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위기 조기극복과 포스트 코로나 시대 대비를 위한 |
◇ 2020년 제3회 추가경정예산이 7월 3일(금), 국회 본회의에서 의결되었음 |
Ⅰ. 3차 추경의 의미와 특징 |
□ 코로나19 위기극복을 위해 총력 대응하여, ‘72년 이후
48년만에 처음으로 연중 3회 추경 + 역대 최대 규모로 편성
ㅇ 재정의 적극적인 역할을 통해 ‘위기극복→성장견인→세수증대‘의 선순환 구축
□ 금번 3차 추경을 포함하여, 정부는 코로나19 극복을 위해
총 277조원 규모의 정책패키지를 마련·추진 중
ㅇ 국내외에서 K-방역 및 경제 대응에 대해 긍정적 평가
* IMF는 우리나라의 ‘20년 경제성장률이 G20 국가 중 3번째로 높을 것으로 전망 - (세계)△4.9% (중국)1.0% (인도네시아)△0.3%, (한국)△2.1%, (일본)△5.8%, (미국)△8.0%
* "코로나19 억제를 위한 한국의 전방위적 접근과 신속한 경기 대응정책이 국내 경기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 완화"(IMF WEO, '20.4.14.)
* "코로나19 충격을 먼저 경험했음에도 정부의 효과적인 방역조치로 타 OECD 국가 대비 금년 경기 위축은 제한적"(OECD Economic Outlook, '20.6.10.) |
□ 특히, 금번 3차 추경은 다음 4가지 목적하에 편성
➊ (세입경정) 금년 성장률하락․세제감면 등 세수부족분을 반영
➋ (금융) 「135조원+α 금융안정패키지」 재정측면에서 지원
➌ (고용) 10조원 규모 「고용안정 특별대책」 뒷받침
➍ (경기보강) 경제 조기회복을 위한 경기대응 및
‘한국판뉴딜’ 등 포스트-코로나 시대 선도형 경제로 전환
□ 3차 추경 정부안 규모는 35.3조원이었으나 국회최종 35.1조원(세입경정 11.4조원, 세출증가 23.7조원)규모로 조정(△0.2조원 순감)
Ⅱ. 국회 통과 후 최종 총량 변화 |
□ 총지출 증가율 전년대비 16.5% 증가 |
ㅇ (총지출) 2차 추경 대비 15.8조원 증가 (531.1→546.9조원)
※ 국회 과정에서 정부안 대비 △0.2조원 감액(1.3조원 증액, △1.5조원 감액)
□ GDP 대비 재정수지 △5.8%, 국가채무비율 43.5% |
ㅇ (관리재정수지) △22.1조원, GDP대비 △1.3%p (△4.5→△5.8%)
* 세출사업삭감, 기금재원활용 등을 통해 정부안 대비 0.7조원 개선
ㅇ (국가채무) +20.4조원, GDP대비 +2.1%p (41.4 → 43.5%)
|
|
|
|
|
|
|
| (조원,%) |
| ’19년 본예산 | ‘20년 | 증감 | |||||
본예산 | 1차 추경 | 2차 추경(A) | 3차 | 2차대비 | 정부안 대비 (C-B) | |||
정부안 (B) | 국회확정 (C) | |||||||
◇ 총 수 입 | 476.1 | 481.8 | 481.6 | 482.2 | 470.7 | 470.7 | △11.4 | - |
(증가율) | (6.5) | (1.2) | (1.2) | (1.3) | (△1.1) | (△1.1) |
|
|
◇ 총 지 출 | 469.6 | 512.3 | 523.1 | 531.1 | 547.1 | 546.9 | +15.8 | △0.2 |
(증가율) | (9.5) | (9.1) | (11.4) | (13.1) | (16.5) | (16.5) |
|
|
▪통합재정수지 | 6.5 | △30.5 | △41.5 | △48.9 | △76.4 | △76.2 | △27.3 | 0.2 |
(GDP대비,%) | (0.3) | (△1.5) | (△2.1) | (△2.5) | (△4.0) | (△3.9) | (△1.4%p) | (0.1%p) |
▪관리재정수지 | △37.6 | △71.5 | △82.0 | △89.4 | △112.2 | △111.5 | △22.1 | 0.7 |
(GDP대비,%) | (△1.9) | (△3.5) | (△4.1) | (△4.5) | (△5.8) | (△5.8) | (△1.3%p) | (-) |
▪국가채무 | 740.8 | 805.2 | 815.5 | 819.0 | 840.2 | 839.4 | 20.4 | △0.8 |
(GDP대비,%) | (37.1) | (39.8) | (41.2) | (41.4) | (43.5) | (43.5) | (2.1%p) | (-) |
Ⅲ. 국회 주요 증감 내용 (순감 △0.2조원) |
◇ (증액) 정부안 제출(6.4일) 이후 발생한 주요 정책 현안소요 등 반영 (+1.3조원)
◇ (감액) 사업 여건 변화 등에 따른 집행시기 및 사업 |
1. 국회 증액: +1.3조원 |
➊ 노사정 합의 관련 고용유지지원금 등 일자리 예산 확대 |
ㅇ (고용유지지원금) 코로나19 영향 지속으로 유급휴업ㆍ휴직수당의 90% 지원기간을 6월에서 9월까지 3개월 연장(0.5조원)
ㅇ (고용센터 지원) 코로나19 관련 일자리사업 관리로 업무량이 폭증하고 있는 고용센터에 인력ㆍ인프라 보강(+605명, 158억원)
※ 고용보험기금 재정보강을 위한 공자기금 예수확대(+0.9조원)
➋ 청년의 주거·금융·일자리·교육 등 애로해결을 위한 |
ㅇ (청년 주거ㆍ금융지원) 청년층에 역세권 전세임대(+2,000호, +1,900억원) 및 다가구매입임대(+500호, +760억원) 추가 공급
- 저소득 청년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햇살론 500억원* 추가공급을 위한 보증재원 확대(+75억원)
* 햇살론youth: 당초 추경 500억원(재정보강 75억원) →1,000억원(재정보강 150억원)
ㅇ (청년 일자리지원) 청년층 IT일자리 취업(+1만명, +934억원),
뉴미디어 활용 일자리 및 영화인 직업훈련(2,400명, 80억원) 제공
ㅇ (청년 창업지원) 비대면분야 청년 아이디어 발굴(20억원) 및 사업화를 위한 바우처 지원(87억원)*
* 예비창업(100개사), 세무‧회계‧기술보호(2,000개사), 특허(100개사) 등
ㅇ (대학 교육) 취ㆍ창업을 희망하는 대학생에게 등록금과 학기당 2백만원의 장려금 지원(+1,200명, +50억원)
➌ 등록금 반환 등 학생 부담을 경감한 대학에 |
ㅇ (등록금 반환 간접지원) 특별장학금 등 지원으로 재정이
어려운 대학의 비대면 교육 등 긴급투자 지원 (1,000억원, 한시)
- 대학의 자구노력 정도, 특별장학금 지급 실적, 각 대학의 재정상황 등을 감안 차등지원 (교육부 세부 집행기준 마련 예정)
➍ 중소기업·소상공인 경영애로 완화를 위한 |
ㅇ (지신보 출연) 소상공인 보증지원을 위해 지자체가 지역신용보증재단에 출연시 출연금의 20%를 정부가 인센티브로 추가 출연하는 한시사업 반영 (+800억원)
ㅇ (기보 출연) 우수기술을 갖춘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보증 0.6조원 추가확대를 위한 기술보증기금 출연 (+480억원)
* 기보 中企 코로나 특례보증 : (1차 추경) 0.9조원(6월초 소진) → (3차 추경) 1.5조원 (+0.6조원)
ㅇ (친환경 SOC 투자) 국고보조율 인상*을 통해 지역에서 그린 리모델링 사업 조기 추진 유도 (+284억원)
* (정부안) 서울 50, 지방 60% → (국회최종) 서울 50, 지방 70%
- 스마트 하수도 관리체계 조기구축(+2개소, +40억원), 친환경 건설기계(소형전기굴착기 +100대, +10억원) 보급 신규지원 등
ㅇ (농어촌 경기보강) 어촌관광 활성화를 위한 체험․관광쿠폰 발행, 농업 재해대책비 보강(+100억원)
ㅇ (소비활력 제고) 「코리아세일페스타」(11월) 행사기간에
지자체별 소비활성화(Boom-up) 행사개최 지원(+25.5억원)
➎ K-방역 역량 강화: +0.1조원 |
ㅇ (방역․의료인력 사기진작) 코로나19 방역․의료인력의 노고보상·
재충전을 위한 맞춤형 교육·상담·치유프로그램 제공(+120억원)
ㅇ (전염병 예방 강화) 만성질환자 비율이 높은 만 62~64세(약 221만명)까지 인플루엔자 백신 무상접종 확대(+224억원)
* (정부안) 14~18세(235만명, +265억원) →(국회최종) 62~64세 추가(+221만명, +224억원)
- 감염병 예방을 위한 식사문화 개선 지원(+32억원)
ㅇ (마스크 지원) 코로나 확산에 대비하기 위한 마스크 공적비축물량 확대(+5천만장, +350억원)
- 전국 초ㆍ중ㆍ고교 학생 등에 마스크 47백만장 보급 지원(+85억원)
2. 국회 감액: △1.5조원 |
□ 희망일자리 등 사업 집행시기 조정(△0.4조원)
* 희망일자리사업: (정부안) 15,076 → (국회확정) 12,061억원(△3,015억원)
고용창출장려금: (정부안) 2,505 → (국회확정) 2,011억원(△494억원)
□ 온누리상품권 발행규모 축소(2조원 → 1조원) 등
집행여건 변화에 따른 사업규모 조정(△1.1조원)
* 온누리상품권발행: (정부안) 2,760 → (국회확정) 1,380억원(△1,380억원)
고효율가전할인 : (정부안) 3,000 → (국회확정) 1,500억원(△1,500억원)
Ⅳ. 3차 추경 전체모습 |
규 |
| (정부안) 총 35.3조원 → (국회확정) 총 35.1조원 | ||||||
|
|
|
|
|
| |||
|
|
|
| [정부안] |
| [국회확정] | ||
투 내 |
| 1. 세입경정을 통한 경기대응 투자여력 확보 | 11.4조원 |
| 11.4조원 | |||
|
|
|
|
|
| |||
| ▪ 코로나19 등에 따른 성장률 하락 영향 반영 |
|
|
| ||||
▪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세제감면 등 요인 반영 |
|
|
| |||||
|
|
|
|
|
| |||
| 2. 위기기업·일자리를 지키는 금융 지원 | 5.0조원 |
| 5.0조원 | ||||
|
|
|
|
|
| |||
| ▪ 소상공인, 중소·중견기업 긴급 자금 지원 | 1.9 |
| 1.9 | ||||
▪ 주력산업·기업 등에 대한 긴급 유동성 지원 | 3.1 |
| 3.1 | |||||
|
|
|
|
|
| |||
| 3. 고용·사회안전망 확충 + 경기보강 패키지 | 18.9조원* |
| 18.7조원* | ||||
|
|
|
|
|
| |||
| 고용ㆍ사회안전망 확충 |
| 9.4 |
| 10.0 | |||
▪ 고용유지ㆍ직접일자리ㆍ실직자 지원 등 고용안전망 강화 | 8.9 |
| 9.1 | |||||
▪ 저소득층ㆍ취약계층 사회안전망 강화 | 0.5 |
| 0.9 | |||||
경기보강 패키지 |
| 11.3 |
| 10.4 | ||||
▪ 내수·수출·지역경제 활성화 | 3.7 |
| 3.2 | |||||
▪ K-방역 산업 육성 및 재난 대응시스템 고도화 | 2.5 |
| 2.4 | |||||
▪ 새로운 성장발판을 위한 한국판 뉴딜 (디지털 뉴딜+그린 뉴딜+고용안전망 강화) | 5.1 |
| 4.8 | |||||
|
|
|
|
|
1. 위기기업·일자리를 지키는 금융 지원 : 5.0조원
* 한은ㆍ금융권에서 재정 지원없이 자체 공급하는 규모 등 53.0조원 포함 |
ㅇ (소상공인, 중소·중견기업) 소상공인 2단계 프로그램, 중소․중견기업 대출․보증 등 40조원 공급을 위한 출자·출연(1.9조원)
* 정책금융기관 출자·출연(조원): (산은)0.15 (기은)0.44 (수은)0.38 (신·기보)0.96
ㅇ (주력산업·기업) 채권ㆍ증권안정펀드, 회사채ㆍCP 매입기구, P-CBO 등 긴급유동성 42.1조원 공급을 위한 출자·출연(3.1조원)
* 정책금융기관 출자·출연(조원): (산은)1.51 (신보)1.49 (기은 등)0.1
2. 고용·사회안전망 확충 : 10.0조원 |
ㅇ (고용안전망) 고용유지, 생활안정, 직접일자리 공급 및
실직자 지원을 위한 고용안정 특별대책 등 이행지원(9.1조원)
- 고용유지지원금*(87만명), 긴급고용안정지원금(114만명), 직접 일자리(55만개+α), 구직급여 확대(+49만명) 등 총 321만명 수혜
* 지원수준 90% 특례기간: (정부안) 4~6월 → (국회최종) 4~9월(+3개월, 0.5조원)
ㅇ (사회안전망) 긴급복지 및 매입ㆍ전세임대주택* 확대(+2,800호, 4,845억원), 소액금융** 추가공급 등 사회안전망 보강(0.9조원)
* 매입‧전세임대주택: (정부안) 1,300호(2,185억원) → (국회최종) 3,800호(4,845억원)
** 햇살론youth: (정부안) 500억원(재정 75억원) → (국회최종) 1,000억원(재정 150억원)
- 실질적 자구노력을 통해 등록금 반환·장학금 등 지원한 대학에 비대면 교육, 교육환경 개선 등 한시적 지원(1,000억원)
3. 경기보강 패키지 : 10.4조원 |
➊ 내수·수출·지역경제 활성화 : 3.2조원 |
ㅇ (소비활력 제고) 8대 할인소비쿠폰* 제공, 온누리상품권 1조원 추가발행, 고효율가전할인 확대 등으로 소비심리 제고 (0.5조원)
* 농수산물, 관광, 영화‧공연, 외식 등 8대 소비쿠폰 1,684억원(0.9조원 소비촉진)
ㅇ (투자ㆍ수출회복) 유턴기업 전용보조금 신설, 「36조원+α」
규모 무역금융 확충 등 투자ㆍ수출 여건 개선 지원 (0.4조원)
ㅇ (지역경제 활성화) 지역사랑상품권 3조원 확대, SOC 안전
투자, 지방채 1.1조원 인수 등 지역경제 활력제고 (1.9조원)
ㅇ (중소기업·소상공인) 소상공인ㆍ기술우수중소기업 보증 강화*,
중기ㆍ소상공인 창업**‧재기, 스마트 제조혁신 등 지원 (0.4조원)
* (국회증액) 지역신용보증재단에 지자체 출연시 출연금의 20% 지원(800억원),
우수기술보유 중소기업 기술보증지원 0.6조원 확대(재정보강 480억원)
** (국회증액) 비대면 창업기업 아이디어 발굴 및 사업화 등 지원(107억원)
➋ K-방역 산업 육성 및 재난 대응시스템 고도화 : 2.4조원 |
ㅇ (K-방역 고도화) 보호구 772만개 등 방역물품 비축*, 인플루엔자 무상접종 456만명** 확대, 음압병상 120병상 확대 (0.8조원)
* (국회증액) 마스크 5천만장 추가 비축(+350억원)
** (정부안) 14~18세(235만명, 265억원) → (국회최종) 62~64세 추가(456만명, 489억원)
ㅇ (K-방역 산업화·세계화) 코로나19 치료제·백신개발을 위한 전주기 R&D 지원, K-방역 수출 지원 (0.2조원)
ㅇ (재난 대응시스템 강화) 산재예방, 대형산불·지진·태풍 등 재난대응 역량을 강화하고, 목적예비비 확충 (1.4조원)
➌ 한국판 뉴딜 : 4.8조원 |
(1) 디지털 뉴딜
ㅇ (DNA 생태계 강화) 경제 생산성 제고를 위한 데이터 개방, 5G·AI 활용 가속화 및 디지털 인재양성 등 지원 (1.3조원)
❶ (데이터 구축‧개방‧활용: 0.54조원) 빅데이터 플랫폼 확대(10→15개분야), 공공데이터(14만개) 순차 개방, AI 학습용 데이터 ’22년까지 700종(추경 150종) 구축 등
❷ (5G국가망‧클라우드: 0.05조원) 5G 국가망 시범사업 실시(추경 5개), 공공부문 클라우드 기반 전환, 5대 핵심 서비스‧산업 공동 클라우드 플랫폼 구축 등
❸ (5G‧AI 융합: 0.66조원) AI-X 7대 프로젝트, 중소기업 AI 솔루션 이용 바우처(14→200건), 5G융합 선도모델 개발(매년 5개), 스마트대한민국펀드 1조원 조성 등
❹ (인재양성: 0.04조원) AI‧SW분야 전문인력 9.4만명(추경 +1,245명), AI 융합인재 0.6만명(추경 +1,800명) 등 ’20~’22년간 AI‧SW 핵심인재 10만명 양상 |
ㅇ (디지털 포용 및 안전망 구축) 모든 국민이 디지털 기술 혜택을 안심하고 누릴 수 있는 환경 구축 (0.13조원)
❺ (디지털포용: 0.1조원) 농어촌 초고속 인터넷망 1,300곳(추경 650곳) 및 공공장소 WiFi 1만개 설치, 읍면동 주민센터에 디지털 교육센터 1천개소 신규운영 등
❻ (K-사이버 방역체계: 0.03조원) 중소기업 2,500개(추경 300개) 보안컨설팅 지원, 철도‧항공 등 150종 안전관련 정보시스템 보안점검 등 |
ㅇ (비대면 서비스ㆍ산업 육성) 초중고교 원격교육 인프라, 중소기업 원격근무시스템 등 비대면 산업 육성 (0.75조원)
❼ (초중고 디지털기반교육: 0.25조원) 전국 20만개 초중고 교실 WiFi망 구축, 내용연수 초과 노트북 20만대 교체, 디지털교과서 시범학교 태블릿 24만대(추경 8만대) 보급 등
❽ (대학 등 온라인교육 강화: 0.06조원) 39개 국립대 노후서버‧네트워크 전면교체, 10개 권역별 미래교육센터‧원격교육지원센터 설치 등
❾ (감염병‧돌봄 디지털화: 0.12조원) 호흡기전담클리닉 1,000개소(추경 500개소) 설치, 모바일‧웨어러블 기기 활용 맞춤형 건강관리서비스 30만명(추경 8만명) 등
❿ (원격근무 인프라: 0.31조원) 중소기업 16만개(추경 8만개) 원격근무 시스템 이용 바우처 지원, 공동활용 화상회의 인프라 1,562개소 구축 등 |
ㅇ (SOC 디지털화) 4대 핵심 기반시설 및 도시ㆍ산단ㆍ물류 디지털화로 스마트한 국민생활 지원 (0.45조원)
(4대 디지털 안전관리체계: 0.41조원) 주요 간선도로 및 철도 디지털화, 국가하천 원격수문제어시스템, 공동구 20km 스마트관리체계, 재난대응시스템 구축 등
(도시‧산단‧물류 스마트화: 0.03조원) 인구 20만 이상 도시(108개) 통합관제플랫폼 구축, 스마트산단 통합관제센터(2개소), 스마트 공동물류센터 4개소(추경 2개소) 등 |
(2) 그린 뉴딜
ㅇ (도시ㆍ공간ㆍ생활인프라 녹색전환) 그린리모델링, 스마트 그린도시 등 녹색친화적 생활공간 조성 (0.4조원)
❶ (공공시설 제로에너지화: 0.34조원) 노후공공건축물 1.1만호 그린리모델링,
❷ (스마트 그린도시: 0.01조원) 환경혁신기술 활용 스마트 그린도시 선도프로젝트 100개 추진, 도시숲 ’23년까지 200개 조성 등
❸ (스마트 상하수도: 0.05조원) 광역‧지방상수도 스마트 관리체계 구축 완료(~’23년), 스마트 하수도 관리체계 구축(추경 지능형 하수처리장 시범사업 2개소, 40억원) 등 |
ㅇ (녹색산업 혁신생태계 조성) 유망 녹색기업 및 산업 육성 등으로 지속가능한 新성장 동력 확보 (0.35조원)
❹ (녹색산업 육성: 0.32조원) 혁신환경기술 보유기업 100개사 지원(추경 40개사), 녹색산업 혁신거점 조성, 전문인재(추경 392명)‧융자(추경 2,000억원) 공급 등
❺ (저탄소 녹색산단: 0.04조원) 스마트산단(7개소) 스마트에너지플랫폼 시범구축, 클린팩도리 700개소‧스마트생태공장 100개소 구축지원(~’22년) |
ㅇ (저탄소ㆍ분산형 에너지 확산) 신재생에너지 확산 등 지속가능한 에너지 기반 구축 (0.47조원)
❻ (지능형 스마트그리드: 0.05조원) 스마트미터기 교체(추경 40만호), 건물 에너지진단(600개소), 태양광‧해양풍력‧LNG발전소 등 지능형 통합운영 플랫폼(10개소) 등
❼ (신재생에너지 확산기반: 0.29조원) 국민주주형 프로젝트 투자비 융자(365억원), 신재생에너지 등 녹색보증(200억원), 태양광 보급 확대(2,000억원) 등
❽ (친환경 차량‧선박: 0.13조원) ’22년까지 경유화물차‧어린이통학차량 15만대 친환경차 전환지원, 전기이륜차 5.5만대 구매보조, 노후 관공선 22척 조기교체 |
(3) 고용안전망 강화
ㅇ 디지털·그린 뉴딜을 통한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고용안전망 확충 (1조원)
ㅇ (고보 사각지대 생활‧고용안정: 0.6조원) 긴급고용안정지원금, 국민취업제도 등
ㅇ (미래적응형 직업훈련: 0.1조원) 신기술분야‧생애주기별 직업훈련 체계 개편
ㅇ (산업안전‧근무환경 혁신: 0.1조원) 제조사업장 안전관리, 화재·폭발사고 예방 등
ㅇ (고용진입‧전환지원: 0.2조원) 청년인턴지원, 청‧장년층 신사업분야 재취업 등 |
Ⅴ. 향후 계획 |
□ 정부는 7월 4일(토) 9시30분에 임시 국무회의를 소집하여
추경예산 공고안 및 배정계획안을 상정․의결할 계획
□ 추경 효과 극대화를 위해 재정관리점검회의 등을 통해 3개월 내 주요사업의 75% 이상을 집행할 계획
[ 참고 1 ] 분야별 재원배분 변동 내역
[ 참고 2 ] 추경 주요 수혜자
| 기획재정부 대변인 세종특별자치시 갈매로 477 정부세종청사 4동 moefpr@korea.kr |
|
참고 1 |
| 분야별 재원배분 변동 내역 |
|
|
|
|
|
|
|
| (조원) |
구 분 |
| ’20년 본예산 |
| ’20년 1회 추경 |
| ‘20년 2회 추경 |
| ‘20년 3회 추경 |
|
|
| ||||||
|
|
|
|
|
|
|
|
|
◇ 총 지 출 |
| 512.3 |
| 523.1 |
| 531.1 |
| 546.9 |
|
|
|
|
|
|
|
|
|
1. 보건·복지·고용 |
| 180.5 |
| 185.5 |
| 185.4 |
| 194.4 |
|
|
|
|
|
|
|
|
|
2. 교 육 |
| 72.6 |
| 72.9 |
| 72.8 |
| 71.0 |
|
|
|
|
|
|
|
|
|
3. 문화·체육·관광 |
| 8.0 |
| 8.0 |
| 8.0 |
| 8.1 |
|
|
|
|
|
|
|
|
|
4. 환 경 |
| 9.0 |
| 9.0 |
| 8.8 |
| 9.2 |
|
|
|
|
|
|
|
|
|
5. R&D |
| 24.2 |
| 24.2 |
| 24.2 |
| 24.3 |
|
|
|
|
|
|
|
|
|
6. 산업·중소기업·에너지 |
| 23.7 |
| 27.5 |
| 27.3 |
| 31.6 |
|
|
|
|
|
|
|
|
|
7. SOC |
| 23.2 |
| 23.2 |
| 22.4 |
| 22.9 |
|
|
|
|
|
|
|
|
|
8. 농림·수산·식품 |
| 21.5 |
| 21.5 |
| 21.3 |
| 21.4 |
|
|
|
|
|
|
|
|
|
9. 국 방 |
| 50.2 |
| 50.2 |
| 48.7 |
| 48.4 |
|
|
|
|
|
|
|
|
|
10. 외교·통일 |
| 5.5 |
| 5.5 |
| 5.2 |
| 5.1 |
|
|
|
|
|
|
|
|
|
11. 공공질서·안전 |
| 20.8 |
| 21.2 |
| 20.8 |
| 20.7 |
|
|
|
|
|
|
|
|
|
12. 일반·지방행정 |
| 79.0 |
| 79.5 |
| 91.4 |
| 93.6 |
참고 2 |
| 추경 주요 수혜자 (약 892만명) |
1. 코로나19로 인한 고용위기를 겪는 근로자·실업자 지원: 321만명 |
□ (고용유지 및 일자리 창출) 142만명 |
ㅇ 고용유지를 위해 실직위기 근로자 대상 고용유지지원금 지급 (87만명) |
ㅇ 일자리 창출을 위해 청년 일경험·디지털, 희망근로 등 직접일자리 제공 (55만명) |
□ (고보사각지대 및 실업자) 179만명 |
ㅇ 소득이 급감하여 생계유지가 어려운 고보사각지대의 특고·프리랜서 등 대상 긴급고용안정지원금 150만원 지원 (114만명) |
ㅇ 실업자에 대해 120~270일간 이직 전 평균임금의 60%(1일 상한 6.6만원)를 |
ㅇ 실업자 및 무급휴직자 직업훈련(내일배움카드) 지원 (12만명) |
ㅇ 무급휴직자·특고 대상 직업훈련생계비 최대 2천만원 융자 (2만명) |
ㅇ 저소득·소득감소 근로자 대상 생활안정자금 최대 3천만원 융자 (2만명) |
2. 소상공인 및 위기기업 금융지원 : 101만명 + α(위기기업) |
□ (소상공인) 101만명 |
ㅇ 100만명에게 1인당 1천만원씩 총 10조원 규모의 자금을 공급하는 |
ㅇ 코로나19로 매출이 감소한 장애인(2,000명)ㆍ청년(3,000명) 소상공인 |
ㅇ 코로나19로 불가피하게 폐업한 소상공인의 폐업정리 컨설팅 및 점포 철거비(개소당 2백만원) 등 지원 (0.5만명) |
※ (기업 지원) 자금공급 경색으로 흑자도산 등 위기에 처한 기업대상 |
3. 코로나19 방역지원 및 위기가구 생계지원 등: 472만명 |
□ (코로나19 방역지원) 456만명 |
ㅇ 코로나19와 인플루엔자의 동시유행 방지를 위해 만14~18세, 만62~64세 대상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지원 (456만명) |
□ (위기가구) 4.8만명 |
ㅇ 실직·폐업 등으로 인한 위기가구에 대한 긴급생계비 123만원 |
□ (저신용 근로자 및 청년·대학생) 11만명 |
ㅇ 민간금융 이용이 어려운 저신용·저소득 근로자 대상으로 |
ㅇ 대학생, 미취업청년을 대상으로 최대 1,200만원을 대출하는 |