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 2025 권지수 교수님 1~4월, 파이널 강의(인강) 듣고 교육학 18.67로 합격했습니다! 전 전공점수가 마냥 높지 않았지만 교육학 점수로 무사히 보완해서 합격한 케이스 입니다ㅜㅜ 정말 감사합니다
먼저 저는 재수생으로 초수때 15.33으로 높은 점수가 아니였습니다! 조금 안타깝지만 전반적으로 노력해도 이에 상응하는 결과가 나오는 편이 아니라 많이 좌절했던 것 같습니다. 재수부터는 부족했던 점이 무엇이었는지 분석하고 본격적으로 2월부터 강의를 들으면서 보완해나간 편입니다! 아래 세부 공부 내용은 정답이 아니기에 취사선택하시면 좋겠습니다!
1. 시기별 공부방법
1) 1~2월 (강의o)
- 1월 후반부부터 권지수 교수님 기본이론 강의를 수강했습니다. 강의자료로 제공해주신 구조화자료를 교육학 공부 시작 전에 빠르게 훑고 최대한 내용 이해에 집중해서 공부하였습니다.
- 대체로 주요 과목인 교육과정, 교육방법, 교육평가, 교육행정, 교육평가 내용 위주로 내용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 강의를 먼저 듣고, 끝나고 구조화 자료를 옆에 두면서 어떤 부분에 대해 공부하는건지 구조를 잃지 않고 강의를 복습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 너무 의욕이 넘쳐서 힘이 빠지는 경우도 많았지만 초반에 교육학을 안일하게 준비하면 하반기 공부에 분명 지장이 갈 수 있기에 지금 이론에 대한 이해를 하자고 마음먹고 하였던게 도움이 된 것 같습니다.
- 적극 추천하는 이유!!! : 두문자법으로 암기가 필요한 파트를 외울 수 있게 해주십니다. 교육학은 20점 배점으로 효율성이 중요한 과목이라고 생각합니다. 두문자법 뿐만 아니라 어떤 부분에 힘을 실어 외워야 하는지, 외우지 않고 유연하게 작성하는 방법을 자주 알려주시기 때문에 꼭 들으시길 추천합니다!
2) 3~4월 (강의o)
- 재수이지만 심화된 내용도 들으면서 상반기를 보내야 하반기에 효율적으로 교육학 공부를 할 수 있을 것 같아서 들었습니다.
- 이 역시 강의 듣고 + 구조화 자료 보면서 내용 복습을 했습니다.
- 이 시기까지 따로 작성 연습을 하거나 모의고사를 준비하진 않았습니다. 다만, 초수 또는 작성에 익숙하지 않으시다면 1달에 2번 정도는 모범답안이나 작성 연습을 조금씩 해보는 것도 추천하고 싶습니다.
3) 5~8월 (강의x)
- 서브노트로 교육학 내용을 인출하는 연습을 했습니다. 강의를 별도로 듣지 않았지만, 권지수 교수님이 제공해주신 마인드 맵 구조도를 옆에 놓고 키보드로 쳐가면서 암기하였습니다. 시간이 조금 걸릴 수 있으나 점심 전까지 1~2시간 정도 인출을 꾸준히 하다보면 암기가 잘 되는 것 같습니다.
4) 9~11월 (강의o)
- 파이널 강의를 들으면서 본격적으로 작성 연습을 일상화하였습니다. 권지수 교수님 모의고사 강의에서 작성하는 것 뿐만 아니라 전공 모의고사 강의도 같이 수강하시는 경우 교육학 모의고사 작성 기회가 많이 생기기 때문에 서본결 갖추어서 작성할 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않고 많이 연습하는 것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
- 강의를 들으면 어떤 것이 정답 범주인지 설명해주십니다. 설명해주신 내용 토대로 조금 모호하게 작성하지 않았는지, 작성한 내용이 정답 범주에 들어가는지 자기점검하면서 교육학 내용을 장기기억화 하였습니다. 이때도 너무 많은 시간을 할애하기 보다 한 번 연습할 때, 작성 연습 + 출제 파트 암기를 2시간 안팎으로 하시길 권장드립니다.
2. 암기 팁
- 두문자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공부한게 도움이 된 것 같습니다. 제 전공 기준 전공 점수가 상당히 중요한 편이였기에 교육학을 소홀히 하시는 경우를 많이 보았습니다. 이를 파고들어 여기서 점수를 확보해야겠다고 생각이 들었고, 덕분에 노력한 만큼 결과가 나온 것 같습니다.
- 서브노트는 합격하신 선생님 서브를 공유받아 외웠습니다. 서브노트 구하는 방법은 다양하겠지만, 제가 듣는 권지수 교수님 기반 서브 + 고득점하신 선생님이 공유해주시는 자료를 찾아 사용하였습니다. 무리하게 제작하시기 보다 권지수 교수님이 제공해주시는 자료(정말 양질의 좋은 자료가 많습니다. 특히 인출하실 때 마인드 맵 자료를 가지고 인출하시면 도움이 되는 것 같습니다) 또는 주변에 눈에 잘 들어오는 자료를 선택하셔서 꾸준히 보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3. 마무리
문해력도 좋지 않고, 남들보다 배의 시간을 들여야 성과가 나오는 사람이라, 배로 노력했습니다. 이 시기가 너무 힘들어 무력감에 빠진 적도 많습니다. 충분히 휴식도 잘 취하시면서 노력하신다면 교육학이 1차 점수를 살리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합격의 길로 안내해주신 권지수 교수님 다시 한 번 감사드리고, 이 글을 읽으시는 2026 대비 임용 준비하실 선생님도 자신을 많이 아껴주시면서 건강하고 끈기있게 도전하시는 한 해가 되시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5.02.14 1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