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L 김희옥 총재가 방관만 해서는 안됩니다. 예전 이정대 총재처럼 직접 발품을 팔아야죠. 포항시의 의사를 확인했다면 총재가 나서서 설득을 해야죠.
고양 선수들의 운명을 데이원 경영자들에게 계속 맡긴다면 선수들이 또 어떤 불이익을 받게 될지 알 수 없을 것입니다.
데이원스포츠는 인수협상 문제에서 손떼게 하고 하루속히 채무관계 청산에만 집중하게끔 해서 신뢰를 회복하게 하고 구단인수협상은 KBL이 직접 나서야 그나마 진전이 될 것입니다. 시간이 좀 걸리더라도 그렇게 해야되는 게 맞는 거고 만약 데이원에게 모든 걸 떠넘기면 선수들은 계속 불행해질 겁니다.
이건 그냥 현재까지 흘러가는 상황만 보면 누구나 예측할 수 있는데 왜 KBL은 선수들이 고통받는 걸 손놓고 구경만 하는지 정말 이해가 안갑니다. 정신 차려야 합니다!!
이번 총재는 존재감이 너무 없어요. 10개 구단을 유지하는게 리그에 정말 중요한 일인데 아무것도 일을 안하는게 지금 용산에 있는 누구를 닮았어요. 법조계 출신이라 심판 관련쪽에서 관심을 가지고 노력했으면 싶었는데 오히려 더 악화된것 같고 이정대 총재가 재임기간 동안 일을 잘했던것 같아요.
캐롯에겐 안타까운 일이지만 포스코나 에코프로 그룹이나 굳이 스포츠 단을 운영 안해도 이미 실적이나 마케팅(?)이 너무 잘돼서... 오히려 스포츠단 운영 비용으로 케파를 늘리는데 돈을 더 쓰려할겁니다. 베터리가 너무 호황이라... 실제로 포항 스틸러스 전남 드래곤즈 포스코 산하 축구구단들도 긴축재정 즁이라
전 구단 수 줄이는 거 반대에요. 더 많은 직장이 있는 게 현재 선수들 뿐만 아니라 미래에 농구를 할지도 모르는 선수들의 의사결정도 많이 좌우한다고 생각해요. 어떤 분야를 규모를 작게 해서 소수정예, 혹은 정말 자격이 있는 사람들만 살아남게 하겠다는 방향은 자칫하면 그 분야가 점점 작아져서 결국 사라지게 만드는 경우를 만들 수도 있습니다. 판이 작아지면 자격 있는 사람만 살아남는 게 아니라, 아무도 안 가고 싶은 판이 되어버리는 거죠. 판이 어느 정도 규모가 유지가 되야, 질적인 부분도 따라온다고 봅니다. 양적으로 선수층도 많고 판 자체가 커야 그 중에서 쓸만한 선수들도 더 많이 나오는 거 같아요. 유럽리그도 하부리그가 많은 게 어찌보면 불필요한 잉여 일수도 있지만 상위리그 퀄리티에 영향을 미치는 거처럼, 농구도 가뜩이나 인기도 떨어지는데 판 자체가 작아져버리면 정말 프로리그 존립 자체가 위기라고 봐요. 미래에 인구수도 줄고 선수층도 얇아질 거니까 미래를 대비해 팀을 줄이는 게 맞다고 하는데, 그건 그 때가서 생각하면 되고 지금은 구단을 최대한 유치해 현재 있는 선수들 권익을 보호해주는 게 유능한 리그운영이라고 봅니다.
첫댓글 캐롯이 공중분해 되면 나머지 9개구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추가로 해체하지 싶어요.
KBL 김희옥 총재가 방관만 해서는 안됩니다. 예전 이정대 총재처럼 직접 발품을 팔아야죠. 포항시의 의사를 확인했다면 총재가 나서서 설득을 해야죠.
고양 선수들의 운명을 데이원 경영자들에게 계속 맡긴다면 선수들이 또 어떤 불이익을 받게 될지 알 수 없을 것입니다.
데이원스포츠는 인수협상 문제에서 손떼게 하고 하루속히 채무관계 청산에만 집중하게끔 해서 신뢰를 회복하게 하고 구단인수협상은 KBL이 직접 나서야 그나마 진전이 될 것입니다. 시간이 좀 걸리더라도 그렇게 해야되는 게 맞는 거고 만약 데이원에게 모든 걸 떠넘기면 선수들은 계속 불행해질 겁니다.
이건 그냥 현재까지 흘러가는 상황만 보면 누구나 예측할 수 있는데 왜 KBL은 선수들이 고통받는 걸 손놓고 구경만 하는지 정말 이해가 안갑니다. 정신 차려야 합니다!!
그러게요 결과적으로는 지들이 통과시켜놓고 계속 뒤로 빠져있네요 (데이원이 문제 없단게 아닙니다)
이번 총재는 존재감이 너무 없어요. 10개 구단을 유지하는게 리그에 정말 중요한 일인데 아무것도 일을 안하는게 지금 용산에 있는 누구를 닮았어요. 법조계 출신이라 심판 관련쪽에서 관심을 가지고 노력했으면 싶었는데 오히려 더 악화된것 같고 이정대 총재가 재임기간 동안 일을 잘했던것 같아요.
맞는 말씀인것 같습니다.
백번 동의합니다.
혹시나..해제한다면 선수들은 어떻게 되나요ㅜ
소수의 선수만 살아남겠죠
파주에 큰거많던데그쪽으로 안되나
경기라도 좋으면 좀 나을텐데..
축구처럼 시민구단 느낌으로는 불가능한가요?
그나마 축구는 양호해서 인기라도 있으니 정치에 이용해먹든 어떻하든 시민구단도 나오는데 농구는 효용가치가 떨어져서....
아쉽지만 좀 줄이는게 장기적으론 낫지 않나싶어요
캐롯에겐 안타까운 일이지만 포스코나 에코프로 그룹이나 굳이 스포츠 단을 운영 안해도 이미 실적이나 마케팅(?)이 너무 잘돼서... 오히려 스포츠단 운영 비용으로 케파를 늘리는데 돈을 더 쓰려할겁니다. 베터리가 너무 호황이라... 실제로 포항 스틸러스 전남 드래곤즈 포스코 산하 축구구단들도 긴축재정 즁이라
인천 뭐하냐, 자냐?zZZzZ
솔직하게 김연경으로 여자배구 삼산체육관 맨날 매진시켰는데, 삼산체육관 근처 사는 부평구민들만 해도 전자랜드 농구단 있었나 하고 생각도 안날 것 같습니다. 이게 농구판 현실이죠.
인천시가 나선다손 쳐도 포항이랑 똑같겠죠. "기업들 난색"
@Memphis Grizzlies 네. 맞습니다. 이미 배구쪽으로 넘어갔어요. 인천에 농구단은 앞으로는 힘들거 같아요. 협회가 무능해서 좋은 체육관을… 아쉽네요.
포스코 쫌 운영해주지 ㅜㅜ
장기적으로 8구단으로 줄이는게 맞다고 봅니다.
이유를 여쭤 봐도 될까요???
충청도 대전 부산 제주도는 1팀씩 있을만하지않나
강원도는 유일하게 KBO 리그 팀만 없다는(feat. DB, 강원 FC)
전 구단 수 줄이는 거 반대에요. 더 많은 직장이 있는 게 현재 선수들 뿐만 아니라 미래에 농구를 할지도 모르는 선수들의 의사결정도 많이 좌우한다고 생각해요. 어떤 분야를 규모를 작게 해서 소수정예, 혹은 정말 자격이 있는 사람들만 살아남게 하겠다는 방향은 자칫하면 그 분야가 점점 작아져서 결국 사라지게 만드는 경우를 만들 수도 있습니다. 판이 작아지면 자격 있는 사람만 살아남는 게 아니라, 아무도 안 가고 싶은 판이 되어버리는 거죠. 판이 어느 정도 규모가 유지가 되야, 질적인 부분도 따라온다고 봅니다. 양적으로 선수층도 많고 판 자체가 커야 그 중에서 쓸만한 선수들도 더 많이 나오는 거 같아요. 유럽리그도 하부리그가 많은 게 어찌보면 불필요한 잉여 일수도 있지만 상위리그 퀄리티에 영향을 미치는 거처럼, 농구도 가뜩이나 인기도 떨어지는데 판 자체가 작아져버리면 정말 프로리그 존립 자체가 위기라고 봐요. 미래에 인구수도 줄고 선수층도 얇아질 거니까 미래를 대비해 팀을 줄이는 게 맞다고 하는데, 그건 그 때가서 생각하면 되고 지금은 구단을 최대한 유치해 현재 있는 선수들 권익을 보호해주는 게 유능한 리그운영이라고 봅니다.
전적으로 동감합니다
감동캐롯의 마지막이 해피엔딩 이길 기도합니당
맞는말이지만 돈줄 사람이 없다는게 문제죠 기업들이 굳이 농구단 만들 이유가 없죠
@넘버십오 맞는 말씀이신데 제 입장이 기업들 사정을 고려하는 관점보다는 농구만 생각한 그저 농구팬의 입장이라서요.
10개 구단 버티기 해야죠.
제가 재벌로 다시 태어나면 크블 구단 하나는 꼭 운영해보고 싶네요 ㅋㅋㅋ 이상 망상병 환자 였습니다..ㅠㅠ
부천은 어떨까요? 제주 유나이타드가 버린 지역이니... 실제로 FA 컵에서 두 팀이 만나면 부천 FC 가 ㅂㄷㅂㄷ 으르렁 한다는... 대우는 Former 팀이니
부천체육관은 이미 여자농구 부천하나원큐의 홈경기장으로 계속 사용중입니다.
대전에 농구단 없는데... 성심당에서 운영 못하나...(농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