달 안에 주세법 시행령을 개정하고 이러한 전통주 감면 혜택을 늘릴 계획이다.
이외에도 정부는 탁주에 향료.색소를 첨가해도 탁주로 인정하고 지원을 계속하겠단 구상이다. 세종=김미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