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심재윤 코리아 타임즈 논설실장의 "트럼프에게 보내는 편지 "라는 칼럼입니다.
비핵화와 같은 중대한 결정을 내릴때 한국과 사전협의해달라고 요청합니다.
조선분야에서 양국의 협력을 강조했습니다.
트럼프 정부에서 한국전쟁을 통해 피로 맺어진 양국간의 동맹관계가 경제적으로 유지될 수 있을까요?
This article is "letter to Trump" written by Shim Jae-yoon, editor-in-chief of The Korea Times.
He asked to consult with South Korea in advance when making important decisions such as denuclearization.
It emphasized the cooper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the field of shipbuilding.
Can the blood alliance between the two countries be maintained economically under the Trump administration through the Korean War?
Letter to President Trump
트럼프 대통령에게 보내는 편지
By Shim Jae-yun, Shim Jae-yun is chief editorial writer of The Korea Times
심재윤, 코리아 타임즈 논설실장
Posted : 2025-01-22 15:42 Updated : 2025-01-22 16:10
Korea Times
Dear Mr. President, Congratulations on your inauguration as the 47th president of the United States. Your dynamic leadership has already begun to make a significant impact, and I am optimistic that under your guidance, both the U.S. and the world will continue to thrive in stability and prosperity.
대통령님께, 미국의 47대 대통령 취임을 축하한다. 당신의 역동적인 리더십은 이미 큰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으며, 당신의 지도 아래 미국과 세계가 안정과 번영 속에서 계속 번영할 것이라고 낙관한다.
However, it’s clear that your presidency also brings with it a sense of unpredictability, and concerns about rising global uncertainties. While your "Make America Great Again" policies reflect your commitment to American interests, there is no doubt that the increasing trend of protectionism and growing tensions among countries have added a layer of complexity to global relations.
그러나 대통령직은 예측 불가능성과 글로벌 불확실성 증가에 대한 우려도 함께 가져온다는 것은 분명하다.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만들기' 정책은 미국의 이익에 대한 당신의 의지를 반영하지만, 보호무역주의의 증가 추세와 국가간 긴장이 고조되면서 글로벌 관계에 복잡성이 더해졌다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Yet, despite these challenges, I believe there are numerous opportunities that can shine a light on the future.
하지만 이러한 도전에도 불구하고, 저는 미래를 밝힐 수 있는 많은 기회들이 있다고 믿는다.
One of the most notable opportunities comes in the realm of global conflict resolution. You’ve already made it clear that you want to bring an end to the ongoing wars in Ukraine and the Middle East. Your proactive approach could play a key role in ending the war between Russia and Ukraine, especially given your leadership and the U.S.’ global strength. Russian President Vladimir Putin has already extended an offer to meet with you, and it’s likely you will seriously consider this. The end of this conflict would have a profound impact on the Korean Peninsula as well, particularly with North Korea’s involvement in the war. Thousands of North Korean soldiers have reportedly been killed or injured, highlight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se global conflicts and South Korea’s security.
가장 주목할 만한 기회 중 하나는 글로벌 분쟁 해결의 영역이다. 우크라이나와 중동에서 진행 중인 전쟁을 종식시키고 싶다는 의사를 이미 분명히 밝힌 바 있다. 특히 러시아의 리더십과 미국의 글로벌 역량을 고려할 때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의 전쟁을 종식시키는 데는 적극적인 접근 방식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이미 러시아와의 만남을 제안했으며, 이를 진지하게 고려할 가능성이 높다. 이 분쟁의 종식은 특히 북한의 전쟁 개입과 관련하여 한반도에도 깊은 영향을 미칠 것이다. 수천 명의 북한 군인이 사망하거나 부상을 입은 것으로 알려졌으며, 이는 이러한 글로벌 분쟁과 한국의 안보 사이의 연관성을 강조한다.
If you are successful in bringing about an end to the war, we will enter a period of post-war reconstruction in which South Korea could play a pivotal role. As Russia looks to rebuild, it will likely seek economic cooperation with nations like South Korea, given the technological advancements and economic prowess the country can provide. While Russia has been increasingly isolated from Europe, South Korea offers tremendous potential for mutually beneficial partnerships. This could lead to new opportunities for both countries and strengthen the global order.
전쟁 종식에 성공한다면 한국이 중추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전후 재건의 시기에 접어들 것이다. 러시아가 재건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러시아가 제공할 수 있는 기술 발전과 경제력을 고려할 때 한국과 같은 국가들과 경제 협력을 모색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러시아는 유럽으로부터 점점 더 고립되고 있지만, 한국은 상호 호혜적인 파트너십을 맺을 수 있는 엄청난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이는 양국에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고 글로벌 질서를 강화할 수 있다.
On the topic of North Korea, it seems you have a unique role to play. Describing North Korea as nuclear power you reiterated hope to meet him. Kim Jong-un is facing growing domestic challenges, particularly following his decision to send soldiers to the front lines under an agreement with Russia. His support for Russia has strained his relationship with China, North Korea’s traditional ally. You’ve already met with Kim on multiple occasions during your first term, and your ability to maintain open lines of communication with him may provide an avenue for progress. Your recent phone call with Chinese President Xi Jinping demonstrates your commitment to direct diplomacy, and I believe this approach could be helpful in resuming inter-Korean exchanges and cooperation, ultimately bringing greater stability to the region.
북한이라는 주제에 대해 당신은 독특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 같다.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묘사하면서 그를 만나고 싶다는 희망을 거듭 강조했다. 김정은은 특히 러시아와의 합의에 따라 최전선에 군인을 파견하기로 결정한 이후 국내 문제에 직면해 있다. 러시아에 대한 그의 지지는 북한의 전통적인 동맹국인 중국과의 관계를 긴장시키고 있다. 첫 임기 동안 이미 여러 차례 김 위원장을 만났고, 김 위원장과의 개방적인 소통 라인을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이 진전의 길을 열어줄 수 있을 것이다. 최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전화 통화는 직접 외교에 대한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며, 이러한 접근 방식이 남북 교류와 협력을 재개하고 궁극적으로 지역에 더 큰 안정을 가져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That said, I want to make a suggestion that I hope will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making significant decisions that directly affect the security of the Korean people, particularly on issues like denuclearization, it would be prudent to ensure that South Korea is consulted in advance. This will help avoid domestic debates about nuclear armament, which could then prompt other neighboring countries, like Japan and Taiwan, to consider similar options. Such a domino effect could undermine the Nuclear Non-Proliferation Treaty (NPT) and disrupt regional stability. Open communication between our countries will ensure that we remain aligned on these important issues.
그렇긴 하지만 고려되기를 바라는 제안을 드리고 싶다. 특히 비핵화와 같은 문제에서 한국인의 안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대한 결정을 내릴 때는 한국이 사전에 협의하도록 하는 것이 현명할 것이다. 이는 핵무장에 대한 국내 논의를 피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며, 이는 일본과 대만 등 다른 주변국들도 비슷한 옵션을 고려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도미노 효과는 핵확산금지조약(NPT)을 약화시키고 지역안정을 저해할 수 있다. 양국 간의 열린 소통을 통해 이러한 중요한 문제에 대해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One area where our nations already share significant potential for collaboration is the shipbuilding sector. During your conversation with President Yoon Suk Yeol last November, you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strengthening bilateral cooperation in this area. The U.S. has long been the leader in naval power, but it is evident that the country has fallen behind in terms of manufacturing and maintaining both combat and commercial vessels. As China has grown its naval capabilities, the U.S. faces increasing pressure to modernize and maintain its edge in the world’s oceans.
우리나라가 이미 상당한 협력 잠재력을 공유하고 있는 분야 중 하나는 조선 분야이다. 작년 11월 윤석열 대통령과의 대화에서 이 분야에서 양국 간 협력 강화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미국은 오랫동안 해군력의 선두주자였지만 전투 및 상업용 함정의 제조 및 유지 측면에서 뒤처져 있는 것은 분명하다. 중국이 해군력을 강화함에 따라 미국은 세계 해양에서 현대화하고 우위를 유지해야 한다는 압박에 직면해 있다.
South Korea, on the other hand, has world-class capabilities in shipbuilding and ship maintenance. With its advanced technologies and expertise in producing both military and commercial vessels, South Korea is well-positioned to help the U.S. enhance its naval strength. By deepening cooperation in this sector, both countries can benefit from strengthened military capabilities, while also improving commercial shipbuilding and repair services. This partnership would serve to elevate our alliance to the same level as other strong relationships the U.S. has with countries like the United Kingdom, Japan and Israel.
반면 한국은 조선 및 선박 유지보수 분야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역량을 보유하고 있다. 한국은 군사 및 상업용 함정 생산에 대한 첨단 기술과 전문성을 보유하고 있어 미국의 해군력 증강을 도울 수 있는 유리한 위치에 있다. 이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함으로써 양국은 군사력 강화의 혜택을 누릴 수 있는 동시에 상업용 조선 및 수리 서비스도 개선할 수 있다. 이번 파트너십은 미국이 영국, 일본, 이스라엘과 맺은 다른 강력한 관계와 같은 수준으로 동맹을 격상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Mr. President, the bond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South Korea goes beyond the traditional concept of an alliance. It is a relationship built on shared values such as democracy, freedom and the market economy. The deep trust and affection between our nations are evidenced by the lasting ties between veterans of the 1950-53 Korean War and the large Korean American community in the U.S. This bond has only grown stronger over the years, and I believe there is tremendous potential for our two countries to play an even greater role in promoting peace and prosperity on the global stage.
대통령님, 한미 양국의 유대는 전통적인 동맹의 개념을 넘어선다. 민주주의, 자유, 시장경제 등 공유된 가치를 바탕으로 구축된 관계이다. 양국 간의 깊은 신뢰와 애정은 1950~53년 한국전쟁 참전용사들과 미국 내 한인사회의 지속적인 유대감에서 잘 드러난다. 이러한 유대감은 세월이 흐르면서 더욱 강해졌으며, 저는 양국이 세계 무대에서 평화와 번영을 증진하는 데 더 큰 역할을 할 수 있는 엄청난 잠재력이 있다고 믿는다.
The growing threats from North Korea, the challenges posed by China and the ongoing global shifts demand that our two nations work more closely than ever. Whether it is through joint efforts in defense, technology or industry, our collaboration will undoubtedly play a significant role in shaping the future.
북한의 위협이 커지고, 중국이 제기하는 도전 과제와 지속적인 글로벌 변화로 인해 양국은 그 어느 때보다 긴밀히 협력해야 한다. 국방, 기술, 산업 분야의 공동 노력을 통해서든 우리의 협력은 의심할 여지없이 미래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Mr. President! I know you recently mentioned the political turmoil here, saying "look at South Korea," which you said is more "chaotic" than yourself. Yet I would like to stress that Korea has a strong democratic resilience and will return to normalcy soon. Highly educated and decently sensible Korean people will not allow their country to plunge into chaos under any circumstances.
대통령님! 최근 정치적 혼란을 언급하며 자신보다 더 'chaotic'라고 말씀하신 것을 알고 있다. 하지만 한국은 민주적 회복력이 강하고 곧 정상으로 돌아갈 것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 고학력이고 합리적인 한국인은 어떤 상황에서도 한국이 혼란에 빠지는 것을 허용하지 않을 것이다.
In closing, I respectfully encourage you to continue to focus on upgrading the alliance between our countries. The potential for mutual prosperity and greater regional security is vast, and together, we can create a more stable and peaceful world.
마지막으로 양국 간 동맹을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하는 데 집중할 것을 정중히 권장한다. 상호 번영과 더 큰 지역 안보의 잠재력은 무궁무진하며, 함께 더 안정적이고 평화로운 세상을 만들 수 있다.
Last but not least, I would like to extend my heartfelt grief for those who suffered from the disastrous forest fire that engulfed Los Angeles area. I urge the Korean government, albeit without a president, to provide the necessary relief, although belatedly, in respect of the value of the alliance.
마지막으로 로스앤젤레스 지역을 휩쓴 참혹한 산불로 고통받으신 분들께 진심으로 애도를 표한다. 대통령은 없지만 뒤늦게나마 동맹의 가치를 존중하여 필요한 구호를 제공해 주기를 한국정부에 촉구한다.
I wish you all the best in your leadership, and I look forward to seeing the positive outcomes of the strong partnership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South Korea.
당신의 리더십에 행운이 가득하길 바라며, 미국과 한국 간의 강력한 파트너십이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한다.
Sincerely,
진심으로,
#Inauguration취임 #Alliance동맹 #Denuclearization비핵화 #Shipbuilding조선 #Diplomacy외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